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년전 제주도 한라산 산행기
그러니까 대학 1학년 때,
68학번이니까 어느덧 43년 전.....
엊그제 일 같은데....
와! 정말 세월 빠르네
그 많은 시간들이 몽땅 어디로 사라져 간 것일까
그 시간들을 잘 채워 온 것일까 아니면 그렁저렁 보내버린 것일까.
여하튼 열심히 살아오기는 한 것 같기도 하고
어찌되었던 지난 것은 지난 것이고
43년 전 여름방학, 빗줄기가 엄청나게 쏟아지던 날
A형 군용텐트에, 군용담요에, 검게 물들인 군복에 군화까지
철모와 M1 소총만 머리에 쓰고 들지 않았지 완전한 육군 보병차림으로
서울역에 나가 부산행 통일호(?) 를 탑니다.
제주도 한라산을 오르리라는 당시로서는 결코 쉽지 않은 만용을 위해...
도대체 무슨 놈의 배짱이었을까?
43년이 지난 지금 생각해보면 참.....어처구니없는 짓거리입니다.
부산진역에 도착(당시에는 부산역이 없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만)
부산항에 나가 제주도행 배를 알아보니 제주해협의 폭풍으로 며칠째
출항치 못하고 수많은 사람들의 발이 묶여 있다고 합니다.
3일째라고 하던가.....?
어찌어찌 수소문해 아는 분의 2층 적산가옥(일본인들이 살던 집)에
배가 출항할 때까지 신세를 지기로 하고 묵기로 합니다.
헌데 그 적산가옥의 화장실이 참으로 묘하게 생겼습니다.
변기 안에는 물이 고여 있고 뚜껑이 있고...
일을 보려고 하니 그 사용법이 매우 불편합니다.
궁리 끝에 변기를 딛고 올라가 일을 보려하니 떨어질까 불안하기도 하고
불안하니 일을 제대로 볼 수도 없고.....
한참 후에 알았습니다. 발로 딛고 올라서는 것이 아니라 걸터앉아 일을 보는
좌식 수세식 화장실이라는 것을....
물을 내렸는지 아니 내렸는지는 기억이 전혀 없지만 아마도 내렸겠지요.
내렸으리라 믿습니다.
드디어 출항. 오후 6시경
제주도를 왕복하는 배는 모두 2편이 있었는데 하나는 철선(제주호?)이고
또 다른 하나는 나무로 만든 목선 가야호였습니다.
가야호를 타니 그야말로 인산인해, 거의 닷새동안 묶여 있었으니
제주도로 들어가려는 승객들과 그들이 육지에서 들여가려는 짐들로
송곳하나 꽂을 곳이 없습니다.
3등 객실로 들어가니 모든 승객들이 누워있어 아니된 말로 마치 시체들로 가득가득
채워져있는 어둡고 축축한 지하실과도 같습니다.
도저히....더구나 눈을 뜬 채 코를 고는 사람을 보고서는 질겁해 튀어나옵니다.
해서 갑판 후미진 구석에 군용텐트를 깔고 덥고......
어찌어찌 제주항에 도착하니 새벽 6시경
제주시내랄 것도 없는 제주시내.
지저분한 개울물이 흐르는 개천위에 가느다란 통나무를 세워놓고
그 위에 판자로 얼기설기 엮어놓은 판잣집들이 길게 늘어서 있고
그 아래 개울에는 커다란 돌하르방들이 개울물에 코를 처박고 널 부러져 있습니다.
개울물 냄새는 코를 찌르고.....
나중에 들은 이야기지만 육지에서 난을 피해 건너온 피난민들의 삶터였답니다.
화가 이중섭도 그들 피난민중의 한 사람이었고
치열한 생존의 현장이었습니다.
또한 당시에 제주와 서귀포를 잇는 5.16도로를 육지에서 끌려 간 소위 깡패들이
