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과학적인東亞史

(9)정복왕조 출현의 전조(前兆): 흉노의 쇠퇴와 만주 선비족의 등장

이름없는풀뿌리 2015. 8. 12. 10:00

정복왕조 출현의 전조(前兆): 흉노의 쇠퇴와 만주 선비족의 등장
Fall of Xiong-nu and Rise of Manchurian Nomad Xianbei Replacing Xiong-nu

 

화평을 미끼로 한족들로부터 온갖 재화를 갈취 해 오던 몽골고원의 흉노족이 내분으로 몰락하고, 요서 초원의 소위 동호(東胡)라는 선비(鮮卑)족이 대체세력으로 나타나, 중국대륙에 본격적인 이민족 정복왕조의 등장을 예고하게 된다. 본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Text in PDF .../편집자 주

   
▲ Gold (with iron core) belt buckle and plaques with mythical animals excavated at Hohhot Watt, et al. (2004: 126)

Fall of Xiong-nu and Rise of Manchurian Nomad Xianbei Replacing Xiong-nu


Wontack Hong
Professor, Seoul University


Guang Wu-di (25-57), who founded the Later Han dynasty (25-220), re-conquered South China and northern Vietnam, and Ming-di (57-75) tried to restore the control over Xiong-nu. An outbreak of the Xiong-nu civil war after AD 47 left the Mongolian steppe fragmented for the first time in 250 years, since the rise of the nomadic empire under the leadership of Mao-dun in 209 BC. The Wu-huan and the Xianbei of Liao-xi steppe, that had both a common origin and language, threw off the Xiong-nu control.

In 48 AD, when the Xiong-nu split into two groups, a court official named Zang Gong “advocated taking advantage of Xiong-nu weakness by becoming allied with the Koguryeo, the Wu-huan, and the Xianbei to attack the Xinog-nu.” 1 Guang-wu-di, however, forcefully declared his position against war. In AD 49, Guang Wu-di attracted the Xianbei to the Han side by offering generous gifts and trade. After AD 58, the Han court made regular annual payments (to the sum of two hundred and seventy million coins) to Xianbei chieftains that amounted to almost three times the cash value made over to the southern Xiong-nu during the same period.2

During 89-93, a combined force of Xianbei, southern Xiong-nu, and Later Han troops routed the northern Xiong-nu in the Orkhon region, which likely had caused their western migration from Mongolia all the way to the southern Russian steppes, passing through the steppes of Balkhash and the Aral. The Xiong-nu of the west disappeared from history until their descendants crossed the Volga and the Don in about 374 and invaded the Roman Europe under the name of Huns, led by Attila after 441. With Attila’s death in 453, the Huns withdrew back toward the Russian steppe.

   
▲ 1st Century Gold Crown excavated at Tillya-Tepe Northern Afganistan

The Aryans that had settled in the north of India and Iran in prehistoric times dispersed west and south. The Aryans moved down to the Indus Valley around 1500 BC, destroying the Dravidian civilization of Mohenjo-Daro, whose cruelty is vividly recited in the Mahabharata. The Aryans occupied the steppes of southern Russia and western Siberia in the name of Scythians from the seventh to the third century BC, and in some other names thereafter. The Xiong-nu and, in later times, Turks and Mongols from the Mongolian steppes were bound to have heavy genetic mixing with the Aryans (farmers or nomads) on their way west. Historically, women have been much more genetically mobile than men because of brutal practices.3 Geometrically stylized Scythian animal art, like the Ordos Xiong-nu art of stylized animal motifs, was surely ornamental. Both the Scythians and the Xiong-nu were mounted archers, eating only meat, sleeping on furs in felt tents, and hunting enemy skulls to be used as drinking-cups.

The Xianbei of western Manchuria gained autonomy by default and absorbed the majority of the remains of northern Xiong-nu, including their land. We can see why the culture of Xianbei became rather Mongolic (or Turkic). Unlike the Xiong-nu, however, the Xianbei had a weak confederacy under an elected leader with limited supra-tribal leadership. Petty chieftains, who occasionally united under a charismatic leader, entered the tributary system of Chinese dynasties as small autonomous tribes. The Xianbei pattern stressed an egalitarian political system with no hereditary succession, in contrast to the Xiong-nu pattern of hereditary leadership and central authority. It was the demise of the northern Xiong-nu that gave rise to Xienbei power.4

The Later Han court was willing to deal directly with minor Xianbei chieftains. It encouraged the fragmentation of nomadic tribes by providing titles and subsidies directly to the numerous tribal leaders. The Chinese frontier officials let each tribal leader of barbarian lands participate in the tributary system individually, receiving titles and gifts appropriate to their rank, as well as the right to trade. They tried to handle petty tribal rulers separately and allow many jealous chieftains to obtain subsidies without giving up their autonomy in order to encourage them to oppose any centralization and unity on the steppe.5

