18[sr]산행,여행

나일강을 따라서 (카이로/멤피스/알렉산드리아/타니스/덴데라/왕가의계곡/콤옴보/아부심벨)

이름없는풀뿌리 2015. 8. 28. 14:18

 

 

 

                     알렉산드리아-->카이로-->아비도스-->덴데라-->

                     룩소르-->에드푸-->콤옴보-->아스완-->아브심벨 

 

 

                                                기자의 대 피라미드(Gizeh Great Pyramid) 

   피라미드 앞에 낙타를 타고가는 사람은 정부고용 모델인것 같습니다. 어느때고 이사람이 보입니다.

 

 

                             피라미드 앞을 가로지르는 검은 띠는 아스팔트 도로입니다.

 

 

 

                                                         피라미드 입구

 

 

 

                                                  피라미드 내부로 들어가는 통로

 

 

 

                                                    대 피라미드의 내부 현실                      

 

               *앞쪽 벽앞에 커다란 석관이 놓여 있으며 석관의 크기는 통로보다 큼으로 사전 안치 후

                                            피라미드를 축조한것으로 보인다

 

 

                                             기자 피라미드   장제전의 내부

           이 지역의 석축 공법은 다른 대륙의 석축 공법과 매우 닮아있어 비교해 볼 가치가 있다.

 

 

 

 

                                                  잉카의 공중도시 마츄픽추

 

 

 

       페루의 쿠스코 지방(철제 공구가 없던 시기에 축조한 면도날도 들어갈 틈이 없다는 석축 공법)

 

 

 

                      칠레에서 서쪽으로 3700km,  태평양에 떠있는 작은 화산섬 <이스터>

   

                                         ***석벽 앞에는 모아이 석상이 서있다

 

 

                     

 

                                             초기에 축조된  계단식 피라미드 

 

 

                                                초기에 축조된   굴절식 피라미드 

 

             ***초기에 축조된 피라미드들은 카이로 인근 사카라(Sakkarah)에 분포되어 있다.

 

                                                  유카탄 반도의 마야 피라미드                                                

  

 

이집트의 피라미드는 무덤으로 축조되었으나 마야의 피라미드는 신전이나 제단의 목적으로 축조되었다 

 

                                  수단(Sudan)의 수도 북부 사막에 축조된 피라미드 군 

 

 

 

                                                구 로마 시내에 있는 피라미드                                      (D/B) 

 

                                              

                            아시아에서 유일한 것으로 보이는 고구려의 장군총                             (자료) 

 

 

                                        멤피스 유적지의 파라오 거상(람세스 II 세)                        

                                              람세스 II세의 거상(크기:15m)

 

                                        멤피스 박물관에 누워있는 람세스 II세 상

 

                                         기자의 대 피라미드를 지키는 스핑크스 

 

 

                                    카이로 인근 멤피스 유적지의 스핑크스(크기: 10m) 

 

 

 

                    러시아 쌍트 페테르브르그 네바 강변에 놓여있는 약탈해 온 이집트 스핑크스 

 

 

 

                              오스트리아 비엔나 벨베데르 궁전 앞 정원에 놓여있는 스핑크스          D/B

 

 

                       **위의 스핑크스는 올림프스 산을 지키는 그리스 신화속의 동물

 

 

                   베르린과 포츠담 사이  반(Bahn)호숫 가에 놓인 다리를 지키는 스핑크스                       

 

 

                                       이란 <시라즈>의 페르세 폴리스에 있는 스핑크스                        

 

 

 

                  이라크 모술 미무드(Mimud) 서북왕궁(Northwest Palace) 지키는 스핑크스 

 

 

 

                                             이라크 모술 <나누에> 성을 지키는 스핑크스 

 

 

                     터키 히타이트 고 왕국 유적지 왕궁 앞에 있는  스핑크스 

 

 

                후기 히타이트 고왕국의 쌍 스핑크스(크기가 작으며 박물관에 보존되어있다) 

   

 

         **스핑크스 등에 평판이 있는것으로보아 제단 혹은 비석의 기단같은 용도로 보인다.

 

 

                          카이로 고고학 박물관(그림왼편아래에 스핑크스가 지키고 있다) 

 

 

             미국 캠브리지 하바드대학 인근 마운트 오번(Mount Auburn) 공동묘지에 세워진

                                               이집트의 그것을 닮은 스핑크스  

                                                                                                              촬영: T S Chung

 

                                               파라오(투탕카멘)의 황금의자 

 

 

                                                          투탕카멘의 황금 마스크 

 

 

 

                            파피루스 종이위에 그린 황금 마스크(세로 30cm크기:  $15)                         

 

 

                                            미이라를 만들때 내장을 담은 용기(내장통)                

                                          ** 네 모서리에는 여신이 보호하고 있다.

 

 

                                                                        구 카이로 시가      

 

 

 

                                                            나일 강 

 

 

 

                                          구카이로의 대표적인  모하메드 알리 사원 

 

 

 

                                                         국립군사 박물관

 

 

            **실제는 김정일의 지시로 4.15 창작단이 박물관 작업을 지원하였다.

 

  4.15 창작단원이 그린 아래그림의 오른편 하단에는 붉은글씨의 "DPRK, 김아무개"라는 서명이 보인다. 