삽과 곡괭이만으로 개설 작업 중에 있어 검문검색이 극히 까다로워 육지에서
제주도로 들어오기는 비교적 쉬었지만 제주도에서 육지로 나가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학생증 덕분에 오고감과 보고 들음이 비교적 쉬었지만 소위 깡패의 수용소 탈출소식이
들리면 제주시내(가 아니라 제주골이라는 표현이 더 어울릴 듯)가 바짝 긴장하곤 했습니다.
43년 전 바닷냄세 가득했던 검은 무채색 제주골이 눈앞에 아른 거립니다.
그랬던 제주도가 제주도로 변하고 제주시로 변하고......
검었던 머리는 하얀색으로 변하고.....
“열심히 일한 자 떠나라”라는 광고카피는 정말 멋진 광고 카피입니다.
같은 광고 카피라이터로서 존경의 박수-짝짝짝.
제주골에서 한라산을 오르는 오름길은 기억하기로는 관음사 코스가 유일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정확치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검은 머리가 흰색으로 변했기 때문에.....
제주골에서부터 걷기 시작해 관음사까지 1박2일이었던가 역시 정확치는 않지만
이 이유 역시 “검은 머리 흰 머리”
그 때의 관음사.
낡고 헐은 초가지붕의 깊은 산속 숲 속 아주 다 쓸어져 가는 퇴락한 암자 하나
달랑 겨우 버티고 세워져 있었습니다.
제주도는 “절”보다도 “당”의 위세가 커 절은 감히 그 세를 키울 수가 없었고
관음사 역시 “절”이라기보다 “당”의 성격이 강했습니다.
그리고 길도 거의 없는 한라산 오름길.
한 여름 뜨거운 태양의 열기 아래 밀림을 헤치듯 오르다 보면 질색할 듯 싫어하는
뱀도 만나고 그나마 없는 길도 놓쳐 숲길 헤매기를 수십번
아무리 검은 머리라고는 하지만 군용A형 텐트와 군용 담요, 먹거리용 감자와 쌀
그리고 생명 같은 물, 가볍다고는 하지만 눈썹마저도 밀어버리고 싶은 심사에
고체 알콜 버너와 비상용 깡통 고체 알콜과 냄비 등등.....
더욱이 가슴 졸이는 어두운 정글 같은 숲 속의 기기괴괴한 고요와 적막의 공포,
순간 튀어 오르는 검은 까마귀의 악마를 부르는 듯한 검은 깍깍 소리는 심장에
칼을 꽂는 듯하고 내리막길에 올려다 보이는 눈앞에 펼쳐지는 시꺼먼 웅장함은
공포와는 또 다른 두려움이 엄습하고.......
아- 무서워라.
내 다시 이곳에 오면 사람이 아니다라는 결심을 수백수천번하며
그래도 왔으니 본전 아까운 생각에 이를 앙다물고 오릅니다.
43년이 지난 지금도 가끔 꿈을 꿉니다.
어두운 숲 속에서 길을 잃고 헤매는 꿈을.....
드디어 백록담이라고 하는 곳.
그 곳은 흰 사슴이 떼지어 뛰놀고 아름다운 꽃들로 가득 채워진 푸르고 널따란 낙원같은
평원으로 꿈꾸어 왔는데 웬걸 또 다른 두려움과 공포와 경외가 어우러진 곳이었습니다.
백록담 평원에서 텐트를 치고 야영을 하리라했던 생각은 아예 접어두고라도
까마득히 내려다보이는 백록담은 온갖 두려움과 공포로 가득 채워진 어둡고 음습한
굴속과도 같습니다.
마치 “어서 내려오너라”하며 어둔 동굴 속에서 상상속의 악마가 부르는듯한 소리가
들리는 듯합니다.
어둡고 어둡고 어두운 공포!
허겁지겁 쫒기듯 내려오며 길을 잃기를 또 여러번
드디어 5.16도로, 검은 포장도로입니다.
