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령 지브롤터와 영국, 스페인, 일본의 학자들로 구성된 연구진은 최근 지브롤터의 고람 동굴에서 2만8천년 전, 가깝게는 2만4천년 전 사용된 숯과 도살한 동물의 뼈, 조개 껍질, 네안데르탈인 특유의 돌 연장들을 발견했으며 이는 네안데르탈인인들이 현생 인류에 의해 멸종됐을 것이라는 추측을 잠재우는 것이라고 네이처지에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서 주장했다. 네안데르탈인들은 약 20만년 전 유럽과 서아시아에 등장했으며 4만~3만5천년 전 현생 인류가 동유럽에 등장해 서쪽으로 세력을 확장한 것과 같은 시기인 3만5천~3만년 전에 멸종한 것으로 추정돼 왔다. 이 때문에 네안데르탈인들이 현생 인류에게 죽임을 당했거나 이들이 옮긴 병균으로 몰사했을 가능성이 제기됐고 소빙하기가 닥치면서 고도의 생존 기술을 가진 인류와의 경쟁에서 밀려났을 것이라는 추측도 강력하게 지속돼 왔다. 그러나 지브롤터 박물관 유물관장인 클라이브 핀리슨 교수 등 연구진은 고람 동굴에서 새로 발굴된 화덕 속의 숯을 분석한 결과 연대가 2만8천~2만4천년 전 것이며 네안데르탈인들이 이 동굴을 약 10만년 동안 사용해 왔다는 증거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핀리슨 교수는 일부 숯의 연대는 2만4천년 전 것이라고 확신하지만 같은 연대의 다른 유물들이 발견되지 않아 상한선을 2만8천년으로 잡았다면서 이것도 '보수적'인 추정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지구 기후가 점점 추워지던 이 무렵에도 고람 동굴 일대는 지중해성 기후를 그대로 유지해 주변에 사냥감 동물들과 식물이 풍부했으며 지금은 해수면이 상승해 바다와 불과 20~30m 거리가 됐지만 당시에는 5㎞ 정도 거리를 두고 각종 조개류와 거북 등 해산물도 풍부해 유럽 대륙에 남아있는 최후이자 최상의 거주지였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네안데르탈인들이 낮에는 넓은 지역에서 돌아다니며 사냥을 하다 밤이나 날씨가 나쁜 때는 동굴로 돌아와 음식을 만들어 먹고 잠을 자는 등 주기적으로 동굴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 동굴은 통풍과 채광도 잘 되는 최상의 조건을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런 사실들은 네안데르탈인의 멸종 원인이 현생 인류보다는 급격한 기후 변화에 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이라면서 "그들의 신체조건이 현생 인류만큼 기후 변화에 재빨리 적응하지 못한 것이 멸종의 주원인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일부 비판적인 학자들은 네안데르탈인들의 유물에 그 후의 유물이 섞였을 가능성을 제기하는가 하면 동굴에서 네안데르탈인의 유골이 발견되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이것이 반드시 네안데르탈인의 유적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또한 현생 인류의 등장 후에도 네안데르탈인들이 오래도록 생존했다면 두 집단 사이의 교배 가능성도 충분히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새삼 고개를 들고 있다. 지브롤터의 기후는 소빙하기에도 다른 지역에 비해 변화가 적고 온화했으나 최근 심해 침전물 분석 결과 2만4천년 전경 기온이 급속히 떨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연합뉴스) |
네안데르탈인의 DNA를 풀어낸다
Cavemen, Chimps And Us |
