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 양극체제 세계의 변두리에서 |
[홍원탁의 동아시아역사 바로보기] |
김일성이 남침결정을 하게 만든 요인(要因)은 1949년 6월의 미군철수, 중국본토에서 공산당의 승리, 한국이 미국 방어선 밖에 있다는 1950년 1월 미 국무장관의 성명 등이라 한다. 박헌영은 남침개시 즉시 자신의 추종자 20만여 명이 봉기를 할 것이라고 단언했고, 김일성 역시 일단 철수한 미군이 한반도로 되돌아올 시간여유가 없을 정도로 전쟁이 빨리 끝나리라고 믿었다 한다.
김일성은 이승만 정부 요인(要人)들의 식민지 시절 친일 성향을 강조해 남한정부의 정통성을 훼손하고, 미 제국주의자에 의한 식민지 노예화 위험성과 민족지상주의를 선전하여 미국과 미군을 남한 국민들 마음속으로부터 격리시키려 노력했었다. (하지만 당시 남한의 언론, 영상매체, 교육현장 등을 장악한 것도 아니고, 친일파 실태를 철저히 파악해 홍보할 시간적 여유도 없었기 때문에 효과가 없었던 것 같다. 또, 미국 내에 혐한(嫌韓) 감정을 확산시킬 수단도 없었고, 남한 정부가 반미 정권도 아니었기 때문에 미군의 참전을 저지할 내부적 수단도 없었다.])
김일성은 일찍이 1949년 3월에 스탈린에게 남침 가능성을 타진했었다. 스탈린은, 1950년 4월, 모택동의 승인을 얻으라는 단서를 달아 남침을 승인했다. 김일성은 남침 6일 전인 1950년 6월 19일까지 평화적 통일을 제안하고 있었다. 스탈린은 3차 세계대전이 불가피 하다고 믿었지만, 유럽이야말로 결정타를 날리는데 가장 적합한 장소라고 믿고 있었다. 7월 1일에 미군이 상륙하자, 스탈린은 7월 4일자로 김일성을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소련의 직접적 연관 흔적을 제거했다. 그 날부터 김일성이 UN군과의 전투를 책임지다가, 북한군은 괴멸되었고, 10월 24일에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 팽덕회에게 지휘권을 이양한다. 스탈린은 모택동이 미국과의 관계를 개선하여 동아시아에서의 패권을 확보하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에, 한국전쟁의 진행을 조심스럽게 조작해서, 모택동이 미국으로 하여금 유럽으로부터 아시아로 병력을 이동시키게 만드는 부담을 혼자 지도록 하는 동시에, 모택동을 서방과 연결할 수 있는 다리를 모조리 태워버리려 했다. 본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Text In PDF .../편집자 주
한국전쟁: 양극체제 세계의 변두리에서
서울대 명예교수 홍원탁
일시적인 다극(多極)의 세계
1853년, 미국 해군 페리 제독이 이끄는 함대는 일본 해안에 진입해, 도쿠가와 막부 정권에게 개국을 강요했다. 일본국민은 쇼군(將軍)을 쫓아내고 새삼 황실의 권위 아래 단결하여 명치유신(1868-1912)이란 이름으로 서구화-공업화를 시작했고, 서구열강의 식민지 제국주의를 모방하면서 청일전쟁(1894-5)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1903년, 제정 러시아는 일본에게 한반도 39도선 이남에 대한 배타적 권리를 인정 해 줄 테니 39도선 이북은 중립화하자는 제안을 했다. 일본 제국주의자들은 그 제안을 거절한 다음 러일전쟁(1904-5)에 승리하여 조선을 보호령으로 만들었다. 유사이래 정복왕조를 한번도 경험한 적이 없었던 한국은 1910년에 일본에 병탄합병 되었다. 1919년 3월 1일, 한반도 전 지역에서 일본인 통치에 저항하는 대규모 시위가 시작되었다. 1943년 12월 1일, 루스벨트, 처칠, 장개석은 카이로 회담에서 한국이 적절한 단계를 거쳐 자유롭고 독립된 나라가 될 것이라고 천명했다.