내려오니 하얀 어두움, 안개가 가득 채워져 있습니다.
살아왔구나 하는 안도감에 온갖 무거운 것들을 몽땅 내려놓고 아스팔트 검은 포장도로에
두 팔을 펼치고 누워버립니다.
얼마나 지났을까
끼익하는 소리에 벌떡 일어나 보니 트럭이 한 대 바로 앞에 세워져 있습니다.
하마터면 43년 전에 끝나 버렸을지도....
구멍이 숭숭 뚫린 제주 화산석으로 깍은 30센치정도의 돌하르방을 행여 깨어질까 수건으로 감싸고 감싸 배낭 안에
고히 모셔놓고 돌아올 때는 목포로 오는 배 안성호 철선을 탑니다. 아주 커다랗고 쾌적한 배.
오전에 출발하여 오후에 목포로 입항하는 배입니다.
제주를 떠나며 뱃고동 부-웅 하는 소리에 눈물이 납니다.
괜한 눈물이 흐릅니다.
다시는 만나지 못할 헤어짐 같은 아쉬움 때문이었을까
손을 흔들어 주고
후미 갑판 철책에 기대어 서서 점점 멀어지는 제주도를 하염없이 바라봅니다.
제주도는 드디어 바다 속으로, 바다 속 깊은 곳으로 잠기어 버리고.....
그리고 43년 동안 제주도는 나의 기억 속에서도 서서히 사라져 버렸습니다.
가끔 소식은 듣고 있었지만...
43년 후 제주도 일주기
초호화판 제주도 일주를 꿈꿉니다.
비록 검은머리 흰머리 되었지만 꿈이 있는 한 항상 19살입니다.
이번에는 부산이 아니라 전라남도 장흥에서 출발하는 쾌속선 오렌지호에
차량을 싣고 가 제주도를 일주하는 것입니다.
43년 전에는 무겁디무거운 배낭을 짊어지고 한라산을 올랐지만
43년 후에는 죽을둥 살둥 생고생한 한라산, 안중에도 없습니다.
멀리서 보는 것만으로 만족하려 합니다.
다만 초호화판 디럭스 제주도 여행만 있을 뿐.....
잘해야 열 번 밖에 남지 않은 4월 봄날 맞이
제주도가 제주도 아닌 제주시로 탈바꿈하고 서귀포면이 서귀포시로
그 이름을 격상시켰다는데 그 변화가 궁금합니다.
도대체 어찌 변했을까?
개울가 판잣집들은 어찌되었고
개울에 코를 박고 있던 돌하르방들은 제대로 서 있게 되었는지
다 쓰러져 가던 관음사는 또한 어찌 변해져 있고
특히 제주도의 아름다움을 대표하던 아름다운 제주 돌담은 여전한지
돌담에 둘러 쌓여있던 옛 무덤들은 그대로 있을까
5.16도로는 완공되어 제주에서 서귀포까지 끝까지 연결되어 있을까
짚으로 엮어져 돌로 눌려져 있던 제주의 집 지붕들은 그대로 일까
초가집 옆 뒷간에서 꿀꿀 사육되던 돼지들은......?
궁금합니다.
얼마나 아름다워져 있기에 세계 7대 경관에 도전하려는 것일까.
그래서....
여행일시: 2011년 4월 7일부터 4월 16일까지 10일간
여행지 : 성산포에서 모슬포항, 한림을 거쳐 제주시를 지나 다시 성산포까지
여행자 : 어부인을 모시고 머슴이 되어
여행방법: 본인 차량으로
양평에서 출발합니다.
제주행 08:00 출항하는 오렌지호는 인터넷으로 미리 예약을 해놓고
장흥으로 가 하룻밤 묵은 후 탑승키로 합니다.
광주를 거쳐 장흥까지 장흥에서 다시 제주행 오렌지호를 타려면 1시간여 더 들어가야만 합니다. 노력항.
헌데 노력항 주위에는 민박외에 숙박시설이 없습니다. 다시 장흥으로 나오기도 번잡스럽고해서
20여분여 떨어져 있는 회진이라는 작은 마을의 다모아 모텔에서 하룻밤을 보내기로 합니다.
헌데 이 회진이라는 곳에서 아주 훌륭한 음식점을 찾아냅니다.
제주에서 되돌아 올 때 다시 한 번 더 이용하기로 하고.....

