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과학적인東亞史

(22)칠지도/광개토왕 비문 : 한반도에서 싸우는 야마도 병사들

이름없는풀뿌리 2015. 8. 12. 10:23
 
칠지도/광개토왕 비문 : 한반도에서 싸우는 야마도 병사들
[홍원탁의 동아시아사 바로보기] King Kwang-gae-to’s Stele

 

백제는 근초고왕-근구수왕(346-84)의 전성기가 지나고, 고구려는 광개토대왕(391-413)이 등장한다 전장에서의 백제의 처지는 역전되었다. 아신왕은 백제의 생존을 위해, 아직 정복자의 기세가 생생하게 살아있는 신생 야마도 왕국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함을 느꼈다. 397년, 아신왕은 태자 전지(腆支)를 호무다 (오오진) 조정으로 보낸다. 광개토왕 비문을 보면, 고구려 군대가 392년과 396년에는 백제를 초토화시켰으나, 그로부터 수년 후인 400년과 404년에는 용감한 야마도 병사들이 백제 편에서 고구려와 열심히 싸우는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광개토왕 비문뿐 아니라 일본서기에서도, 마치 흑수말갈 병사들이 고구려 편에 서서 싸우듯, 야마도 병사들이 자주 백제 편에 서서 고구려-신라와 싸우는 기록들이 나온다. 일본서기의 기록을 보면, 백제가 한반도 내부 전쟁에 야마도 병사들을 데려다 쓰는 관행은 6세기까지 지속된 것 같다. 본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Text in PDF.../편집자 주

   
▲ 奈良縣 天理市 石上神宮 七支刀
King Kwang-gae-to’s Stele

yamato solideirs in the korean peninsula


Wontack Hong
Professor, Seoul University


The Seven-Branched Sword

The Seven-branched Sword, that is preserved at the Isono-kami Shrine, is believed to be the sword that is spoken of in Nihongi as having been sent by the Paekche court to the Jingū’s court in 372.1 Nihongi portrays Prince Homuda as a son of Jingū Regent and the heir apparent to the throne at that time.

According to the Nihongi record for the year 366, the Paekche court had dispatched scouts to a Kaya state in 364 to gather information about the passages to the Japanese islands. The movement of the Paekche people to the Japanese islands must have occurred not long after 366. According to the Nihongi record on the extensive pen/insular military activities in 399-70 involving the Yamato soldiers, Paekche generals, King Keun Chogo and the Crown Prince Keun Kusu, Prince Homuda [the founder of the Yamato kingdom] and his followers seem to have departed the Korean peninsula sometime during 369-70.

The sword seems to have been bestowed upon Homuda who was undertaking the conquest of the Japanese islands, apparently as a symbolic gesture of well-wishing for his endeavor and solidarity with his new kingdom. The inscription on the Seven-branched Sword says that the sword was manufactured in May 369, and the Nihongi record says that the sword was delivered to Homuda on September 10th, 372, most likely soon after he had landed on the Japanese islands. Taking account of the fact that so many people from the Korean peninsula had already gone across the sea to settle down in the Japanese islands, an official evidence to testify visually the mandate of the Paekche court bestowed upon Homuda as the ruler of the new kingdom was presumably expected to enhance the cooperation of the old settlers and facilitate the conquest. King Keun Cho-go died in 375.

The full translation of the inscription on the sword may be read as follow: “On May 16th, the 4th year of Tae-hwa [369], the day of Byung-O at noon, this seven-branched sword was manufactured with hundred-times-wrought iron. As this sword has a magical power to rout the enemy, it is sent [bestowed] to the king of a vassal state. Manufactured by □□□□. Never has there been such a sword. The Crown Prince of Paekche, who owes his life to the august King, had this sword made for the king of Yamato [or the king of vassal state]. Hope that it be transmitted and shown to posterity.”2

Naturally, most Japanese scholars have tried to turn the inscription around and cast Paekche as the “vassal state” by reading the inscription “respectively presenting the sword to the Emperor by the Paekche King.” 3

The Paekche court at first seems to have treated Homuda as the king of a vassal state, as was inscribed on the Seven-branched Sword. King Chinsa (385-392), a son of Keun Kusu, in particular, seems to have treated Homuda as inferior to himself. According to Nihongi, Homuda dispatched four generals to Paekche and severely reprimanded Chinsa in 392 for such unwarranted treatment, which perhaps came to be inscribed in the Kwang-gae-to’s epitaph as “Wa coming in the year 391.”4 Homuda also reproved severely the new king Asin (392-405), a grandson of Keun Kusu, in 397 (or in 396) for such an attitude. 5 I speculate that Homuda, the founder of the Yamato kingdom, and Keun Kusu, the Crown Prince and later King of Paekche, belonged to the same generation, possibly with some age difference, and hence Homuda could not stand such unwarranted attitude of young Paekche kings of the later generation.