양극(兩極) 세계의 변두리에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인 1945년 8월 초, 미국과 소련은 38도선을 양국 군대의 한반도 점령지역 경계선으로 설정했다. 1948년 5월 10일, 남한에서는 UN 주관 하에 선거가 시행되었다. 8월 15일에 대한민국이 수립되고 73세의 이승만이 대통령에 취임했다. 1 스탈린은 같은 해 9월 9일에 33세의 김일성을 수반으로 북한에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을 수립했다. 2
1949년 3월, 김일성은 스탈린에게 남한에 대한 군사적 공격 가능성을 타진했다. 김일성은 공격이 시작되면 (남조선 공산조직의 지도자 박헌영이 말 해준대로) 즉시 전국적인 봉기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하며 스탈린을 설득하려 했다. 1949년 4월, NATO가 결성되었다. 스탈린은 원칙적으로 김일성의 발상을 거부하지 않았지만, 미군이 6월에 남한에서 철수를 한 후에도 계속 김일성에게 게릴라 전을 전개하라고 종용했다. 3 6월과 9월 사이, 김일성은 남한에서 진행 중인 게릴라 전을 강화하기 위해 특수 훈련을 받은 1,200명의 전투요원을 내려 보냈으나, 대부분의 게릴라 조직은 남한 군대에 의해 소탕되었다. 4
"한국전쟁은 스탈린의 생각이 아니라 김일성의 생각"
후루시초프는 그의 회고록(1971: 400-1)에서 말한다.
"1949년 말, 김일성은 스탈린과 협의를 하기 위해 수행원 일단과 함께 도착했다. 북한인들은 남한을 총칼로 찌를 것을 원했다. 김일성은 한번만 찌르면 남한이 내부적으로 폭발해 버릴 것이라고 말했다. 당연히 스탈린은 김일성의 발상에 반대할 수가 없었다. 스탈린은 김일성에게 다시 한번 잘 검토를 하고 계산을 좀 해 본 다음에 구체적인 계획을 가지고 오도록 설득했다" 5
1950년 1월 12일, 미 국무장관 애치슨은 내셔널 신문기자 클럽에서 미국은 군사적 공격이 있을 경우 일본-오키나와-필리핀 이외 지역에 대해서는 보증을 하지 않을 것이란 연설을 통해 한국이 미국 방어선 밖에 있다는 입장을 천명했다. 그로부터 두 달 후인 4월 중, 김일성은 남한 공산조직의 지도자였던 (1946년에 월북 후 북한 副首相 겸 外相) 박헌영과 함께 또 다시 모스크바를 찾아왔다. 이번에는 스탈린이 모택동의 승인을 얻으라는 단서를 달아 남한 침공을 승인했다. 6
흐루시초프는 회고록(1971: 401-2)에서 말한다.
"김일성은 집으로 돌아가서 모든 계획을 완전히 수립한 다음 모스크바로 돌아왔다. 김일성은 스탈린에게 자신이 성공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나는 당시 스탈린이 그렇게 분명하게 확신을 못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스탈린은 미국이 뛰어들지 않을까 걱정을 했다. 하지만 우리는 전쟁이 빨리 끝날 것이라는 생각으로 기울었다. 김일성은 전쟁이 재빨리 승리로 끝난다고 확신했다. 그렇다면 미국의 개입도 피할 수 있을 것이었다. 스탈린은 모택동에게 김일성의 제안에 대한 견해를 물었다. 모택동은 긍정적으로 대답했다. 모택동은 김일성의 제안을 승인하면서, 이번 전쟁은 국내문제이기 때문에 미국이 전쟁에 개입하지 안을 것이라는 의견을 개진했다. 소련은 이미 상당기간 북한에 무기를 제공하고 있었다. 그들은 앞으로 필요한 양의 탱크, 대포, 소총, 기관총, 공병장비, 대공포 등을 제공받을 것이 분명했다"
서대숙(1988: 112, 121)에 의하면, 김일성이 남침 결정을 하게 만든 핵심 요인들은 △미군철수 △중국본토에서의 공산당의 승리 △애치슨의 아시아 미 방위선에 대한 성명 등이다. 뿐만 아니라 박헌영은 김일성에게 남침 개시 즉시 자신의 추종자 20만여 명이 봉기를 할 것이라고 단언했고, 김일성 역시 일단 철수한 미군이 한반도로 되돌아올 시간여유가 없을 정도로 전쟁이 빨리 끝나리라고 믿었다.