다음날 아침 7시까지 노력항에 도착하려고 부지런을 떨어 승선 수속을 마친 후 느긋한 기분에 제주행 오렌지호를 바라봅니다.
43년전 부산에서 제주로 향하던 목선 가야호에 비하면 오렌지호는 그야말로 초호화 크루즈 수준입니다.


오렌지호의 갑판으로 나가 배 뒤로 부서지는 하얀 포말을 보고 싶었지만 약 2시간 동안 꼼짝마라입니다.
쾌속이기때문에 매우 위험하다는 선원의 말과 함께 출입구는 잠을쇠로 굳게 잠겨져 버리고......
제주도 성산항에 내려 곧바로 성산 일출봉을 오릅니다.
성산일출봉의 분화구와
성산 일출봉에서 내려다 보이는 성산읍 시가지 - 노란 유채꽃 무더기와 쪽빛바다 그리고 잔잔한 하얀 바다 물결
그리고 곧게 뻗은 해안도로와 멀리 보이는 많은 오름들.....
제주가 아름다운 오만가지중의 한가지입니다.
일출봉아래 해녀의 집에서는 일출봉을 한바퀴도 돌 수 있는 쾌속정이 유혹합니다.



서귀포를 향해 해안도로를 따라 달리다보면 만날 수 있는 광치기해변
올레길 1코스가 끝나고 2코스가시작되는 곳입니다.
이 곳에 엎뎌있는 제주 조랑말과 망아지는 바다소리에 빠져 미동도 하지않습니다.

온갖 꽃들이 가득한 섭지코지에 올라 바다를 바라봅니다.
작대기에 꽂혀진 천원짜리 파인애풀 한조각을 입에 물고 있자니
마치 남태평양 작은 섬에 와 있는 듯한 착각에 실소를 자아냅니다.

표선 해수욕장을 지나 남원에 있는 금호리조트에 짐을 풀고 산책을 나섭니다.
제주에서 알아주는 절경지 "큰엉"이 있는 곳. "엉"은 절벽이라는 뜻이랍니다.
한가로운 낚시질?

제주는 돌담길이 아릅답습니다.
올레길 5번코스, "엉"을 옆에 두고 이어지는 돌담길입니다.
보리수 열매와 동백꽃도 함께 흙길에 떨어져 있습니다.



뚝뚝 떨어져 있는 제주의 동백꽃
제주가 아름다운 이유 오만가지 중의 하나입니다.

큰엉에 부딪는 쪽빛 제주바다.
그리고 그 부딪는 소리, 이 역시 오만가지 아름다움주의 하나입니다.

아름다운 가로수 벚꽃이 한창

내륙 깊숙히 들어와 있는 쪽빛 바다 - 쇠소깍이라는 묘한 이름으로 불리웁니다.




서귀포시 올레시장
떡 이름은 잊었지만 아주 맛난 팥떡 3천원어치 사가지고 돌아다니며 먹습니다.
택배도 해준다는데 행여 그 맛을 잃어 버릴 것 같아 제주에서만 먹기로 합니다

새섬과 서귀포 항을 이어주는 새연교 입니다.
천지연 폭포 바로 곁에 있어 천지연을 본 후 새섬의 둘레길을 산책하기에 더없이 아름다운 연육교.



외돌개라고 합니다.
대장금 촬영을 이 곳에서 했다고 하는데 그래서 그런지 주변 공원을 참으로 예쁘게 가꿔놓았습니다.
오만가지 이유중의 하나로 서귀포시는 마을 곳곳에 공원을 정말 예쁘게 가꿔놓았습니다.
아래의 "70리 공원"역시 산책로와 그 가꿈의 정성이 와 닿습니다.





하룻밤 묵었던 남국호텔
올레꾼들이 많이 사용한다고 하는데 시설은 오래되서 그런지 별로...
해서 다음날 바로 다른 곳으로 옮겼습니다.


"돔배낭골" 강정동에 있는 잘 알려지지않은 화산석 무늬가 아름다운 곳입니다.
"돔"은 제주말로서 도마를 의미하며 "배낭"은 도마를 만드는 나무의 이름이랍니다.
그래서 "돔배낭"
제주가 아름다운 오만가지 이유중의 하나가 바로 이 마을 이름들때문 입니다.
다음엔 "논짓물" 이라는 마을 이름이.....