Paekche had managed to maintain the upper hand militarily against Koguryeo until September 390 (when King Chinsa let General Jin Kamo capture a Koguryeo castle and 200 prisoners), but the appearance of King Kwang-gae-to the Great (391-413) in Koguryeo completely reversed Paekche’s fortunes in the battlefield.6 King Asin belatedly recognized the urgent necessity, for the very survival of Paekche, of the help from the new Yamato kingdom still fresh in its conqueror’s vigor. King Asin decided to send his crown prince Chonji to the Yamato court in 397 in order to transform the unnecessarily created ill will between the two courts into an active alliance.7 The inscription of Kwang-gae-to’s stele suggests that the efforts by Asin and Chonji were apparently successful. The Koguryeo army led by King Kwang-gae-to devastated Paekche in 392 and 396, but later saw as valiant warriors the Yamato soldiers fighting alongside of the Paekche soldiers in 400 and also in 404.

King Kwang-gae-to’s Epitaph: Correct translation

The story that Japan had a unified and powerful state as early as the third or fourth century, possessed a colony called Mima-na on the southern peninsula, and controlled Paekche and Silla used to be based on the anachronistic and incoherent bits and pieces of episodes and fantasies recorded in Kojiki and Nihongi. There are, of course, no records which suggest any such possibility in any Korean or Chinese chronicles. Nonetheless, the Japanese made a discovery in 1882 which could be viewed as an objective support for their claim. It is a single line in the inscription on the epitaph of King Kwang-gae-to, a copy of which was brought to Japan by Sakao Kagenobu, an army officer and intelligence agent of the Japanese General Staff Office. This is the famous Sin-myo (391) Record. Japanese historians interpret the line of inscription in the following fashion: “Since the year of Sin-myo, Wa came and crossed over the sea, and conquered Paekche, Imna and Silla, and thereby made them [Wa’s] subject.” This translation constitutes the so-called unshakable “evidence” in support of the dogma of almost every Japanese historian working on this period that the Yamato kingdom had already existed in the fourth century as a unified and powerful state, and furthermore had militarily controlled (or even colonized) South Korea. 8

According to Hatada (1979): “Prewar [Japanese] history textbooks were based on the records of the Nihon shoki and said that Japan had controlled ancient Korea, whereas postwar texts were based on the King Kwang-gae-to stele inscription, but still accepted Japan’s control of Korea. Thus the basis for the view that Japan had controlled Korea moved from an unreliable ancient chronicle to the reliable stele inscription. Though the history texts written after the surrender were vastly different from their prewar counterparts, in this one respect there was no change, and King Kwang-gae-to’s stele was the basis of the argument.”

According to Ledyard (1975), Paekche “came under heavy and continuous battering from their Koguryeo cousins in the north, and were quite severely in trouble during the 390’s and 400’s. Help from their brothers in Japan may have been the only thing that saved them – in any case, this is what I think it means on the Kwang-gae-to’s Stone when it says that the Wa came across the sea and fought in Korea.” Hence, one may understand the statement that “Wa conquered Paekche, Imna and Kara and made them their subjects” as reflecting the feeling of contempt that Koguryeo must have held for Paekche’s dependence on Wa troops.9   That is, Koguryeo must have been angered by Paekche’s frequent reliance Wa soldiers, and therefore could have decided to inscribe on the monument, with contempt, that Paekche, together with Imna and Kara, were conquered by Wa and became its subjects.

Of course there are alternative ways to interpret the Sin-myo Record. For instance, Cho (1984: 35-64) interpret it in the following fashion: “Paekche and Silla were formerly [Koguryeo’s] subjects. They have been paying tributes. The Wa came in the year Sin-myo (391). [The King kwang-geo-to] crossed over the sea and destroyed Paekche, [Imna and Ka]ra to make them his subjects.” According to Cho, the “sea” in the inscription must refer to the Yellow Sea along the western coastline of the Korean peninsula, given that it was the most convenient expeditionary route to the southwestern and southern parts from the northwestern coast.