According to Barfield (1989: 85), the Later Han records of AD 108 counted 120 small Xianbei tribes as compared to one or two dozen tribal groups whose names appeared in the reports for the whole steppe under the generic name of Xiong-nu. For an elected Xianbei leader, however, the best strategy to maintain tribal unity was to raid China in combined military action. The military strategy adopted by Xianbei was identical to that of Xiong-nu: the savage raiding for loot followed by withdrawal to the steppe, alternating peace and war to increase subsidies or trade, and refusal to occupy the Han Chinese land.

The civilian officials of the Chinese court, trained in the Confucian tradition, were opposed to offensive military tactics because they generated opportunities for the advancement of soldiers and merchants (see Jagchid and Symons, 1989, p. 54). They cited the wars of Qin Shih Huang-di and Han Wu-di as examples of bad policy for dealing with an area that China could never incorporate or easily pacify. Stability could be maintained by a policy of appeasement under the cloak of the tributary system. For the civilian officials, paying off the nomads was decidedly a cheaper and better strategy than constantly fighting them.6 The tactics of the conquest dynasties of Manchurian origin (that occupied North China after 300 AD), however, were quite different from the tactics of Chinese dynasties, and created great difficulties for the Turko-Mongol nomads.

The Han Chinese dynasties (206 BC-316 AD) facing the steppe nomads were contemporaneous with the Roman Empire (272 BC-395 AD) facing the German barbarians. In order to drive the Xiong-nu away from the Silk Road from which they were extracting food and wealth, the Later Han court had let generals Ban Zhao and his son Ban Yong conquer the entire Tarim basin between 94-127, introducing Buddhism and Gandharan style Greco-Hellenistic art to the east, and facilitating the contacts with the western end of the Eurasian continent.

   
▲ 4-5th Century Tomb Painting Crow, Horse and Human Figures excavated in Űrűmqi (Urumchi)

Being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arm Mediterranean region, the Roman Empire flourished throughout the Little Ice Age (400 BC-300 AD), but the advent of global warming coupled with droughts started to activate all sorts of northern barbarians. This period coincides with the beginning of the era of Five Barbarians and Sixteen States in North China (304-439) and the Germanic Folk-movements in Europe (374-453). At the beginning of the fourth century, Germanic peoples, who had been playing the Xiong-nu to the Romans, were stretched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frontier from the Rhine to the Black Sea. The invasion of the Huns after 374 triggered a chain reaction. The whole of Europe was ravaged both by the wild Huns in continuous pursuit of other tribes and by the runaway Germanic tribes.

Lamb (1995: 160-1) notes: “By the fourth century AD, as we know from changes of level of the Caspian Sea and studies of the intermittent rivers and lakes and abandoned settlements in Sinkiang and central Asia, drought developed on such a scale as to stop the traffic along this route [Silk Road]. … The suggestion, made by Ellsworth Huntington in his book The Pulse of Asia in 1907, that it was the drying up of pastures used by the nomads in central Asia that set off a chain reaction of barbarian tribes and unsettled peoples migrating westwards into Europe, where they ultimately undermined the Roman empire, looks a sensible one in the light of this evidence.”

BIBLIOGRAPHY


[각주]

1 See Jagchid and Symons (1989: 63).
後漢書 卷十八 列傳第八 … 後匈奴飢疫 自相分爭… 建武 二十七年 宮…上書曰 … 諭告高句麗烏桓鮮卑攻其左 發河西四郡 … 如此 北虜之滅

2 See Twitchet and Loewe (1986: 443). The money was paid by revenues collected in Shan-dong and Kiang-su. Also see Jagchid and Symons (1989: 33).

3 Cavalli-Sforza (2000: 82)

4 See Barfield (1989: 86-87).Hou Han-shu quotes a memorial submitted in AD 177,
“Ever since the [northern] Xiong-nu ran away, the Xianbei have become powerful and populous, taking all the lands previously held by the Xiong-nu and claiming to have 100,000 warriors. … [R]efined metals and wrought iron have come into the possession of the [Xianbei] rebels. Han deserters also seek refuge [in the lands of the Xianbei] and serve as their advisers. Their weapons are sharper and their horses are faster than those of the Xiong-nu.” See Twitchett and Loewe (1986: 445).