풍림 리조트 뒷편으로 산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강정강이 흐르고 있어 신비함을 더해 주고 있습니다.
이 길은 7번 올레길로서 예쁜 휴식처가 마련되어 있어 올레꾼들에게는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어 주고 있습니다.



주상절리, 광주 무등산의 입석대를 기억케하는 거대한 8면 바위 기둥들이 바닷물에 그 몸을 담그고 있습니다.




다시 서귀포 올레시장
이 큰대가리 생선이름이 "히라쓰"라고 하던가
생선파시는 할머니께서 먹어보라 하시며 회를 친 히라쓰 두점을 주시기에 낼름 받아 먹습니다.


제주의 또 다른 화산 송악산을 가기 위해 산방산을 납니다.
산방굴은 돌아오는 길에 들러 보기로 하고.....

제주의 또 다른 분화구를 지니고 있는 송악산에서 바라 본 우뚝 솟은 산방산



43년전 한라산을 올라 백록담을 이런 모습으로 내려다 보며 두려움을 가득 채웠었는데....

산을 올랐으니 인증을 합니다.


하마터면 그냥 지나칠뻔했던 용머리 해안
산방산 바로 아래 바다를 접하고 있는 제주의 그랜드캐년입니다.








산방굴사에서 천정에서 떨어지는 석간수를 몇 모금 마신 후
제주도 하면 항상 등장하는 산방굴사에서 바라본 모습을 복사합니다.


산방굴사 아래 소나무 숲속에서 멋있게 커피 한 잔
불랙이었지만 그 향에 취합니다.
올레사장에서 사 갖여 온 "떡"을 한 입 가득넣고 우물 우물......


이 돌하르방 할아버지는 뭔 생각을 이토록 골똘히 하고 계시는 것일까
몇년전 점봉산 단목령에서 만났던 목장승은 오래된 친구와 같았으나
이 돌하르방할아버지는 초등학교 때의 교장선생님같습니다.


중문관광 단지로 이어지는 해안도로인 "열리 해안도로" 를 따라가 보면
그 이름이 여간 예쁘지 않은 "논짓개"라는 이름을 지닌 마을을 만납니다.
주차장도 예쁘고
마을 앞 물맞이도 여간 예쁘지 않습니다.
바닷물과 산물이 한데 어울려 잔잔한 풍광을 만들어 냄이 한 폭의 그림입니다.
기회가 된다면 꼭 다시 한 번 찾아가 보고 싶은 곳.
커피 한 잔으로 물맞이 계단에 앉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있습니다.





서귀포시의 꽃 길

제주도가 제주도이기에 아름다운 오만가지 이유중 4만 9천 9백가지를 간직한
이중섭 기념관과 이중섭거리그리고 이중섭의 난민 1년간의 거주지.
이중섭
그는 자유스러웠을까?
이중섭이 소를 즐겨 그리고
어린이를 즐겨 그린 이유를 알 것만 같다.
그래서 이중섭이 나는 좋다.
그는 산골의 우직한 한마리 무지한 황소와 같으니까.
그는 산골의 발가벗은 천진난만한 어린아이와 같으니까.
서귀포는 이중섭이 있어 좋----겠다.











서귀포 70리 올레시장 입구에 있는 굴전문식당.
전혀 생각치 않은 음식점을 발견하는 것도 제주도가 아름다운 이유중의 하나 입니다.



제주도는 지하가 화산석으로 되어 있어 빗물이 모두 바다로 빠져 들기 때문에 내륙에서는 물을 구하기가 어려웠습니다.
43년전 한라산을 오를 때에도 빗물을 받아 놓은 커다란 물통에서 물을 얻어 먹기도 했습니다.
반면에 해안에는 이렇게 지하수가 용출하는 우물이 많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진기한 모습을 찾아 보는 것도 제주도가 지닌 오만가지 아름다움중의 하나입니다.