김일성은 이승만 정부 요인들의 식민지 시절 친일 성향을 강조해 남한 정부의 정통성을 훼손하고, 미 제국주의자들에 의한 식민지 노예화 위험성과 민족지상주의를 선전하여 미국과 미군을 남한 국민들 마음 속으로부터 격리시키려 노력했다. 미군은 1949년 6월 29일에 철수를 완료했었다. 김일성은 1949년 6월부터 남침 6일 전인 1950년 6월 19일까지 평화적 통일을 제안하고 있었다. 7
스탈린은 김일성에게 비행기, 중형 대포와 전차 등을 제공해 왔고, 모택동은 중국 인민해방군에 소속되어 있던 약 4만 명의 고참 한국인 병사들을 김일성에게 넘겨주고 있었다. 8 1950년 5월, 스탈린은 세부적 침공계획을 수립하고 최종적으로 확정하기 위해 새로운 팀의 소련군 장교단을 파견했다.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중무장을 한 20만 명의 북한군은 가볍게 무장을 한 10만 명의 남한 군대에 공격을 개시했다.
흐루시초프는 회고록(1971: 401-2)에서 말한다.
"나는 그 전쟁이 스탈린의 생각이 아니라 김일성의 생각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싶다. 김일성이 벌린 것이다. 물론 스탈린은 김일성의 생각을 바꾸려고 노력하지 않았다. 나는 스탈린이 김일성을 부추긴 것을 책하지 않는다. 우리 모두가 김일성의 성공을 바랐고, 투쟁에 승리할 날을 고대하며 북한 지도자들에게 축배를 들었던 것이다"
맥아더 장군은 회고록(1964: 328, 330)에서 말한다.
"남한은 38도선을 따라 4개의 사단을 배치하고 있었다. 남한 군대는 일선에서 전투를 수행하는 군대로서가 아니라, 치안유지 병력으로 조직되고 장비되어 있었다. 그러한 결정은 미국 국무성에서 만들어진 것이었다. 말인즉, 남한이 북한을 공격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라는 것이다" 9
1949년 8월, 소련의 원폭장치 폭발은 미국의 원자폭탄 독점에 종말을 고했다. 곧이어 장개석이 중국본토에서 축출되었고, 프랑스가 베트남과의 전투에서 밀리고 있는 인도차이나 국경지대에 중국 인민해방군이 집결하기 시작했다. 모택동은 스탈린에게 호치민 정권을 인정하라고 설득했다. 10 영령 말라야와 친미 필리핀에서는 공산 반군들이 압력수위를 높이고 있었다. 바로 이 시점에서 북한군이 38도선을 넘어옴으로 한반도는 전세계 무대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흐루시초프는 회고록(1971: 402-3)에서 말한다.
"김일성이 진군을 준비할 때, 스탈린은 북한군 사단과 연대에 배치되어있던 소련군 고문단들을 모두 철수시켰다. 내가 스탈린에게 그 이유를 묻자, 스탈린은 내게 화를 내며 날카롭게 말했다 '우리 고문단을 거기 놓아둔다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짓인 줄 아느냐? 포로가 되면 어떻게 하느냐? 우리가 이 일에 개입되었다고 추궁 받을 증거가 생기면 안 된다. 이 전쟁은 김일성의 사업인 것이다' … 정해진 시간이 왔고, 전쟁은 시작되었다. 침공은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 북한군은 재빨리 남쪽으로 쓸어내려 갔다. 하지만 불행히도 첫째 번 총성과 동시에 내부 반란이 일어나고 이승만이 실각될 것이라는 김일성의 예측은 실현되지 않았다.” 11
미 8군 휘하 제24사단의 스미스 중대가 7월 1일 선발대로 부산에 상륙을 했다. 스탈린은 한반도에서 미군과 싸우기를 결코 원치 않았기 때문에, 7월 4일자로 김일성을 북한군 최고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자신과 소련의 직접적 연관 흔적을 제거했다. 6월 25일에 남침을 개시한지 10일이 지난 7월 4일에 비로서 최고사령부가 조직되고 김일성이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에 (최용건이 부사령관에) 임명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하는 사람이 별로 없는 것 같다. 그 날부터 110일간 김일성은 UN군과의 전투를 책임지다가, 북한군은 괴멸되고, 10월 24일에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 팽덕회에게 지휘권을 이양하게 된다.
트루만은 유화정책이 공산침략을 조장할 뿐이라고 믿었다
트루만은 재빨리 행동했다. 미군의 파견을 승인하고, 6월 28일 자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의 유엔군 파병 결의안을 얻어냈다. 12 맥아더 장군은 6월 29일에 한강 전선을 시찰했고, 7월 1일에는 미군의 첫 부대가 부산에 상륙했다. 7월 14일, 맥아더는 유엔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한국군과 미군은 한반도 남동쪽에 위치한 낙동강을 따라 방어선을 형성했다. 장개석은 대만의 정부군을 유엔군에 참여시키라는 제안을 했다. 세계는 아시아판 Dunkirk 대규모 철수 사태를 예측하고 있었다.
