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과학적인東亞史

(4)백제의 요서(遼西)진출 기록: 백제의 강역(彊域)

이름없는풀뿌리 2015. 8. 12. 09:53

백제의 요서(遼西)진출 기록: 백제의 강역(彊域)
홍원탁의 동아시아 역사 강의(3)

 

국내에서는 백제의 요서 진출의 역사를 잘 모르고 있다. 여러 중국 정사에 단편적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청조의 건륭제가 황명으로 편찬시킨 "흠정 만주원류고"에는 아주 체계적으로, 구체적으로, 요서의 일부를 포함하는 백제의 강역을 밝히고 있다. 이 글은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Text in PDF / 편집자 주

   
▲ 3.1. From Guang Yutu of 1320 by Zhu Siben, Nebenzahl (2004: 129)
There appears in the Samguk-sagi, a record of the King Mi-cheon of Koguryeo (309-331), in alliance with two Xianbei tribes, attacking another Xianbei tribe led by Murong Hui (?-333) in 319. The records of Jin-shu on Murong Huang, the son of Hui who called himself the king of Yan in 337 and founded the Former Yan in 349, include a statement that the allied forces of Koguryeo, “Paekche” and a Xianbei tribe took a military action.1

According to the Song-shu, “Koguryeo came to conquer and occupy Liao-dong, and Paekche came to occupy Liao-xi; the place that came to be governed by Paekche was called the Jin-ping district, Jin-ping province.”2  According to the Liang-shu, “during the time of Jin Dynasty (317-420), Koguryeo conquered Liao-dong, and Paekche also occupied Liao-xi and Jin-ping, and established the Paekche provinces.”3

The Zi-zhi Tong-jian, compiled by Si-ma Guang (1019-1086) of the Song Dynasty (960-1279), states that in 346 Paekche invaded Puyeo that was located at Lushan, and as a result the people of the country were scattered westward in defeat toward Yan. Then, however, the King Murong Huang of Yan dispatched the Crown Prince with three generals (all with Murong names) and 17,000 cavalrymen to attack the defenseless Puyeo.4 AD 346 was the first year of the King Keun Chogo’s reign (346-375) in Paekche.

The eleventh-century Zi-zhi Tong-jian as well as the nearly contemporary record of the Nan-Qi-shu state that a Northern Wei (386-534) army, comprised of 100,000 cavalry, attacked Paekche but were defeated by the Paekche army (led by four generals) in 488. This account is confirmed by the Samguk-sagi records on the tenth year of King Tong-seong’s reign (488).5 In addition, the Nan-Qi-shu records that in 495 the Paekche king Tong-sung sent an embassy that requested honorary titles for the heroic generals who had repulsed the Wei attack.

Since it is highly unlikely that a cavalry force of such magnitude as recorded in these chronicles could have made its way from northern China to find defeat in the southwestern corner of the Korean peninsula without having passed through Koguryeo (in the reign of King Chang-su, 413-491), and also without being recorded in contemporary chronicles, the “Paekche” appearing in the Zi-zhi Tong-jian and the Nan-Qi-shu must have referred to the Paekche province in Liao-xi. The titles conferred on Paekche generals by the Southern Qi court indeed carried the names of their titular domains that sounded conspicuously like some Liao-xi areas such as Guang-ling, Qing-he, Cheng-yang, etc.6  

According to all of these records, Paekche must have held the Liao-xi province for more than a hundred years, withstanding the animated Xianbei Yan, the ever-expanding Koguryeo, and the fierce Tuoba Wei. Both the Old and the New History of Tang say that the old Paekche territories were divided up and taken by Silla and Parhae-Mohe. If there were no Paekche territory in Liao-xi, and if the Paekche territory existed only at the southwestern corner of the Korean peninsula, then it would have been impossible for the Parhae-Mohe to occupy any of the old Paekche territories.7

Very few events that have ever occurred in Korea proper were corroborated so repeatedly by so many separate records in such diverse dynastic histories of China as the Paekche’s colonization of a Liao-xi area. Also, very few events in Korean history were subject to such an insane refutation by the Japanese scholars as these records.