올레길 12번 코스에 있는 섬 차귀도와 수월봉 길입니다.
길을 잘 못들어 이 해안길을 두번이나 돌아 빠져 나옵니다.





해안도로에서 빠져나와 내륙의 돌담길도 달려 봅니다.
선인장은 빨간 백년초 열매를 끝에 매단채 넓은 밭을 가득 채우고 있어 육지에서는 볼 수 없는 광경을 연출합니다.
이러한 풍광도 제주가 지닌 오만가지 아름다움 중의 하나 입니다.



다시 해안길로 들어와 만나는 그 유명한 협제해수욕장.
이 곳의 해변은 바위가 잘게 부서진 모래사장이 아니라 조개껍질이 잘게 부서져 만들어진 조개가루 백사장입니다.
투명한 코발트빛 물 색깔과 파란 하늘이 어울린 모습이 마치 남태평양의 작은 섬의 풍광을 닮았습니다.





내륙의 이시돌 목장을 들어가며 또 다시 길을 잃습니다.
돌담길들을 돌고 돌아 어렵사리 해안길을 찾아 나오니 한림읍 .
이름도 요상한 곽지과물 해변을 지나며 제주의 또 다른 풍광을 만납니다.
노천 목욕탕. 그것도 남탕과 여탕이 분리된....
오른편은 여탕, 왼편은 남탕입니다. 생전 처음 여탕을 들어가 봅니다.
어부인께서는 남탕을 들어가시고...




서북을 면한 해안도로를 타고 계속 오르면 드디어 제주시에 입성합니다.
애월리와 이호태우해변 그리고 도두항은 내일 들러 보기로 하고....
43년만에 돌아 와 본 제주
그 옛날의 흔적이 남아 있을까
이렇게 남아 있습니다.
돌담안에 있었을 납작 초가집들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지만 ...
미로 같았던 돌담길
길을 잃으면 되돌아 나오기가 여간 어렵지 않았던 제주도 서면의 돌담길이었습니다.
그래도 그 때는 제주에서 가장 큰 마을이었는데 지금은 동면에 밀리고 신시가지에 밀리고
얼치기 동리가 되어 있습니다.




동면시장.
서면시장은 아직도 그 명맥은 유지하고 있었지만 쇠락해져 버렸고 동면시장이 제주의 제1시장이라고 합니다.





전혀 낮선 "관음사" 라고 합니다.
43년전에는 이 곳까지 (정말 이 곳이 그 옛날의 관음사 맞을까) 두발로 산길을 걸어 올라왔는데
지금은 겨우 30여분, 제주도 시내의 사찰이 되어 있습니다.
아래의 굴도 전혀 기억이 없는데
내가 알던 관음사는 이미 희미한 기억 속에서만 존재하는 실체아닌 실체로 남아있을 뿐입니다.
영가천도를 위한 독경소리만 관음사에 가득했습니다.



성판악 한라산 오름길에 만난 까마귀 한마리
"야! 이녀석아. 네 놈의 할아버지의 할아버지의 할아버지뻘 되는 까마귀 때문에 내 얼마나 놀랐는지 알기나 알아?"
까마귀 녀석이 깍깍 대답을 합니다.
"죄송했습니다. 할아버지의 할아버지의 할아버지 대신 잘못을 용서해 주십시오"
떡 한 조각을 던져주니 낼름 받아 먹고 다시 나무위로 올라가 앉습니다.
이로서 지난 악업 하나를지웠습니다. 까마귀와 서로 하나씩.....

오름길 숲 속에서 만난 백골
아마도 백록담 푸른 초원에서 뛰어 놀던 하얀 사슴의 유해인듯 합니다.
43년전 한라산을 오를 때 백록담에는 꽃이 가득한 푸른 초원과 맑은 물이 가득 고여 있고 그 곳에는 하얀 사슴이
평화롭게 풀을 뜯고 있으리라 상상했는데 이 백골은 아마도 그 때의 상상 속 흰사슴인가 봅니다.
色不異空 空不異色