1950년 7월 23일, 맥아더(1964: 346)는 워싱턴으로 전문을 보냈다.
"9월 중순, 적 후방에 2개 사단 병력으로 상륙작전이 계획되어 있다. 남쪽으로부터 8군의 공격과 연계하여 적군을 포위 섬멸할 목적이다. 나는 초기 단계에서 강력하게 적 후방을 공격하여 주 보급로를 차단시키면 적에게 결정적이고 치명적인 철퇴를 가할 수 있다고 굳게 믿는다. 이 방법을 택하지 않고 정면 공격을 택한다면, 전투가 길어지고 많은 희생이 따를 것이다"
9월 15일, 맥아더의 천재적인 인천 상륙작전은 전세를 역전시켰고, UN군은 북으로 진격했다. (김일성은 적화통일의 꿈을 완전히 무산시킨 인천상륙 작전과 맥아더에게 천추 유한을 갖게 되었을 것이다.) 스탈린은 중공군에게 공군의 엄호를 제공하고, 중공군이 패하게 되면 소련이 직접 개입한다고 약속을 하면서 모택동에게 김일성을 구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13
흐루시초프는 회고록(1971: 405)에서 말한다.
"주은래가 모택동의 지침을 받고 스탈린을 보러 날아왔다. 당시 북한군은 거의 괴멸되었다. 주은래는 미군과 한국군의 진로를 차단하기 위해 중국 인민해방군을 북한 땅으로 진입시켜야 하는가를 스탈린에게 물었다. 그들은 중국이 북한에 적극적인 지원을 해 주어야 한다는 점에 합의를 했다. 인민해방군은 이미 국경지대에 포진을 하고 있었다. 스탈린과 주은래는 이정도 병력이면 사태를 충분히 수습할 수 있으리라고 믿었다. 주은래는 다시 북경으로 날아갔다"
공산주의 세계와 자본주의 세계 사이의 전쟁
스탈린은 공산주의 세계와 자본주의 세계 사이에 3차 세계대전이 불가피 하다고 믿었다. 하지만 스탈린은 마지막 결전의 때와 장소를 자신이 결정하기를 원했다. 김일성에 의한 한반도 통일은 일본을 침공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해 줄 것이지만, 스탈린은 한국전쟁이 소련과 미국 사이의 주 전장터가 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스탈린은 유럽이 10년-20년 이내에 세계 제국주의를 박멸하는 결정타를 날리는데 가장 적합한 장소라고 믿었다. 스탈린은 모택동이 미국과의 관계를 개선하여 동아시아에서의 패권을 장악하는 것을 원치 않았다. 스탈린은 한국전쟁의 진행을 조심스럽게 조작해서 모택동이 미국으로 하여금 유럽으로부터 아시아로 병력을 이동시키게 만드는 부담의 대부분을 혼자 지도록 하는 동시에, 모택동을 서방과 연결할 수 있는 다리를 모조리 태워버리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14
1950년 10월 19일, 약 20만 명의 '인민 의용군'이 압록강을 건너기 시작했다. 15 11월 25일, 모택동의 장남이 폭격으로 사망했다. 11월 29일, 맥아더는 빠른 시일 내에 장개석의 군대를 UN군 사령부 산하로 편입시킬 것을 제안하는 전문을 보냈다. 1951년 1월 4일, 유엔군은 서울을 또 다시 빼앗겼다. 소련 공군은 1951년 1월 10일 이후에 전투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16
맥아더는 합동참모본부로부터 다음과 같은 전문을 받았다.
"앞으로 중국 공산주의자들이 우리를 한국 밖으로 쫓아 내보낼 수 있을 충분한 규모로 전선에 대규모의 군대를 집결시킨다는 사태가 발생한다면, 그 조건 하에서는 귀관에게 일본으로 철수를 시작할 것을 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당시 모택동은 한국군을 섬멸하고, UN군을 한반도에서 축출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워커 장군이 자동차 사고로 죽은 다음, 그 후임으로 1950년 12월 26일 자로 8군의 지휘를 맡은 리지웨이 장군은 방어선을 안정화 시키고 제한적인 규모나마 공격을 시작했다. 17 1951년 4월부터 6월까지 70만 명을 동원한 제5차 대공세가 실패로 끝나자, 모택동은 한국전쟁에서의 완전한 승리가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스탈린은 12개 항공사단을 번갈아 가며 만주에 주둔시켰다. 전쟁 후, 소련 공군 사령관은 한국전쟁 중, 단 345대의 소련 전투기 손실로 1,300대의 미군 비행기를 격추시켰다고 자랑을 했다. 18
후르시초프는 회고록(1971: 406)에서 말한다.