後漢書 卷九十 烏桓鮮卑列傳第八十 … 自匈奴遁逃 鮮卑强盛 據其故地 稱兵十萬 … 精金良鐵 皆爲賊有 漢人逋逃 爲之謀主 兵利馬疾 過於匈奴

Hou Han-shu records another story told by a memorialist in AD 185, “The Xianbei people … invade our frontiers so frequently that hardly a year goes by in peace, and it is only when the trading season arrives that they come forward in submission. But in so doing they are only bent on gaining precious Chinese goods; it is not because they respect Chinese power or are grateful for Chinese generosity. As soon as they obtain all they possibly can [from trade], they turn in their tracks to start wreaking damage.” See Twitchett and Loewe (1986: 446).

後漢書 卷四十八 列傳第三十八 鮮卑隔在漠北 …故數犯障 塞…唯至互市 乃來靡服 苟欲中國珍貨...計獲事足 旋踵爲害

5 See Barfield (1989: 246-249). According to Jagchid and Symons (1989: 24-51), the Han Chinese court was, at times, able to pit one nomadic leader against another, but most often the court simply purchased peace along the frontier by establishing markets and offering profuse gifts to nomadic leaders.

6 Barfield (1989: 246-249)
漢書 卷九十四下 匈奴傳第六
十四下 莽將嚴尤諫曰 …中國罷耗…而天下稱武 是爲下

wthong@wontackhong.pe.kr.
©2005 by Wontack Hong
All rights reserved.




정복왕조 출현의 전조(前兆): 흉노의 쇠퇴와 만주 선비족의 등장

洪元卓 (서울대 교수)

후한(後漢, 25-220)을 세운 광무제(光武帝, 25-57)는 중국 남부와 월남의 북부를 다시 정복했다. 기원전 209년에 묵특의 지휘아래 유목제국을 수립한지 250여년이 지난 AD 47년, 흉노제국에 내란이 일어나 몽골초원 전체가 산산조각이 났다. 덕분에 요서 초원지대의 오환(烏桓)과 선비(鮮卑)는 제일 먼저 흉노의 지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물실호기, 후한 명제(明帝, 57-75)는 전한 무제를 본받아 흉노를 다시 한번 통제해 보려 했다.

일찍이 AD 48년에 흉노제국이 남과 북으로 양분되자, 조정관료인 장궁(臧宮)은 흉노의 약세를 틈타 “고구려,” 오환, 및 선비와 연합하여 흉노를 공격하자고 주장했었다. 1 당시 광무제는 전쟁을 반대하는 자신의 신조를 강하게 피력했다. 49년, 광무제는 푸짐한 선물과 국경무역을 제공해 선비족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였다. 명제가 즉위한 다음 해인 58년 이후에 후한 조정이 선비 부족장들에게 정기적으로 갖다 바친 금액은 년간 2억 7000만냥에 달했는데, 그 규모는 같은 기간 동안 남흉노에게 바친 것의 세배에 달하였다. 2

드디어 화제(和帝, 88-105) 즉위 직후인 89-93년 기간 중, 선비-남흉노-후한의 연합군이 오르콘 지역의 북흉노를 섬멸했다 살아남은 흉노 중 일부는, 몽골고원으로부터 계속 서쪽으로 달아나 발카하쉬와 아랄 초원지대를 경유해 러시아 남부 초원지대에 까지 이르렀다. 이들 서방으로 달아난 흉노는 역사에서 사라졌다가, 그 후손들이 “훈”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나타나, 374년경에 볼가강과 돈강을 건너 로마제국을 침공했다 441년부터 아틸라의 지휘를 받아 유럽대륙을 유린 하다가, 아틸라가 453년에 죽자, 훈족은 러시아 초원지대로 철수했다.

선사시대에 인도 북부와 이란에 정착했던 아리안족은 서쪽과 남쪽으로 퍼져나갔다. 아리안족은 기원전 1500년경에 인더스계곡으로 내려와 모헨조다로의 드라비다 문명을 파괴해 버렸다 그 잔혹상은 옛 인도의 대서사시인 마하바라타에 선명하게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아리안족은 기원전 7세기-3세기 기간 중에는 스키타이라는 이름으로, 또 그 이후에는 여러 다른 이름으로 남부 러시아와 시베리아 서부의 목초지대를 점거하였다. 흉노족부터 시작해 후대에 몽골고원의 투르크와 몽골족들이 계속 서방으로 밀고 들어오는 과정에서 아리안족과의 혼혈이 심화되었다. 난폭한 관행 탓에 역사적으로 여자들은 남자들 보다 유전적 유동성이 훨씬 높았다. 3  기하학적 형상으로 정형화된 스키타이 동물 예술품은, 동물형상을 주제로 정형화된 오르도스 흉노 예술품과 마찬가지로, 모두 신변장식용이었다 스키타이족과 흉노족들은 말을 타고 활을 쏘며, 고기만을 먹고, 천막 속의 모피 위에서 잠을 자며, 술잔으로 쓰기 위해 적의 두개골을 사냥했다.