5,16도로
제주와 서귀포를 잇는 최초의 관통도로.
당시 육지에서 끌려 온 소위 깡패들이 삽과 괭이 만으로 개설했다는 제주 - 서귀포간 유일한 산행 도로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남의 가슴을 아프게 하는 자들 특히 가진 것 없고 힘없는 사람들의 가슴을 아프게 하는 자들은
법 이전의 법으로 처벌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강자에 한없이 약하고 약자에게는 한 없이 강한 비열한 자들.....
어찌 되었건 43년전 이 곳에서
하마터면 43년후를 기약할 수 없었던 사고가 있을 뻔 했던 곳입니다.
色卽是空 空卽是色





우연찮게 들르게 된 돌박물관
직원 아가씨가 두 분이 함께 찍어야만 된다는 강요에 황송스럽게도 어부인님과 함께 나란히 다정스럽게 한 컽.

줄지어 서 있는 거대한 제주의 바위에 압도됩니다.
마치 남태평양 이스터섬의 거대한 모아이석상처럼.....
우연찮게 들러 이러한 광경을 볼 수 있음도 제주가 아름다운 오만가지 이유중의 하나입니다.









돌하르방과 오름과 오지항아리들....
이러한 풍경 역시 제주만이 지니고 있는 제주의 오만가지 아름다움증의 하나

제주에서는 진귀한 어쩌구 저쩌구라는 안내문의 유혹에
돌구멍으로 몰래 들여다 보니 "目不忍見"
어부인님께는 말씀도 전해드리지 않았습니다.


돌무더기 안에 모셔져 있는 모자상.

다시 제주시로 되돌아 오니 어두워졌습니다.
34년전 12월 25일 뱅기를 타고와 어부인님이 되시기 전 모시고 며칠간 묵었던 호텔.
그날 이후 34년, 머슴이 되어 어부인님을 모시고 다시 찾아올 줄 꿈에나 생각했었겠습니까.
어이, 어이
이러한 사실도 제주도가 아름다운 오만가지 이유에 넣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제주도 주교좌 성당인 중앙성당.
광주교구에서 분리되어 새로운 교구가 되었답니다.
제주도에는 김대건 신부의 최초 집전미사 기념성당외에 많은 성당들이 있습니다.

성당 곁에 있는 해장국집
6000원짜리 황태해장국이 맛깔스러운 식당입니다.


어제 빼어 먹었던 도두항과 이호태우해수욕장.
제주의 해안도로를 달리다 보면 많은 낚시꾼들이 갯바위에 걸터앉아 세월을 낚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하기야 어느곳을 가던 바닷가라면 낚시대를 던지기만 하면 그 자리가 바로 낚시터일테니까.
평화로운 풍경입니다. 그들의 속은 알 바 아니지만...
도두항, 아름다운 작은 항구입니다.



제주시내가 한 눈에 내려다 보이는 사라봉
어젯밤 착각을 합니다.
제주라면 낮은 돌담과 낮은 초가집과 꼬불꼬불 이어지는 돌담길만을 기억하고 있음에
높은 빌딩과 시내를 채운 차량과 해안가 커다란 호탤과 낮익은 도시형 간판들 때문에
부산으로 착각을 합니다. 해서 부산의 "ㅅ" 님에게 핸폰을 칠 뻔했습니다.. 부산에 와 있으니 만나자고.....

큰 실수 할 뻔 했지요.
이런것 역시 제주가 아름다운 오만가지 이유중의 하나가 될 자격이 충분합니다.
제주시내에 있는 제주민속박물관
제주시민들의 공원같은 곳입니다.
용암이 흘러간 자국을 그대로 간직한 용암석들과
제주를 십만가지 아름다움으로 가꿔 갈 제주의 미래의 꿈 노란 병아리들...




이 분에게 커리커쳐를 부탁합니다.
35년전 모습으로 그려 달라고...
마치 34년전 사진관에서 흑백사진을 찍을 때 처럼 의자에 앉아 있었습니다. ^^*

성산봉으로 돌아오며 만난 아름다운 풍광들
삼양 검은 모래 해변과 1000원이면 입장할 수 있는 단물(바닷물이 아닌 지하 용출수) 목욕탕.
들어가 보지는 않고 뒤 테라스에서 점심겸 떡을 먹습니다.