Indeed, the inscription immediately following the Sinmyo (391) record reads: “King himself led a naval force in the sixth year, Byung-shin (396), and smashed Paekche.” It subsequently records the acquisition of 58 Paekche castles, but never records that Paekche was conquered. In any case, the only way for the Koguryeo to attack Paekche with its naval force was to sail the Yellow Sea. If the Koguryeo force crossed the Yellow Sea in 396, there is no reason why they should not have crossed the Yellow Sea before.

The epitaph as well as Nihongi record the frequent participation of Yamato troops on the side of Paekche in battles against Koguryeo and Silla, just like the frequent participation of the Black-Water Mohe soldiers on the side of Koguryeo.10

From old times, the Paekche have received bows and horses from the Yamato court and defended themselves against enemies

According to Nihongi, the Paekche practice of using Yamato soldiers in intramural armed conflicts continued well into the sixth century. Nihongi records the statement made by King Seong-myung of Paekche in 544 who intended to request from Kimmei “an army with which to succor the Land of Imna” and also 3,000 troops to construct six fortresses along the frontier between Silla and a Kaya state. Nihongi records that Paekche sent envoys to Yamato “to ask for auxiliaries” in 547, and “three hundred and seventy men were sent to Paekche to assist in constructing a fortress at Toki-sin” in 548. Nihongi records that, in 553, “Uchi no Omi was sent on a mission to Paekche with a present of two good horses, two traveling barges, fifty bows, fifty sets of arrows, and an Imperial message, saying, ‘As to the troops asked for by the King, his wishes shall be complied with.’ ”

In 553, King Seong-myung sent a memorial to Kimmei, saying that “the lands beyond the sea are very scarce of bows and horses. From old times until now, they have received them from the Emperor, and have therewith defended themselves against their powerful enemies. I humbly pray the Celestial bounty to bestow on us a large supply of bows and horses.” In 554, “Paekche sent …to communicate with Uchi no Omi… ‘We have just heard that thou, by command of the August Emperor, hast arrived in Tsukushi in charge of the troops bestowed on us by him. Nothing could compare much more with our joy when we heard this. The campaign of this year is a much more dangerous one than the last; and we beg that the force granted to us may not be allowed to be later than the first month.’ Hereupon Uchi no Omi answered … ‘Accordingly there is being sent an auxiliary force numbering 1,000 men, 100 horses, and 40 ships …” 11


BIBLIOGRAPHY


[각주]

1神功皇后 攝政五十二年 秋九 月 丁卯朔丙子 久氐等...則獻 七枝刀一口 (NI: 359)
2 石上神宮七支刀銘文
泰□四年□月十六日丙午正陽造 百練鐵七支刀 生辟百兵 宜供供 侯王 □□□□作 先世以來未有 此刀  百慈王世□奇生聖音 故 爲倭王旨造 傳示後世
See Hong (1994: 251-4).

3 Ueda Masaaki (quoted by Saeki, 1977) is rather an exception among Japanese historians because he “has maintained that the Seven-branched Sword was ‘bestowed’ on the Wa ruler by the king of Paekche.” Ueda “based his interpretation on the argument that the term ‘koo’ [howang] appearing in the inscription is written in the commanding tone of a superior addressing an inferior, exemplified by the sentence reading ‘Hand down [this sword] to [your] posterity.’”

4應神 三年 是歲 百濟辰斯王 立之失禮於貴國 天皇故遣...嘖 讓其无禮狀 由是 百濟國殺辰斯 王以謝之 (NI: 365)

5應神 八年 百濟人來朝… 百濟記云 阿花王立无禮於貴國 故奪我…侵…東韓之地 (NI: 367)

Nihongi quotes the Paekche Shinsen which states that King Kaero sent his younger brother Konji to the Yamato court to wait upon the Heavenly King [Yūryaku] and “to confirm the friendship of big brother King.”