"중국은 선전포고를 하지 않고, 그냥 의용군을 한반도로 보냈다. 이들 군대는 모택동이 가장 중히 여기는 팽덕회가 지휘를 맡았다. 팽덕회는 상황보고에서, 적군을 포위와 치명적인 측면 공격으로 아주 끝장을 내버릴 수 있다고 단언했다. 불행히도 말처럼 그렇게 빨리 끝이 나지 않았다. 중공군은 여러 차례 대규모의 패배를 당했다. 전쟁은 질질 끌어가기 시작했다. 양측이 참호를 파고 들어 앉아버리자, 전장에서는 점점 더 사상자 수가 커지기 시작했다. 전선은 교착상태에 빠지는 것 같았다"
맥아더는 회고록(1964: 384)에서 말한다.
"나는 중공군을 한국에서 섬멸할 장기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 내 결정적 목표물은 그들의 보급로이다. 나는 적의 주요 보급로 전역에 걸쳐 방사능 폐기물을 뿌려 한국을 만주로부터 분리시킬 것이다. 지금 오고 있는 미국의 증원군과, 대만의 국민당 군대로 보강을 한 다음, 북한의 북쪽 끝 양쪽 해안으로 상륙과 공중낙하를 동시에 실시할 것이다"
1951년 3월 중순, 유엔군은 38도선에 도달했다. 맥아더는 냉전이 한국전쟁에서 이기든지 지든지 결판이 나리라고 믿었다. 그는 만주를 폭격하기를 원했고, 장개석의 국민당 군대를 한국에서 사용할 것을 원했다. 1951년 4월 11일, 트루만 대통령은, 맥아더가 (영국의 처칠 수상이 반대하는) 전쟁확대를 계속 고집한다는 이유로 유엔군 사령관 직위에서 해임시켰다.
1951년 6월 10일에 시작된 휴전협상은 질질 끌기 시작했다. 1952년 9월 8일, 일본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체결하고 독립을 회복했다. 공산주의자들은 휴전협상에서 마치 승전국인 양 행동을 했고, 소모적 전쟁은 계속되었다. 19
휴전협상을 촉진키 위한 핵전쟁 위협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일찍이 맥아더의 부관 노릇을 했었다. 그는 당시 미국에서 가장 인기 없는 전쟁이 되어버린 한국전쟁을 가능한 한 최단 시일 내에 종결시킨다는 암묵적인 공약을 하고 1952년에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그의 아들 잔은 당시 한국전에서 중위로 싸우고 있었다. 1월 달에 취임한 후 한달 도 채 안되어, 아이젠하워는 국가안전보장회의에서 핵폭탄 사용 선택권을 거론했다. 당시 미국은, 필요하다면 3차 대전을 치러도 충분하다고 판정되는 수량인 1,161개의 핵폭탄을 제조, 보유하고 있었다. 덜레스 국무장관은, 공산주의자들로 하여금 휴전협상을 조속히 종결시키도록 유도하기 위해, 인도의 네루 수상을 통해 모택동에게 핵폭탄 사용 최후통첩을 전달했다.
스탈린이 1953년 3월 5일 사망했다. 그런데 이승만은 북쪽으로의 송환을 거부하는 2만 6,930명의 반공 포로들을 1953년 6월 18일 날 석방해, 휴전협상을 방해했다. 20 1952년 5월에 릿지웨이 후임으로 유엔군 사령관에 임명된 클라크 장군은 이승만을 제거하기 위한 쿠테타 계획을 세웠다. 1953년 7월 4일, 공산측 협상 대표들은, 포로들 자신의 자유의사에 따라 송환을 한다는 방침에 동의했다. 이승만은 상호방위조약 등을 포함한 미국측의 주요 양보 제안을 받아들이고, 더 이상 휴전협상을 방해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다.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은 조인되고 즉시 이행되었다.
동아시아 역사 강의: 3-8 (2005. 9. 10.)