그리고 아름다운 제주의 풍광, 풍광, 풍광들.......



김녕해수욕장
바다 물고기가 조그만 바위웅덩이에 갇혀 헤엄치고 있는 모습이 참으로 아름답습니다.
이런 것이 바로 제주도가 제주도이기에 아름다운 이유 오만가지 중의 하나입니다.



해녀들이 바로 잡아온 해삼 멍개 소라등등
마음 같아서는 퍼질러 앉아 제주도 소주인 한라산소주 한 잔을
이 해삼 멍개 소라을 안주삼아 함께 했으면 좋으련만....
입맛만 쩍쩍 다십니다.
어부인께서는 한 잔 하라고 말씀은 그리하시만 감히 퍼질러 앉았다간 뭔일을 당하려고....
그래서 다음엔.....하면서 얼버무립니다.
하지만 어부인님께서 한가지 약속을 하십니다.
다음에 제주를 오면 돌아다니지는 말고 해삼 멍게 소라만 먹으러 다니자고 ....
믿어도 될까요.
아니 믿삽니다. 이러한 믿음이 제주가 아름다운 오만가지 이유중의 하나가 반드시 되리라는 것을....


해안도로의 아름다운 풍광들......






다시 출발점 성산봉입니다.
8박 9일 동안 제주에 있었지만 많이 허전합니다.
일출봉호텔에 짐을 푼후 어슬렁거리며 성산읍 주위 산책을 합니다.
여분을 남겨 놓기가 못내 아쉬어....



우무가사리를 만드는 짙은 갈색의 우무가사리
햇볕에 놓아두면 투명하게 변한답니다.

종달리에서 시작된 1번 올레길은 이 성산봉 아래 해안길을 거쳐 지남니다.
많은 올레꾼들이 혼자 또는 둘이 또는 떼를 지어 1번에서 14번까지의 올레길을 걷고 있었습니다.
그들의 표정에서 "자유의 만끽"을 보며 한 번 정도 걸어 볼 만한 길임을 깨닫습니다.
이러한 올레길이 제주도만이 지닐 수 있는 오만가지 아름다움 중의 하나 입니다.

종달리 해녀들이 운영하는 전복죽 전문식당.
전국적으로 꽤나 유명한 전복전문식당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올레꾼들은 거의 모두 한 번쯤 들르는 곳으로.....
친절할 뿐 아니라 맛은 말할 나위도 없습니다.

드디어 오렌지호 앞에 다시 섰습니다.
차를 먼저 배에 승선 시킨후 노력항 주변을 어슬렁 거립니다.
濟州島가 濟州島여서 아름다운 이유는 濟州島이기 때문입니다.
濟州道는 濟州島가 아니며 濟州市는 더더욱이 濟州島가 아닙니다.
濟州島이기에 그 아름다움이 오만가지입니다.
이번 여행으로 濟州島는 오만가지 아름다움 외에 한가지를 더 했습니다.
더해진 그 한가지의 아름다움......
그 더해진 아름다움을 다시 만나기 위해 1년후 4월 다시 濟州島를
찾아야 겠습니다.





제주도 이후
노력항에서 배를 내린 후 장흥을 가기전 "회진"이라는 조그만 마을의 음식점에서 점심을 먹습니다.
지난 제주도로 향하기전 저녁을 먹었던 바로 그 집입니다.
깔끔하면서도 도시에서는 맛볼 수 없는 음식맛에 연이어 들릅니다.

장흥의 그 유명한 토요시장 정경.


장흥을 떠나 비상라이트를 켜고 국도와 지방도로 고속도로를 거쳐 청주에 도착합니다.
하룻밤 청주에서 보내고 상당공원을 산책 후 다시 비상라이트를 켠채 고속도로를 달려 양평에
도착합니다.
양평엔 이제 겨우 벚꽃이 그 꽃망울을 터트리려 준비를 하고 있고
연분홍 앵두꽃과 꽃잔디, 노란 개나리는 이미 그 꽃망을을 활짝 터트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