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 범위 넓어졌다…명왕성 3배 거리 왜행성 발견
태양계 범위 넓어졌다…명왕성 3배 거리 왜행성 발견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임화섭 특파원 = 명왕성의 약 3배 거리에서 새 왜행성이 발견됐다. 지금까지 관측된 태양계 내 물체 중 거리가 가장 멀다. 그만큼 '태양계'의 범위가 넓어진 셈이다.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카네기과학연구소(Carnegie Institution for Science)소속 스콧 셰퍼드 교수 연구팀은 태양으로부터 약 103 au(천문단위·astronomical unit) 거리에서 왜행성 'V774104'을 발견했다. 이 거리를 km로 환산하면 154억 km다.
천문단위(au)는 지구와 태양의 평균 거리에 해당하며, 약 1억5천만 km다. 명왕성과 태양의 거리는 가장 가까울 때 29.7 au, 가장 멀 때 49.3 au다.
셰퍼드 교수는 10일(현지시간) 미국 메릴랜드 주 내셔널 하버에서 열린 미국천문학회(AAS) 행성과학 분과 회의에서 V774104의 발견을 공표했다. 그는 "우리는 이 물체의 궤도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아는 것이 없다"며 "지금까지 알려진 (태양계 내에서) 가장 먼 물체라는 것만 안다"고 말했다.
이 물체는 올해 10월 하와이의 수바루 망원경과 칠레의 암흑 에너지 관측 카메라로 관측됐으며, 몇 시간 동안 하늘에서 관측된 움직임과 지구 위치 변화를 바탕으로 거리가 계산됐다. 밝기로부터 계산해 보면 이 물체는 지름이 500∼1천 km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명왕성 크기의 절반 미만이다.
이 물체가 발견되기 전까지 태양계에서 관측된 가장 먼 물체는 2003년 89.6 au 거리에서 발견된 '90377 세드나'와 2012년 약 83 au 거리에서 발견된 '2012 VP 113'였다.
세드나는 태양에서 76∼936 au, 2012 VP 113은 태양에서 80∼446 au 거리의 타원 궤도를 돌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천문학자들은 수바루 망원경과 암흑 에너지 관측 카메라로 V774104 외에도 태양에서 80∼90 au 거리에서 10여개의 다른 물체를 발견했다. 이 물체들의 궤도를 밝히는 데는 약 1년 혹은 그 이상의 추가 관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solatido@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5/11/12 06:55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