雄略 五年夏四月 百濟加須利君 蓋鹵王也 百濟新撰云 辛丑年 蓋鹵王遣弟昆支君 向大倭 侍天王 以脩兄王之好也 (NI: 471)

6三國史記 百濟本紀 第三 辰斯 王 六年九月 王命達率 眞嘉謨 伐高句麗 拔都坤城 虜得二百人

7 應神 八年 是以遣王子直支 于天朝 以脩先王之好也(NI: 367)

8廣開土王碑文 百殘 新羅 舊 是屬民 由來朝貢 而倭以辛卯年 來 渡海破百殘 任 羅 加 羅 以 爲臣民 以六年丙申 王躬率水 軍 討伐殘國… 而殘主困逼獻出 男女生口一千人 細布千匹 跪王 自誓 從今以後 永爲奴客 太王 恩赦始 迷之愆 錄其後順之誠 於是得五十八城 村七百 將殘 主弟幷大臣十人 旋師還都

The King Kwang-gae-to’s stele was erected by his son, King Chang-su (413-91), in 414 in commemoration of his predecessor.

9 In Sin-myo record, there are three missing letters between the word “Paekche” and the letter “ra(la).” Indeed it is a real curiosity that most Japanese scholars could simply fill up the missing three letters following Paekche to make them read “Imna, Silla.” First of all, no one can ever deny that the Sin-myo Record (391) was inserted to justify the invasion of Paekche, not Silla, by King Kwang-gaw-to in 396. The following inscriptions clearly state that Koguryeo and Silla maintained a friendly relationship, that Koguryeo never invaded Silla but rather helped it to repulse Wa troops, and hence Silla did not have to be implicated in the official excuse for the invasion carried out in 396. Indeed, a later line of the inscription for the year 400 specifically records that King Kwang-gae-to annihilated the Wa troops by chasing them all the way to the Imna, Kara area and thereby rescued Silla. Reading it as “Im-na, Ka-ra” instead of “Im-na, Sil-la” is therefore more consistent with the fact that Koguryeo did not fight against Silla at that time.
We can also observe the expression “Imna, Kara” in the orthodox Chronicles of Chinese Dynasties, such as the record of Song-shu on the five kings of Wa.

10 廣開土王碑文 九年 己亥 百 殘違誓 與倭和通 王巡下平穰 而 新羅遣使白王云 倭人滿其國 境 潰破城池 以奴客爲民 歸王 請命 太王恩慈 稱其忠誠 特遣 使還 告以密計  十年庚子 敎遣 步騎五萬 往救新羅 從男居城 至新羅城 倭滿其中 官軍方至 倭賊退 自倭背急追至任那加羅 從拔城 城卽歸服 安羅人戌兵 拔新羅城□城 倭寇大潰 城內十 九 盡拒隨倭... 殘倭遣逃 … 昔新羅寐錦未有身來論事 □□ □□廣開土境好太王□□□□ 寐 錦□家僕勾請□□□朝貢

廣開土王碑文 十四年 甲辰 而 倭不軌 侵入帶方界 和通殘兵 □石城 □連船□□□  王躬率□ 討 從平穰□□□鋒相遇 王幢要 截盪刺 倭寇潰敗 斬煞無數
 
11欽明 五年 百濟遣…曰夫建任 那之國…請將士 而助任那之國 將士之粮 我當須運 將士之數 未限若干 (NII: 79-83)

欽明 五年 聖明王謂之曰..新羅 安羅兩國之境有大江水 要害之 地也 吾欲據此修繕 六城謹請 天皇三千兵士每城充 以五百… 所請兵士 吾給衣粮 (NII: 83-91)
 
欽明 八年 百濟遣…等 乞救軍 (NII: 95-97)

欽明 九年 遣三百七十人於百濟 助築城於得爾辛 (NII: 97-99)

11 欽明 十四年 百濟遣…等 乞 軍兵 六月 遣內臣 闕名 使於 百濟 仍賜良馬二匹 同船二隻 弓五十張 箭五十具 勅云 所請 軍者 隨王所須… 又復海表諸國  甚乏弓馬 自古迄今 受之天皇 以御强敵 伏願 天慈多貺弓馬 (NII: 103-7)

欽明 十五年 百濟遣中部 木刕 施德…等於筑紫 諮內臣… 等曰 …方聞 奉可畏天皇之詔 來詣 筑紫 看送賜軍 聞之歡喜 無 能比者 此年之役 甚危於前 願 遣賜軍 使逮正月 於是 內臣 … 答報曰 卽令遣助軍數一千 馬 一百匹 船四十隻 (NII: 109)


http://www.wontackhong.pe.kr
2005 by Wontack Hong
All rights reserved


칠지도/광개토왕 비문

한반도에서 싸우는 야마도 병사들
                                                             

홍원탁 (서울대 교수)


칠지도(七支刀)