3만 년 전 멸종된 인류의 친척 호모사피엔스와의 관계는?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 염기서열 해독을 시도할 계획이라고 최근 발표했다(현생인류에 가장 가까운 친척이자 약 3만 년 전 지구상에서 사라진 종의 DNA를 완전히 해독하겠다는 계획). 숨 쉬는 네안데르탈인을 눈앞에 세워놓는 일에 버금가는 엄청난 계획이다. 유전자를 모두 파악하면 이론상 네안데르탈인을 만드는 일도 가능하다. 물론 그런 계획을 세운 사람이 있다는 말은 아니다. 이번 계획은 인간 고생물학의 성배요 인류 진화사의 중대한 순간을 들여다보는 창문이라 하겠다. 그들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골격을 보면 건장하고 가슴팍이 두툼했으며 턱이 두껍고 눈썹이 짙었음을 알 수 있다. 동굴생활로 미뤄 원시적 도구를 이용하고 죽은 사람을 매장했다. 그러나 현대 인간처럼 추상적 사고를 할 능력은 없었던 듯하다. 육로로 중동과 유럽 각지에 퍼졌지만 육안으로 맞은편 끝이 보이지 않는 물은 건너지 않았다. 언어 사용 여부를 놓고는 인류학자들의 견해가 엇갈린다. 호모사피엔스와 교배가 가능했을 성싶지만 실제로 그렇게 했다는 명백한 증거는 없다. 설령 그들을 되살려놓는다 해도 유럽에서 20만 년 정도 살아온 그들이 5만 년 전 처음 유럽에 진출한 현대 인류와의 접촉에서 살아남지 못한 경위와 이유가 명쾌하게 밝혀지기는 어렵다. 현 인류의 조상들이 모조리 죽여 없앴다는 이론이 지배적이다. 실은 네안데르탈인 연구를 통해 호모사피엔스에 관해서도 많은 지식을 얻게 된다고 그 연구를 지휘하는 스웨덴 태생의 인류학자 사반테 파보는 말했다. 지금까지 인간의 DNA를 비교할 만한 가장 가까운 종은 침팬지였다. 침팬지의 유전자는 인간과 99% 같다고 추정된다. |
10만년 전 네안데르탈인 DNA 채취
벨기에 뫼즈 분지에 있는 스클라디나 동굴에서 발견된 어린이의 어금니에서 나온 이 DNA는 지금까지 수집된 인류의 DNA 가운데 가장 오래 전의 것이다.
프랑스 리옹 소재 고등사범학교의 카테린 아니 박사 등 프랑스ㆍ벨기에 합동 연구진은 현대 생물학지 최신호에 실린 연구보고서에서 10~12세 된 네안데르탈인 어린이의 어금니에 들어있는 DNA를 채취, 이를 분석한 결과 네안데르탈인들은 생각보다 유전적으로 다양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초기 현생인류가 유럽에 도착한 3만5천년 전 무렵엔 기후변화와 질병 등으로 이들의 유전적 다양성이 줄어든 상태였다는 것이다.
학자들은 이 어린이에게서 나온 123쌍의 DNA 염기 서열을 해독, 이미 알려진 4만2천~2만9천년 전 네안데르탈인들의 것과 대조한 결과 과거 네안데르탈인들의 유전적 다양성이 과소평가됐음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과거 네안데르탈인들의 다양성이 어느 정도인지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선 현재 확보된 6종의 DNA 외에 100쌍 이상의 염기로 이루어진 DNA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전적으로 다양했던 네안데르탈인들이 현생 인류의 유럽 도착시기엔 오히려 다양성이 줄어들게 된 것은 질병이나 환경 변화, 그리고 오랜 세월에 걸친 유전자 돌연변이 등으로 개체군 내에 큰 변동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케임브리지 대학의 로버트 롤리 박사는 “다양성은 개체군의 나이와 인구통계학적 역사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논평했다.
네안데르탈인들은 약 23만~2만8천년 전 유럽과 중앙아시아, 중동 지역에 살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사냥 솜씨가 좋았고 빙하기에도 환경에 잘 적응했으나 초기 현생인류인 크로마뇽인이 유럽에 도착할 무렵부터 멸종의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서울=연합뉴스 입력 : 2006.06.07 09:07 52'
'20[sr]인류진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부부’로 살았나? (0) | 2015.08.20 |
---|---|
[스크랩] "늙지않고 죽지않는 신인류의 시대 온다” (0) | 2015.08.20 |
유전자 지도로 인류족보 만든다 (0) | 2015.08.19 |
공룡의 모든 것을 해부한다. (0) | 2015.08.19 |
6600년前 유럽인 피부 하얘졌다 (0) | 2015.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