For those Koreans who believe in modesty as a virtue, the statement of Choi Chi-won (857-?), a great Silla scholar and allegedly a practitioner of Sinocentrism, that “Koguryeo and Paekche at the height of their strength maintained strong armies numbering one million persons, and invaded Wu and Yue in the south and You, Yan, Qi, and Lu in the north of the mainland China, making grave nuisances to the Middle Kingdom” has been a conundrum.8

The Territory Section of Man-zhou Yuan-liu Gao gives a fairly coherent and a rather surprising summary of the Paekche territory showing that it obviously included a portion of the Liao-xi. The following is almost a literal translation.9

The boundary of Paekche begins from the present-day Guang-ning and Jin-Yi provinces in the northwest and then crosses the sea in an easterly direction to arrive at the Chosun’s Hwang-hae, Chung-cheong, Jeon-ra, etc. provinces. Running east to west, the Paekche’s territory is narrow; running north to south, it is long. Thus it occurs that if one looks at the Paekche’s territory from the Liu-cheng and Bei-ping area, Silla is located in the southeast of Paekche, but if one looks from the Kyung-sang and Ung-jin area of Paekche, Silla is located in the northeast. Paekche also borders Mohe in the north. Its royal capital has two castles at two different places in the east and west. Both castles are called “Koma.” Song-shu says that the place governed by Paekche was called the Jin-ping district of the Jin-ping province. Tong-gao says that the the Jin-ping province was located between Liu-cheng and Bei-ping of the Tang period.10 Hence one of the nation’s capital was located in “Liao-xi,” and the other inside the Chosun provinces. It was during the reign of Liang Wu-di that Paekche relocated its capital to a castle in South Korea (South Han).

When the Tang conquered Paekche in 660, they established five commanderies including the Tong-myung Commandery. Tong-myung is the name of the Paekche’s founder who originally came across the river from Ko-ri. Hence Tong-myung seems to indicate the name of a place not far from Ko-ri. According to the History of Liao, Ko-ri represents Feng-zhou and Han-zhou, all of which were located at the present-day Kai-yuan area. Therefore, the Tong-myung Commandery must have been located not far from the Kai-yuan area. Tang-shu says that the Paekche territory was eventually divided up between Silla and Parhae-Mohe, and Paekche henceforth came to an end.

APPENDIX

Guang Yutu

The Woodcut map of China (29 x 41 cm) by Luo Hong-xiang (1504-64) descended from the Guang Yutu of 1320 by Zhu Siben. See Kenneth Nebenzahl, Mapping the Silk Road and Beyond: 2,000 Years of Exploring the East, London: Phaidon, 2004, p. 128.

Di Li Tu

   
▲ 3.2. From Di Li Tu, Cao (1990: 27)
Ink-line Sketch of a Portion of the Di Li Tu in An Atlas of Ancient Maps in China: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to the Yuan Dynasty, edited by Cao Wanru, et al. (1990: 27).

The author of Di Li Tu is Huang Shang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1127-1279). This is one of the eight maps Huang presented to Zhao Kuo, who was then the king of Jia State and later became the Southern Song Emperor, Ning-zong, in 1194. The map was obtained by a man called Wang Zhi-yuan in Si-chuan Province. In 1247, Wang had the map engraved on stone in Su-zhou. The tablet is now preserved in the Su-zhou Stone Tablet Museum. (Excerpt from ibid., p.23, by Qian Cheng and Yao Shi-ying.)