만주 서부의 선비족들은 흉노족의 내란 덕분에 독립을 되찾고, 잔존 북흉노족의 대다수와 그들 영토를 흡수 병합하였다. 퉁구스족에 비해 선비족의 문화가 몽골(혹은 투르크)적인 것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선비족의 전통은 흉노족과는 달리 선출된 지도자가 제한된 지휘권만을 갖는 약한 부족연맹체였다. 크고 적은 부족장들은 이따금 개성이 강한 지도자의 영도 하에 단합을 하기도 하지만, 흔히 이들 작은 부족들은 자치권을 행사하면서 제가끔 중국 왕조의 조공체제에 개별적으로 가입했다. 통치권이 세습되고 중앙집권화된 흉노족의 체제와는 달리, 선비족은 세습보다는 평등적 정치체제를 강조하였다. 북흉노의 쇠망이 묵특에게 정복당했던 선비 세력의 재기를 가능케 한 것이다. 4

후한 조정은 중소 선비 부족장들과 기꺼이 직접 거래를 했다. 많은 부족장들에게 그럴듯한 칭호를 수여하고, 각종 물자를 제공 함으로서, 유목민 부족들의 분열을 조장하려 했다. 변경지역의 한족 관리들은 중소 부족장들에게 지위에 걸맞은 칭호와 선물은 물론, 교역을 할 수 있는 권한도 부여하면서, 그들이 개별적으로 조공체제에 참여하도록 유도했다. 질투심이 강한 수많은 부족장들이 독립성을 유지하면서도 중국 조정의 보조금을 얻을 수 있도록 개별적인 거래를 하는 전략을 구사 해, 선비족 중소 부족장들 스스로가 초원지대의 단결과 중앙집권화를 반대하게끔 유도했던 것이다. 5

Barfield (1989: 85)에 의하면, 후한 시대인 AD 108년 당시, 선비라는 이름으로 기록된 중소 부족들은 120 개에 달했으나, 흉노의 이름으로 기록된 부족들의 수는 초원지역 전체를 통해 20여 개에 불과했다. 그러나 선출된 선비족 지도자의 입장에서 보면, 전 부족이 통합된 군사작전을 벌려 중국을 침략하는 것이 부족간의 단합을 유지하는 최선의 방책이었다. 당시 선비족이 채택한 전략은, 흉노와 마찬가지로, 중국본토를 야만적으로 습격해서 약탈을 한 다음 초원지대로 퇴각을 하는 것이다 보상금 혹은 교역량을 크게 하기 위해 전쟁과 평화를 반복하고, 수적인 열세를 드러내지 않기 위해 중국본토를 점령하지 않았다.

공세적인 군사전략은 무관과 상인들의 출세 기회를 확대했기 때문에, 유교전통으로 훈련된 중국 조정의 문관들은 이를 반대하였다. (Jagchid and Symons, 1989, p. 54). 문신들은 진시황과 한무제가, 쉽게 평정 할 수도 없고, 중국에 편입시킬 수도 없는 땅을 놓고 흉노와 벌인 전쟁을 아주 졸렬한 정책의 대표적인 예로 들었다. 조공 형식으로 포장한 유화정책을 통해 화평과 안정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는 문관들은, 유목민들과 끊임없이 싸우기 보다는 그들에게 물자를 제공하는 것이 훨씬 저렴하고 좋은 전략이라고 믿었다. 6  그러나 AD 300년 이후에 북중국을 정복한 만주 출신 정복왕조들이 채택한 전략은, 한족 조정의 전략과는 판이하게 달랐기 때문에, 몽골고원의 투르코-몽골 유목민들을 아주 힘들게 만들었다.

한족 왕조들이 흉노에 이어 선비 등 유목민들과 대치한 시기(BC 206-AD 316)는 로마제국이 게르만 민족과 대치하고 있던 시기와 대충 일치했다(BC 272-AD 395). 실크로드로부터 물자를 갈취하는 흉노를 좇아내기 위해, 후한(後漢) 조정은 반초(班超)와 그의 아들 반용(班勇)을 파견하여 94-127년 기간 중 타림분지 전체를 정복했다. 그 결과, 서역으로 가는 길이 열려 불교와 그레코-헬레니즘 양식의 간다라 예술이 전파되었고, 유라시안 대륙의 서쪽 끝과의 교류도 증진되었다.