현재 나라현 텐리시의 석상신궁(石上神宮)에 보존되어 있는 칠지도는, 백제조정이 신공왕후에게 372년 9월에 보내주었다고 일본서기가 기록한 바로 그 칠지도라고 생각된다. 1 일본서기는, 칠지도가 전달될 당시, 신공왕후가 섭정을 하고 호무다(오오진)가 태자 노릇을 하고 있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일본서기 366년 조 기록은, 백제조정이 일본열도로 가는 길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두 해전(364년)에 가야연맹의 일원인 탁순국의 왕에게 탐색반을 보냈다고 말한다. 이 기록 내용을 보면, 백제 사람들이 일본열도로 건너 간 것은 366년으로부터 그리 먼 훗날이 아니었을 것이다 일본서기는 369-70년 기간 중, 한반도와 일본열도에 걸쳐 야마도 군대, 백제 장군들, 근초고왕, 태자 근구수 등을 총 동원하는 대규모의 군사활동들을 기록한다. 이 기록을 보면, 호무다(야마도 왕국의 시조, 오오진)와 그 추종자 일행이 일본열도를 향해 한반도를 떠난 것이 바로 369-70년 기간 중 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칠지도는, 일본열도를 정복하고 새로운 왕국을 세우려는 호무다의 시도가 성공하기를 기원하는 백제 왕실의 뜻을 전하는 동시에, 호무다가 세울 미래의 새 왕국과의 연대감을 미리 돈독히 한다는 의례행위의 상징물인 것 같다. 명문을 보면, 칠지도는 369년 5월에 제조되었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호무다가 일본열도에 상륙한지 얼마 안 되는] 372년 9월 10일에 전달이 되었다 이미 오랜 기간에 걸쳐 한반도로부터 일본열도로 건너가 정착한 사람들이 많았던 상황에서, 백제왕실이 호무다를 공식적으로 신생왕국의 왕으로 인증하는 분명한 증표를 주어 보내는 것이, 현지 선주민의 협조를 극대화하고, 정복을 좀더 용이하게 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도 있었을 것이다. 근초고왕은 375년에 죽고, 태자 근구수가 그 뒤를 이었다.

칼에 새겨진 명문을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태화 4년(369) 5월 16일 병오 날 정오, 백 번을 두들겨 단단하게 만든 철로 이 칠지도를 만들었다. 이 칼은 적군을 섬멸하는 신비한 힘을 가지고 있으므로, 후왕(侯王)에게 하사한다. □□□□가 제작한 것이다. 예로부터 이와 같은 칼은 없었다. 부왕의 은덕으로 삶을 영위하는 백제 왕세자가 야마도 왕을 위해서 만들었다. 후세에 전해 보여주기 바란다” 2
 
대부분의 일본 사학자들은, 자신들이 항상 해 오던 습관에 따라, 명문의 후왕이란 바로 백제왕을 지칭하는 것이라 우기면서, 백제왕이 일본 천황에게 칠지도를 바친다는 식으로 번역을 한다. 3

칠지도에 새겨져 있듯이, 백제 조정은 호무다를 처음에는 신생 제후국의 왕으로 취급한 것 같다 근구수의 아들인 진사왕(辰斯王, 385-392)은 특히 호무다를 아랫사람으로 취급한 것으로 보인다. 4 일본서기는 진사왕이 무례한 짓을 했기에 호무다가 392년에 4명의 장군을 백제로 파견하여 엄하게 질책하였다고 말한다. 이 사건이 아마도 광개토왕 비문에 “왜가 391년에 건너왔다”라고 기록된 것으로 추측된다. 5 호무다는 또한 397년(혹은 396년)에도 근구수왕의 손자인 아신왕(阿莘王, 392-405)의 무례를 심하게 꾸짖었다 한다. 6 야마도 왕국을 세운 호무다와 백제의 근구수왕(375-84)은 나이 차이는 있었겠지만 같은 세대에 속했기 때문에, 근구수왕의 아래 세대인 젊은 백제왕들이 보인 무례한 태도를 호무다가 용납하지 않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백제는 (진사왕이 장군 진가모를 시켜 고구려 도곤성을 빼앗고, 200명을 포로로 잡는) 390년 9월까지 고구려에 대해 군사적 우위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광개토대왕(391- 413)이 등장하자 전장에서의 백제의 처지는 완전히 역전되었다. 7 아신왕은 백제의 생존을 위해, 아직 정복자의 기세가 생생하게 살아있는 신생 야마도 왕국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함을 느꼈다. 아신왕은, 양국 조정 사이에 불필요하게 야기된 불편한 감정을 해소하고 적극적인 군사적 동맹관계로 전환 하기 위해, 태자 전지(腆支)를 397년에 야마도 조정으로 보냈다. 8 광개토왕 비문은 아신왕과 태자 전지의 노력이 성공했음을 알게 해준다. 비문을 보면, 고구려 군대가 392년과 396년에는 백제를 초토화시켰으나, 그로부터 수년 후인 400년과 404년에는 용감한 야마도 병사들이 백제 편에서 고구려와 열심히 싸우는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광개토왕 비문: 정확한 해석