ⓒ 2005 by Wontack Hong
All rights reserved
BIBLIOGRAPHY
http://www.EastAsianHistory.pe.kr
http://www.WontackHong.pe.kr
[각주]
1. 이승만은 1875년에 태어났다. 그는 전통적인 한학 교육을 받았고, 1894년에 서울의 메소디스트 계통 배재학당에 들어가 영어를 배웠다. 1896년, 왕정을 개혁하고 일본의 식민지 야욕을 추방하려고 독립협회에 가담하여 활동을 하다가 (일반 선거로 의회를 구성한다는) 정부 전복 죄목으로 1898년에 투옥되었다. 1904년에 출옥하자, 이승만은 미국으로 건너가 George Washington 대학에서 인문사회 계통의 공부를 하여 1907년에 학사학위를 받고, Harvard 대학에서는 국제관계와 역사 공부를 하여 1908년에 석사학위를 받고, Princeton 대학의 정치학과에서는 국제법을 전공해, 한국이 일본에 합병된 1910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승만은 Woodrow Wilson 대통령 집안과는 Princeton대학 총장 시절부터 가까운 친구로 지냈다. 1910년에 귀국하여 잠시 YMCA의 일을 보고, 중학교 교장 노릇을 했다. 1912년, 일제 식민지 당국의 체포 위협 때문에 미국으로 도피했다. 이승만은 자신의 스승이었으며,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된 Woodrow Wilson을 보고 한국을 지원해 줄 것을 청했지만, Wilson으로부터 한국을 독립시키기 위한 국제적 간섭이 부적절하다는 말을 들었다. 1919년 4월, 상해에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을 때 초대 국무총리가 되었고, 1920년에는 대통령이 되었다. Burton I. Kaufman (1999: 101) 참조. 2. 스탈린은 1879년에 조지아에서 태어나, 레닌 사망 후, 1924년에 집권을 했다. 김일성은 1912년에 태어났고, 1919년에 가족 모두가 만주로 이주를 했다. 1932년에 일본이 만주를 점령하자, 김일성은 항일 게릴라 운동에 가담했다. 후에 일제가 게릴라 박멸 작전을 전개하자, 1939년(혹은 1940년)에 소련의 극동지역으로 건너가 소련군 대위로 한국인 부대를 지휘했다. Goncharov, Lewis, and Lita ( 1993: 131) 참조. 4. Stueck (1995: 30-31) 참조. 서대숙(1988: 121)에 의하면 1949년 9월부터 1950년 3월까지 3,000명 이상의 게릴라들이 남파되었다. 5. Nikita Khrushchev, Khrushchev Remembers, commentary by Edward Crankshow, and translated by Strobe Talbott (Little Brown, 1970; Bantam, 1971). Stueck (2002: 2-3)은 일부 서클에서 이 회고록의 합법성-정확성을 의심한다고 말한다. 6. Goncharov, Lewis, and Lita ( 1993: 213-4, 136-7, 138-54) 참조. 북한주재 소련 대사 Shtykov가 1950. 1. 19일 자로 Vishinsky에게 보낸 전문 해독: "김일성은 자신이 모스크바에 갔을 때 스탈린 동무가 자기에게 이승만 군대가 북쪽을 공격하면 남한으로 반격을 해 내려가도 좋다고 말했는데, 이승만이 아직 공격 할 생각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남한 동포를 해방하고 통일을 한다는 것이 지연되고 있다고 말한다. 그래서 다시 스탈린 동무를 찾아보고, 남한 국민을 해방하기 위해 인민군이 공격을 해도 좋다는 허가와 명령을 받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김일성은, 자신은 공산주의자이며, 규율을 존중하는 사람이고, 또 자신에게는 스탈린 동무의 명령이 법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자기 마음대로 공격을 시작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Kaufman (1999: 120) Stalin이 1950. 1. 30일 자로 Shtykov에게 보낸 전문 해독: "김일성은 그렇게 큰 사업을 벌리려면 대대적인 준비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너무 큰 위험부담이 없도록 사업이 조직되어야 할 것이다" Kaufman (1999: 121) 7. 서대숙 (1988: 105, 113, 120) 참조. 하지만 김일성이 당시 남한의 언론, 영상매체, 교육현장 등을 장악한 것도 아니고, 친일파 실태를 철저히 파악해 홍보할 시간적 여유도 없었기 때문에, 별 효과가 없었던 것 같다. 또, 미국 내에 혐한(嫌韓) 감정을 확산시킬 수단도 없었고, 남한의 이승만 정부가 반미 정권도 아니었기 때문에 미군의 참전을 저지할 내부적 수단도 없었다. 8. Stueck (1995: 62) 참조. 이들 고참 병사들 중 1만 명은 중공군 166사단 출신으로, 3일 만에 서울을 점령한 북한군 1군단의 제6사단으로 개편되어 방호산(方虎山)의 지휘를 받았다. 6사단은 남침 1개월 만인 7월 25일에 순천에 도달했다. 중공군 20사단 출신 병사들은 중부전선 춘천지역을 공격한 북한군 2군단의 제7사단으로 개편되었고, 중공군 164사단 출신은 김창덕 지휘 아래 동해안 간선도로에 투입된 북한군 제5사단으로 개편되었다. 