BIBLIOGRAPHY


1 三國史記 高句麗本紀 美川王 十四年 侵樂浪郡 十五年. . .南侵帶方郡 二十年 我及殷氏宇文氏 使共攻慕容廆 二十一年. . . 遣兵寇遼東

晋書卷一百九 載記第九 慕容皝 句麗百濟及宇文殷部之人 皆兵勢所徙

2 宋書 列傳 夷蠻 東夷 百濟國 高麗略有遼東 百濟略有遼西 百濟所治 謂之晋平郡晋平縣

3 梁書 列傳 東夷 百濟 晋世句麗旣略有遼東 百濟亦據有遼西 晋平二郡地矣 自置百濟郡

4 資治通鑑 晋紀 穆帝 永和二年 春正月. . .初 夫餘居于鹿山 爲百濟所侵 部落衰散 西徙近燕 而不設備 燕王皝 遣世子儁 帥慕容軍 慕容恪 慕容根三將軍 萬七千騎 襲夫餘 (二: 326)

5 資治通鑑 齊紀 武帝永明六年十二月 魏遣兵擊百濟 爲百濟所敗. . .晉世句麗略有遼東百濟亦據有遼西晉平二郡也 (二: 1159)

南齊書 列傳 東夷 百濟國 魏虜又發騎數十萬攻百濟入其界 牟大遣將. . . 率衆襲擊虜軍 大破之 建武二年 牟大遣使上表曰. . .臣遣. . .等領軍逆討

三國史記 百濟本紀 東城王 十年 魏遣兵來伐 爲我所敗

6 南齊書 百濟國 . . .牟大又表曰 臣所遣行…廣陽太守…廣陵太守 淸河太守 … 詔可…除太守 … 城陽太守 … 詔可 竝賜軍號

7 舊唐書 列傳 東夷 百濟 … 其地自此爲新羅及渤海靺鞨所分百濟之種遂絶    新唐書 列傳 東夷 百濟 … 而其地已新羅及 渤海靺鞨所分 百濟遂絶

8 三國史記 下 卷第四十六 列傳 第六 崔致遠 ...高麗百濟全盛之時 强兵百萬 南侵吳越 北撓幽燕齊魯 爲中國巨蠹

9 欽定滿洲源流考 卷九 疆域二  百濟諸城 … 謹案 … 百濟之境

西北自今廣甯錦義 南踰海 蓋 東極 朝鮮之黃海忠淸全羅等道 東西狹而南北長 自柳城北平計

之則 新羅在其東南 自慶尙熊津 計之則 新羅在其東北 其北亦與 勿吉爲隣也 王都有東西兩城 號 固麻城 亦曰居拔城 以滿洲語考 之 固麻爲格們之轉音 居拔蓋滿 洲語之卓巴言 二處也 二城皆王 都 故皆以固麻名之 宋書言百濟 所治謂之 晉平郡晉平縣 通考云 在唐柳城北平之間則國都在遼西 而朝鮮全州境內又有俱拔故城殆 梁天監時[502-19] 遷居南韓之 城 歟唐顯慶中[656-60]分爲 五都督府曰 … 東明爲百濟之祖 自槀離渡河以之名地當與槀離國 相近考 遼史 槀離爲鳳州韓州 皆在今開原境則東明都督府之設 亦應與開原相邇矣 … 唐書又言 後爲新羅渤海靺鞨所分百濟遂絶

金史 地理上 廣寧府本遼顯州 … 廣寧有遼世宗顯陵

遼史 地理志二 東京道 顯州 … 奉顯陵…置醫巫閭山絶頂築堂曰望海…穆宗葬世宗於顯陵西山…有十三山

欽定滿洲源流考 卷十四 山川一

元一統志 十三山在廣寧府南一 百十里 … 在今錦縣東七十五里 卷十五 山川二 … 明統志 大凌河源出大甯自義州西六十里入境南流經廣寧左右屯衛入海  

欽定滿洲源流考 卷十一 疆域四 遼東北地界 遼史 顯州 … 本漢無盧縣卽醫巫閭 … 自錦州八十里至… 元一統志 乾州故城在廣甯府西南七里

10 欽定 滿洲源流考 卷三 部族 百濟 … 通典 [卷一百八十五 邊方典一]… 晋時句麗旣略有遼東 百濟亦略有遼西晋平 唐柳城北平之閒 … 元史 … 唐柳城北平之間實今錦州 …

©2005 by Wontack Hong
All rights reserved.