이르면 3세기, 늦어도 4세기에는, 일본열도에 강력한 통일국가가 수립되어 한반도 남부에 미마나라는 식민지를 경영하고, 백제와 신라에 대해 종주국 노릇을 했다는 이야기는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기록된, 시기적으로나 내용상으로 종잡기 힘든 일화들과 환상적인 얘기를 근거로 했었다 물론 한국측의 역사서는 물론이고, 중국측의 역사서에서도 이러한 가능성을 뒷받침할 만한 기록은 하나도 없다. 그런데, 일본인들 생각에 그들 주장을 객관적으로 뒷받침해 준다는 유물이 1882년에 발견되었다. 이것이 바로 그 유명한 광개토왕 비문의 신묘년(辛卯, 391) 기사인데, 당시 일본 참모부 소속의 정보장교 사카오 가게노부 중위가 만주로부터 탁본을 떠 온 것이다.

일본 사학자들은 신묘년 기사를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 “신묘년이래 왜가 바다를 건너와 백제, 임나, 신라를 쳐서 신민으로 만들었다” 이 번역은 이 시대를 연구하는 거의 모든 일본 사학자들의 “야마도 왕국은 4세기에 이미 통일된 강력한 국가였으며, 한반도 남부를 군사적으로 통제(혹은 식민지로 통치)했다”는 신조를 뒷받침 하는 “확고부동”한 증거물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9

Hatada(1979)는 “2차 세계대전 이전의 일본 역사교과서는 일본서기의 기록을 근거로 일본이 고대 한국을 통제했다고 주장을 하였으나, 전후의 교과서들은 광개토왕 비문을 근거로 똑 같은 주장을 한다. 말인즉, 일본이 한국을 통제했었다는 주장의 근거가, 믿기 힘든 일본서기의 기록으로부터 믿을 수 있는 비석의 명문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비록 전후에 쓰여진 역사 교과서의 내용들이 전전의 내용과는 크게 다르지만, 이 주장만큼은, 광개토왕 비문으로 근거가 바뀌었을 뿐, 본질적으로는 한치의 변화도 없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Ledyard(1975)는 “백제는, 390년대부터 400년대에 걸쳐, 북쪽에 있는 그들의 사촌인 고구려로부터 계속 크게 공격을 받아, 심각한 위기에 처했었다. 일본에 있는 그들 형제들의 도움만이 백제를 구원해줄 수 있었을 것이다 아무튼, 나는 광개토왕 비문에 왜가 바다를 건너와 한반도에서 싸웠다는 기록의 의미를 이렇게 이해한다”라고 말한다 즉, “왜가 백제, 임나, 가라를 정복하고 신민으로 만들었다”는 구절은, 고구려가 “왜군에 의존하는 백제”를 멸시하는 감정을 비문에 이런 식으로 나타냈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고구려는 매번 왜군에 의존하는 백제에 화가 났을 것이 틀림없으며, 그래서 멸시의 표현으로 백제와 임나, 가라가 왜에게 정복당해 그들의 신민이 되었다고 비문에 새기기로 결정을 했다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신묘년 기사를 다른 방식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조승복(1984: 35-64)은 다음과 같이 번역을 한다. “백제와 신라는 예전에 고구려의 속국이었으며, 고구려에 조공을 바쳐왔다. 왜가 신묘년에 건너왔다. 광개토왕이 황해를 건너 백제, 임나, 가라를 격파하고 신민으로 만들었다” 조승복은 “바다”를 한반도 서해안의 황해로 이해한다 이는 황해가 한반도의 북서 해안으로부터 한반도 남서 해안과 남해안에 도달하는 가장 편리한 정벌 통로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신묘년 기사에 바로 이어지는 병신년 기사는 광개토왕이 6년(丙申, 396)에 몸소 수군(水軍)을 이끌고 백제를 토벌했다고 말한다 이어 58개의 백제 성들을 빼앗았다고 기록을 하는데, 백제를 정복했다는 기록은 없다. 아무튼 고구려가 수군을 이끌고 백제를 정벌을 하는 길은 황해 밖에 없다 396년에 황해를 건넜다면, 그 이전에도 황해를 건너지 말란 법이 없을 것이다.