노병천 (2000: 411), 한국전쟁사 1 (1992: 118) 참조. 9. Douglas MacArthur, Reminiscences (1964) 참조. 10. 청프전쟁(1883-5)의 결과로 청조의 안남 지배는 프랑스 식민통치로 대체되었다. 호지명은 1890년에 가난한 시골 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온갖 잡일을 하며 온 세상을 떠돌다가 골수 공산주의자가 되었다. 1930년에 인도차이나 공산당을 수립했고, 혁명을 수행하는데 있어, 억압 받는 농민들 역할의 중요성을 신봉했다. 1938년, 모택동과 연안에서 몇 달을 함께 지냈다. 11. (1925년에 조선공산당을 창건했고) 남한 공산당의 지도자이었던 박헌영은, 자신의 남한에서의 지도력을 회복하기 위해, 군사적 침공 보다는 민중봉기를 선호했다. 하지만 그의 추종자들과 지하 조직원들이 대부분 체포되자, 박헌영은 군사 행동에 동의하지 않을 수 없었다. 박헌영은 김일성에게, 일단 인민군이 남침을 시작하면 20만 여명의 충성스러운 추종자들이 봉기하여 남한 정권을 전복시킬 것 이라고 말했다 한다. 1963년 2월 8일(인민군 창설 15주년 기념일), 김일성은 박헌영이 거짓말장이었고, 추종자가 20만은 고사하고 1,000명도 안되었다고 비난을 퍼부었다. 서대숙 (1988: 121) 12. 트루만은 1884년에 미조리 주에서 태어나, 1921년까지 가족 농장을 경영하다가 상점을 운영하며 살았다. 1934년에 상원의원에 당선되었고, 루스벨트에 의해 부통령으로 발탁되어 1945년에 루스벨트가 죽자 대통령 직위를 승계했다. 트루만은 1945년 일본에 원폭투하 결정을 내렸고, 1947년에 마샬 플랜을 시행했고, 1948년에 대규모 공수를 단행하여 소련의 베를린 봉쇄를 극복했고, 1950년 1월에는 수소폭탄 생산을 결정했다. 트루만은 (1938년의 뮌헨式) 유화정책은 오직 공산주의자들의 침략을 조장할 뿐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미국의 한국 파병을 신속하게 결정했던 것이다. 1950년 12월 1일 (New York Times), 트루만은 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성명까지 했다. 하지만 당시 미국은 원자폭탄을 (3차대전이 일어날 경우 충분하게 대응하기에 크게 부족한) 298개 밖에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 원자폭탄 숫자는 노병천 (2000: 400) 참조. 13. Sergei N. Goncharov, John W. Lewis, and Xue Litai (1993: 216) 참조. 14. 전계서 (1993: 207, 210, 212) 참조. 15. "김일성으로서는 중국 의용군이 전투를 넘겨 받은 1950년 10월에 전쟁이 끝난 셈이다. 그들은 김일성에게 전쟁 운영에 일체 간섭을 말라고 요구했다. 팽덕회는 김일성에게, 한국전쟁은 자신과 맥아더 장군 사이의 싸움이니까 김일성은 아무 역할도 할 것이 없다고 말했다 한다" 서대숙 (1988: 137) 16. Chen (1994: 289) 참조. 17. Chen(2001: 85)에 의하면, "1950년 10월, 중공군이 한국전쟁에 개입할 때, 모택동과 북경 지도자들은 한반도에서 미군을 몰아냄으로 영광스러운 승리를 달성할 생각이었다. 하지만 9개월이 지나 보니 전투의 잔인한 현실은 북경 지도자들로 하여금 목표를 바꾸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 18. 당시 소련의 1개 항공사단은 약 120대 규모의 전투기로 구성되었다. 한국전쟁에서의 미군 전사자는 약 5만 4,000명, 부상자는 10만명, 전비 총액은 540억불로 추산되었다. Noh (2000: 175, 401) 참조. 19. Chen(1994: 220-3)에 의하면: "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여로 수많은 병사들이 전장에서 죽었고, 경제 재건에 쓸 수십억 달러의 자금이 소모되었을 뿐만 아니라, 대만 점령 기회도 상실했다. 하지만 모택동의 관점에서 본다면 중국은 얻은 것이 상당히 많았다. 신생국가 초기단계에서 도저히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일련의 정치적-사회적 혁명이 고취된 것이다. 미국에 대항하고 조선을 돕자는 운동이 대대적으로 진행된 3년 동안, 중국 공산당은 중국사회 전반에 걸쳐 조직적 통제를 효과적으로 강화했고, 중국 인민들 마음 속 깊이 당의 권위를 극적으로 인각시켜 주었다. 결과적으로 모택동은 중국을 변혁할 일련의 새로운 조치를 취할 확신과 의욕이 생겼고, 집단농장화, 산업국유화, 반-우익 캠페인, 대약진운동 등을 전개하게 되었다. 한국전쟁은 또 국제무대에서 중국이 각광을 받는 계기가 되었다. 역사상 처음으로 서구열강에 대항해 패배하지 않은 것이다. 하지만 결정적 순간에 스탈린이 배반을 하여, 소련 공군의 엄호를 받지 못하고 전투를 시작해야 했던 (1950년 10월 19일-1951년 1월 10일 기간 중) 사실을 잊을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모택동을 위시한 북경 지도자들은 자립을 강조하게 되었고 … 이는 장래 중-소 결별의 전주가 되었다" 20. Stueck(2002: 172-4)에 의하면, "주은래가 포로 문제에 양보 가능성을 타진하자, 스탈린은 강경자세를 권했고, 모택동은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스탈린은 모택동에게 휴전회담에서 강경자세를 견지하라고 계속 권했다. 하지만 스탈린 자신은 한국 문제로 미국과 대결하는 것을 피하려 했다. 한가지 분명한 것은, 스탈린 사후에 그 후계자들이 전쟁 종식을 위해 재빨리 움직였고, 중국도 이에 따랐다는 사실이다"