따뜻한 지중해 연안에 위치한 로마제국은 소빙하기 (小氷河期, BC 400-AD 300) 전반을 통해 번영을 구가했으나, 4세기, 지구 온난화 회복시작에 동반된 가뭄은 온갖 종류의 북방 야만족들이 준동하게 만들었다. 4세기는 북중국에서 5호16국시대(304-439)가 시작되는 시기와 일치하며, 유럽에서는 게르만민족의 대이동(374-453)과 일치한다. 로마 사람들한테 흉노 노릇을 하고 있던 게르만족들은, 4세기 초, 란인강으로부터 흑해에 걸쳐 전 로마제국 북방 국경선에 포진을 하고 있었다. 374년 이후의 훈족 침입은 연쇄반응을 촉발했다 미친 듯이 쫓는 훈족과 정신 없이 쫓기는 게르만족들에 의해 유럽전체가 황폐화 되었다.

Lamb(1995: 160-1)은 “우리가 카스피해 수면 높이의 변화와, 간헐적 강과 호수, 그리고 신강과 중앙아시아의 유기되어 버려진 거주지들에 대한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4세기에 들어 한발이 극에 달해 실크로드 통행은 정지 상태에 빠졌었다 이러한 증거에 비추어 보면, 중앙아시아 유목민들의 생활터전인 목초지대를 휩쓴 가뭄이, 야만 유목민족들과 그들에 쫓겨 떠돌이 신세가 된 종족들로 하여금, 서쪽 유럽대륙으로 밀려가는 연쇄반응을 촉발 해, 마침내는 로마제국을 쇠퇴시켰다는 Huntington의 (1907년) 주장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한다.

동아시아 역사 강의: 1-8 (2005. 2. 12.)
정리: 강현사 박사

ⓒ 2005 by Wontack Hong


[각주]

1. Jagchid and Symons (1989: 63) 참조.

後漢書 卷十八 列傳第八 … 後匈奴飢疫 自相分爭… 建武 二十七年 宮…上書曰 … 諭告高句麗烏桓鮮卑攻其左 發河西四郡 … 如此 北虜之滅

2. Twitchet and Loewe (1986: 443)을 참조. 이 모든 비용은 산동과 강소에서 거두어들인 세금으로 충당되었다. Jagchid and Symons (1989: 33)을 참조.

3.  Cavalli-Sforza (2000: 82)

4. Barfield (1989: 86-87) 참조. 후한서(後漢書)는 AD 177년에 올려진 상소문의, “(북)흉노가 달아 난 이후, 선비 무리는 강성하게 되었습니다. 이전에 흉노가 차지하고 있던 땅을 점거하고, 10만 대군을 보유하고 있다고 떠들어 대는데, 정제된 금속과 연철(鍊鐵)도 이 선비 반도들 손에 들어가 있습니다. 한족 이탈자들은 선비의 땅으로 달아나 그들의 참모 노릇을 합니다. 선비족의 무기는 옛 흉노보다 한층 더 날카로워졌고, 말들은 더욱 빨라졌습니다”라는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Twitchett and Loewe (1986: 445) 참조. 후한서 185년 조에는, 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선비족들이 걸핏하면 국경을 침범하기 때문에 평화스럽게 지내는 해가 거의 없다. 그자들은 중국의 힘을 존경하거나, 중국의 관용을 고맙게 생각 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국경시장에서 교역을 할 때만 진귀한 중국 재화들을 값싸게 얻기 위해 복종을 하는 체 하며 나타난다 그들은 교역으로부터 최대한 얻을 수 있는 것을 손에 넣자마자 본성을 나타내 해를 끼친다” Twitchett and Loewe (1986: 446) 참조.

後漢書 卷九十 烏桓鮮卑列傳第八十 … 自匈奴遁逃 鮮卑强盛 據其故地 稱兵十萬 … 精金良鐵 皆爲賊有 漢人逋逃 爲之謀主 兵利馬疾 過於匈奴
後漢書 卷四十八 列傳第三十八 鮮卑隔在漠北 …故數犯障塞… 唯至互市 乃來靡服 苟欲中國珍貨… 計獲事足 旋踵爲害

5.  Barfield (1989: 246-249) 참조. Jagchid and Symons(1989: 24-51)에 의하면, 한족 조정은 때로는 이간질을 하여 선비 부족장들 사이에 싸움을 부칠 수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경우, 단순히 유목민 지도자들에게 많은 선물을 주고, 국경에 교역시장을 제공해 평화를 샀다.

漢書 卷九十四下 匈奴傳第六 十四下 莽將嚴尤諫曰 …中國罷耗…而天下稱武 是爲下


6. Barfield (1989: 246-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