광개토왕 비문뿐만 아니라 일본서기에서도, 마치 흑수말갈 병사들이 고구려 편에 서서 싸우듯, 야마도 병사들이 자주 백제 편에 서서 고구려-신라와 싸우는 기록들이 나온다

옛날부터 백제는 야마도 조정으로부터 활과 말을 받아 적들로부터 자신을 방어해왔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백제가 한반도 내부 전쟁에 야마도 병사들을 데려다 쓰는 관행은 6세기까지 지속된 것 같다. 일본서기는 백제의 성명왕이 544년에 킨메이왕에게 임나를 구원하고자 군대를 요청한 기록과, 백제가 어떤 가야 연맹국과 신라 사이의 국경에 6개의 성을 축조하기 위해 3,000명의 야마도 군대를 보내달라고 요청하는 기록이 있다. 일본서기에는 또, 백제가 547년에 야마도 조정에 사신을 보내 원군(救軍)을 요청한 기록과, 548년에 야마도 조정이 370명을 백제로 보내 득이신(得爾辛) 성의 축조를 도왔다는 기록이 있다 아울러 553년에 “성명 미상의 내신 한 명에게 두 필의 말과 배 두 척, 활 50개와 화살 50세트를 주어 백제조정에 선물로 보내면서 이르기를 ‘왕이 요청한 군대를 우리가 보내주겠다’”는 기록도 있다.

성명왕이 553년에 킨메이왕에게 보내는 서신 내용을 보면, “바다 건너 우리나라는 활과 말이 매우 부족하여, 옛날부터 오늘날까지 천황으로부터 활과 말을 제공받아 강력한 적들로부터 자신을 지켜왔다. 나는 삼가 야마도 조정이 대량의 활과 말을 우리에게 보내주기를 바란다”라고 말한다. 554년에 “백제는 …를 보내 (성명미상의) 내신에게 이르기를...‘우리가 지금 막 들으니 킨메이왕의 명을 받아 우리에게 보내지는 군대가 북큐슈에 도착했다고 한다. 이 소식을 접하니 더 이상 기쁠 수가 없다. 올해의 전투는 지난번에 비해 훨씬 더 위험하기 때문에, 우리에게 주어진 군대를 정월 이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 그러자 내신은‘1,000명의 조군(助軍)과 100필의 말, 40척의 배가 보내지고 있다’고 대답했다”

 

동아시아 역사 강의: 2-6 (2005. 5. 14)
정리: 강현사 박사 

ⓒ 2005 by Wontack Hong                                       

   BIBLIOGRAPHY

 

[각주]

1. 神功 攝政五十二年 秋九月 丁卯朔丙子 久氐 等...則獻七枝刀一口 (NI: 359)

2. 石上神宮七支刀銘文
泰□四年□月十六日丙午正陽 造百練鐵七支刀 生辟百兵 宜供供侯王 □□□□作 先世以來未有此 刀  百慈王世□奇生聖音 故爲倭王旨造 傳示後世 See Hong (1994: 251-4).

3. Ueda Masaaki (Saeki가 인용, 1977)는, 명문에 쓰여있는 후왕이란 표현이 “이 칼을 후세에 전해 보여주라”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하는 명령조의 말투 속에서 나타나는 것을 근거로, 일본 역사학자들 가운데서는 예외적으로, 칠지도를 백제왕이 왜왕(倭)에게 하사한 것이라고 해석을 한다.

4. 중국정사 백제전에 기록된 내용들을 보면, 백제는 대왕-소왕 제도를 택해, 많은 왕족들에게 좌현왕, 우현왕 등의 왕위를 부여했었다.