 


East Asian History: A Korean Perspective             Vol. 1. No. 3. 2005. 1. 8.

백제의 요서(遼西)진출 기록: 백제의 강역(彊域)
                                                             

삼국사기를 보면, 고구려 미천왕(309-331)이 319년에 두개의 선비족(鮮卑族)과 연합을 하여 모용외(慕容廆, ?-333)가 이끄는 선비족을 공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모용외의 아들인 모용황(慕容煌)은 337년에 스스로를 연왕(燕王)이라 하고, 349년에는 전연(前燕)을 세웠다. 진서(晋書)에는 이 모용황에 맞서 고구려, 백제, 선비족이 연합하여 군사를 일으켰다는 내용이 있다.

송서(宋書)에는 고구려가 요동을 공격하여 점령하였고, 백제는 요서를 점령하였는데, 백제가 통치한 지역의 이름이 진평군 진평현(晋平郡 晋平縣)이라는 기록이 있다. 양서(梁書)에는 동진(東晋, 317-420) 때에 고구려가 요동을 점령하였고, 백제는 요서(遼西)와 진평을 점령하여 백제군(百濟郡)을 설치했다는 기록이 있다.

송대(宋代, 960-1279)의 사마광(司馬光, 1019-1086)이 편찬한 자치통감(資治通鑑)에는 346년에 백제가 녹산(鹿山)에 있는 부여를 공격하였으므로, 부여사람들이 흩어져 서쪽에 있는 연(燕)나라 쪽으로 도망을 갔는데, 연왕 모용황이 황태자와 세명의 장군(모두 모용씨)에게 1만 7천여명의 기병을 주어 이미 방어능력을 상실한 부여사람들을 공격하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346년은 백제에서 근초고(346-375)가 왕으로 등극한 원년(元年)이다
 
11세기에 편찬된 자치통감뿐만이 아니라, 바로 당대 기록에 가까운 남제서(南齊書)에서도 북위(北魏, 386-534)가 10만 여명의 기병을 보내 백제를 공격하였으나, 4명의 장군이 이끄는 백제군에게 (488년에) 패했다고 말한다. 이 사실은 삼국사기 동성왕(479-501) 10년 조에서도 재확인된다. 또 남제서에는 동성왕이 495년에 사절단을 보내 북위의 공격을 격퇴하는데 공을 세운 백제장수들에게 장군 칭호를 내려 달라고 요청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들 사서에 기록된 10만이라는 대규모의 북위기병이 북중국으로부터 장수왕 (413-491)이 통치하고 있던 고구려 땅을 온전하게 통과 해, 한반도의 서남부에 있었다는 백제에까지 쳐들어 왔다가 패해 돌아갔다는 것은 말이 안 되며, 또 이렇게 엄청난 사건이 당대의 기록에 누락될 리도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자치통감과 남제서가 말하는 백제란 분명히 요서에 있는 백제군을 지칭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동성왕의 요청에 의해 남제(南齊) 조정이 백제 장군들에게 수여한 칭호에 들어있는 광능(廣陵), 청하(淸河), 성양(城陽) 등은 모두 분명히 요서의 지명들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에 열거한 기록들을 종합해 보면, 백제는 4세기 중 어느 때인가 요서 일부를 점거하여 100년 이상을 통치하였다고 이해 할 수 있다. 백제는 그 역동적인 선비족의 연(燕)나라와 대치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끈임 없이 영토를 확장해 가고 있던 당시의 고구려와 맞서고, 동시에 전성기의 북위에도 굴복하지 않고, 요서 땅에 백제군을 유지했다는 말이 된다.