 

 

 

                                                   로마 양식의 수도교 

 

 

 

                      예수와 성가족이 피난살이하던 교회의 골목 과 교회 입구(성서 참조바람) 

 

 

                                                        알렉산드리아

                                                  

                                              헬레니즘 문화의 꽃

                                   

                                      알렉산더 대왕 동상 뒤로 보이는 커다란 구(球)는 "떠오르는 태양" 을 의미하는 도서관이다.

 

 

 

 

                                                                로마의 원형경기장 

 

 

 

                                                                 폼페이 의 기둥

                                           로마의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를 위해 세운 기둥  

 

                 

 

 

                              카이트 베이 성채<7대불가사이의 하나인 파로스 등대가 세워졌던곳>

 

 

                                                                    카타콤베

                                 최초에는 귀족들의 지하무덤이었으나 후에 일반인 들의 묘지가 됨                

 

 

 

                                                                   스에즈 운하 

 

 

 

 

                                                         타니스 유적

 

 

 

 

 

 

 

 

                                         아비도스(Abydos)
                                        카이로 남쪽 515km에 위치한 오시리스 신화의 중심도시

 

 

                                                  세티 I 세의 장제전(葬祭殿: BC 1318-1304) 

 

 

 

                                                              세티 I세의 신전

 

 

 

 

 

                                                               

                                                             덴데라

 

 하토르 신전


 

                                                                덴데라 신전

 

 

 

 

 

                                                   클레오 파트라 릴리프 

 

 

                                                        람세스 III 세 신전 

 

 

 

        

 

                                             람세스 III 세 장제전 

 

   

 

                                               람세스 VI 세의 석관이 안치되어 있다.                      

 

 

 

                       왕가의 계곡


 

                     피라미드 도굴을 피해 접근이 어려운 은밀한 곳에 묻힌 파라오 들도

                                                     도굴을 피하지는 못했다.

                     


 

                                                          합셑수트 장제전 

 

 

                                                        람세스 II 장제전(람세움) 

 

 

                       왕가의 계곡이 저멀리 보이는 도로옆에 두개의 <맴논 거상>이 서있다 

 

 

                            위의 두 거상은 아래 삽화와 같이 신전앞에 안치되었던 석상이다.                           

 

 

 

 콤옴보(Komombo)

       룩소르에서 남쪽으로 167km, 아스완에서 북쪽으로 46km 나일강 동안에 자리잡고있다.

 

                                                            콤옴보 신전 

 

 

 

 

                                                          아스완                     

 

 

 

 

                       필레(Philae)신전<아스완 Dam으로 수몰 될것을 언덕에 옮긴것이다> 

 

 

 

 

                      칼랍샤(Kalabsha) 신전<역시 물에서 건져올린 신전이다> 

 

 

 

                                                            아스완 채석장 

 

 

                                                       미완성 오벨리스크                          

거대한 모노리트 오벨리스크를 어떵게 수백km운반했을까요?

 

 

                                                         엘레판틴 섬 

 

 

      나일 미터(Nilemeter)<돌에 새겨진 홈이 나일강의 수위(水位)를 알아보기위해 만든 수표(水標)               

 

 

                                 아부심벨(Abu Simbel)

              아부심벨은 아스완에서 남쪽으로 280km지점 낫세르 호반에 위치하고 있다.

아스완 댐 건설로 수몰 위기에 몰리자 유네스코의 국제협력을 통한 구제로 1968년 부터 72년까지 소신전과 대신전을

절단하는 방법으로 원래의 위치보다 60m 상류로  옮긴 것이다.

 

 

                                                     람세스 II세 소신전 전경 

 

 

                                                           아부심벨 소신전 

 

 

                                                          람세스 II세 대신전 

 

                                                 람세스 II 세 조각상 높이= 20m 

                                                              세계문화 유산에 손대고 장난치면 않되지요.

 

                                                                신전 내부 

 

 

                        람세스 II세가 시리아에서 힛타이트와 벌인 대규모 전투의 한장면 부조 

 

 

                                                           -  Epilogue -

 

                                    이집트의 황금시기에 한반도는 고조선 시대 였습니다.

               빛나는 유산을 남기지 않았지만 자연친화적으로 살아온 우리조상들을 존경합니다.

            

 

 

                                지루한 여행 에 동행하신 노고에 감사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