5. 應神 三年 是歲 百濟辰斯王立之失禮於貴國天皇 故遣..嘖讓其无禮狀 由是 百濟國殺辰斯王以謝之 (NI: 365)

6. 應神 八年 百濟人來朝… 百濟記云 阿花王立无禮於貴國 故奪我…侵…東韓之地 (NI: 367)
일본서기에 인용된 백제신찬(百濟新撰)에는 개로왕(蓋鹵王)이 동생 곤지(昆支)를 야마도 조정에 보내 형왕(兄王)으로서의 친선을 돈독히 하도록 했다는 기록이 있다.

雄略 五年 百濟加須利君蓋鹵王也 百濟新撰云 辛丑年 蓋鹵王遣弟昆支君 向大倭 侍天王 以脩兄王之好也 (NI: 471)

7. 三國史記 百濟本紀 第三 辰斯王 六年九月 王命達率眞嘉謨 伐高句麗 拔都坤城 虜得二百人

8. 應神 八年 是以遣王子直支于天朝 以脩先王之好也 (NI: 367)

9. 廣開土王碑文 百殘新羅舊是屬民 由來朝貢 而倭以辛卯年來 渡海破百殘任 羅 加羅 以爲臣民 以 六年丙申 王躬率水軍 討伐殘國… 而殘主困逼獻出男女生口一千人細布千匹 跪王自誓從今以後 永爲奴客 太王恩赦始 迷之愆錄其後順之誠 於是得五十八城村七百 將殘主弟幷大臣十人 旋師還都
광개토왕비는 414년에 아들인 장수왕(413-91)에 의해서 부왕을 기념하기 위해서 세워졌다.

10. 신묘년 조의 문장에는 백제와 라(羅)자 사이에 세 글자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모든 일본학자들은 백제 다음에 공백인 세 칸에 멋대로 “임”, “나”, “신” 세 글자를 넣어서 읽는다. 신묘년 기사가 광개토대왕이 396년에 (신라가 아니라) 백제를 공격한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쓴 것 이라는데 대해 이견을 갖는 사람은 없다. 뒤따르는 기록을 보면, 분명히 고구려와 신라가 친선관계를 유지했고, 고구려가 신라를 공격한 적이 없으며, 오히려 신라를 도와 왜군을 격퇴했다고 말한다 따라서, 396년에 백제를 공격한 사유에 신라를 포함시켜서는 안 된다. 실제로 나중의 400년 조를 살펴보면 광개토대왕이 임나와 가라까지 쳐 내려가 왜군을 격퇴하고 신라를 구원했다고 분명하게 기록을 하고 있다. “임나와 신라” 대신에 “임나와 가라”로 읽으면, 당시 고구려가 신라와는 싸우지 않았다는 사실과 일관성이 있게 된다. “임나, 가라”라는 표현은 송서의 왜왕 관련 기록처럼 중국정사에서도 볼 수 있다.

11. 廣開土王碑文 九年己亥 百 殘違誓與倭和通 王巡下平穰而 新羅遣使白王云 倭人滿其國境 潰破城池 以奴客爲民 歸王請命 太王恩慈 稱其忠誠 特遣使還 告以密計  十年庚子 敎遣步騎五萬 往救新羅 從男居城 至新羅城 倭滿其中 官軍方至 倭賊退 自倭背急追至任那加羅從拔城 城卽歸服 安羅人戌兵 拔新羅城□城 倭寇大潰 城內十九 盡拒隨倭..殘倭遣逃…昔新羅寐錦未有身來論事 □□□□廣開土境 好太王□□□□ 寐 錦□家僕勾請□□□朝貢… 十四年甲辰 而倭不軌 侵入帶方界 和通殘兵 □石城 □連船□□□  王躬率□討 從平穰□□□鋒相遇 王幢要截盪刺 倭寇潰敗 斬煞無數

12. 十四年 春正月 百濟 遣…等 乞軍兵 六月 遣內臣 闕名 使於百濟 仍賜良馬二匹 同船二隻弓五十張箭五十具 勅云 所請軍者 隨王所須… 又復海表諸國  甚乏弓馬 自古迄今 受之天皇 以御强敵 伏願天慈多貺弓馬 (NII: 103-7) 十五年 百濟遣中部木刕施德文次 前部施 德曰佐分屋等於筑紫 諮內臣…等曰 …方聞 奉可畏天皇之詔 來詣筑紫 看送賜軍 聞之歡喜 無能比者 此年之役 甚危於前 願遣賜軍 使逮正月 於是 內臣…答報曰 卽令遣助軍數一千 馬一百匹 船四十隻 (NII: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