신당서(新唐書)와 구당서를 보면 백제의 고토(古土)는 신라와 발해말갈에 의해 분할 점령되었다고 적혀있다. 만약 백제의 영토가 요서에 없었다면, 그리고 백제의 강역이 단지 한반도의 서남부에만 국한되었었다면, 발해말갈이 백제의 고토를 분할 점령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얘기가 된다.

한반도에서 발생한 역사적인 사실들 중, 백제의 요서진출 기록만큼 그렇게 다양한 중국 정사(正史)에 그렇게 여러 차례에 걸쳐 확인 재확인된 역사적 사실은 없는 것 같다. 또 이 백제의 요서진출 기록처럼 그렇게 많은 일본 학자들은 (논리적? 분석이라는 미명하에) 그토록 미친 듯이 못 믿겠다며 반박을 하는 경우도 없을 것이다. 
 
겸손을 최상의 미덕으로 내세우는 한국 사람이라면, 신라의 대학자이며 소위 중화사상에 치우쳤었다는 최치원(崔致遠, 857-?)이 말했다는 “고구려, 백제가 한창 강성할 때는 100만 대군을 보유하였으며, 남쪽의 오(吳), 越(월)과 북쪽의 유(幽), 연(燕), 제(齊), 노(魯)를 공격하여 중국의 골칫거리가 됐었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이 수수께끼 같은 말로 들릴 것이다.

만주원류고의 강역(彊域)편에는 백제의 강역에 대해 놀라운 내용이 요약되어 있다 즉, 백제가 요서의 일부 지역을 점거하고 있었다는 것을 아주 분명하게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내용이다. 다음은 만주원류고 기록을 거의 있는 그대로를 번역한 것이다

“백제 강역의 경계는 서북쪽으로는 오늘날의 광녕(廣寧)과 금의(錦義, 금주- 의주)에서 시작되며, 바다를 건너 남쪽으로 가다가 동쪽으로 틀어 조선의 황해, 충청, 전라 지역에 이른다. 백제의 강역은 동서로 보면 상당히 좁으나, 남북으로 보면 굉장히 길다. 유성(柳城)이나 북평(北平)에서 보면, 신라는 백제의 남동쪽에 위치한 것으로 보이고, 경상 지역이나 웅진에서 보면 신라는 백제의 동북쪽에 위치한 것으로 보인다. 또 백제는 북으로 말갈과 접경한다.

백제의 왕성(王城)은 동과 서에 각각 하나씩 있었는데, 이 두개의 성을 모두 고마(固麻)라고 불렀다. 송서(宋書)는 백제가 점거했던 지역이 진평군 진평현 이었다고 기록한다 통고(通考)에 의하면 이 지역은 당나라 때의 유성(柳城)과 북평(北平) 사이에 위치해 있었다. 백제 수도 중 하나는 요서에 있었고, 다른 하나는 조선 땅에 있었는데, 양 무제(梁武帝, 502-519)때에 와서 백제는 수도를 한반도 남쪽으로 옮겼다.

당나라는 660년에 백제를 멸하고 동명도독부(東明都督府)를 포함하여 5개의 도독부를 설치하였다. 그런데 동명도독부라는 명칭에 나오는 동명은 백제 건국시조의 이름이며, 기록에 그가 원래 고리(高離)에서 강을 건너 왔었다고 하니 동명도독부는 고리 땅에서 그리 멀지 않은 지역에 설치되었을 것이다. 요사(遼史)를 보면 고리는 봉주(鳳州)와 한주(韓州)를 의미하는데 이들은 모두 오늘날의 개원(開原) 지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동명도독부는 개원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설치되었을 것이다. 당서(唐書)에는 백제의 옛 강역이 신라와 발해말갈에 의해 분할 점령되어 소멸되었다고 적혀있다.”

동아시아 역사 강의: 1-3 (2005. 1. 8)
정리: 강현사 박사 

ⓒ 2005 by Wontack 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