|
The Korean War
at the periphery of a bipolar world
Wontack Hong
Professor Emeritus, Seoul University
a transient multi-polar world
In 1853, U.S. Commodore Perry and his fleet arrived off the coast of Japan and forced the Tokugawa shogunate (1600-1868) to open up the nation. The Japanese people threw out the shogunate, gathered together under the authority of the imperial court, and commenced westernization-cum-industrialization in the name of Meiji Restoration (1868-1912), emulating the Western colonialism-imperialism and winning the Sino-Japanese War of 1894-5. In 1903, Czarist Russia had offered the Japanese the exclusive right in the Korean peninsula below the 39th parallel and neutralization of the area north of it. The offer was rejected by the Imperialist Japanese, who won the ensuing Russo-Japanese War (1904-5) and made Chosun a Japanese protectorate. Korea, which had never experienced a foreign conquest dynasty, was annexed by Japan in 1910; nationwide demonstrations against Japanese rule broke out on March 1, 1919; and, at the Cairo Conference of December 1, 1943, Roosevelt, Churchill and Jiang Jieshi stated that “in due course Korea shall become free and independent.”
at the periphery of a bipolar world
In August 1945, in the final days of World War II, the Americans and Soviets agreed to take the 38th parallel as the dividing line of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Soviet and U.S. occupation zones. on May 10, 1948, a general election was carried out in the South under the auspices of United Nations, and the Republic of Korea (ROK) was established on August 15 with 73-year-old Rhee Syng-man as president.1 Stalin established 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DPRK) in the North on September 9, 1948 with 33-year-old Kim Il-sung as the chief of state.2
Kim Il-sung broached the possibility of a military invasion of the South with Stalin in March, 1949. Kim tried to persuade Stalin that a popular uprising in the South would immediately be triggered by the invasion. NATO was formed in April, 1949. Stalin did not reject Kim’s idea in principle but, even after the withdrawal of U.S. troops from the South in June, kept encouraging his client to pursue guerrilla warfare.3 Between June and September, Kim indeed dispatched 1,200 specifically-trained fighters across the 38th parallel to intensify the on-going communist guerrilla war in the South, but most of the organized guerrilla units were eventually wiped out by the ROK army.4
“the war wasn’t Stalin’s idea, but Kim’s”
In his memoirs, Nikita Khrushchev (1971: 400-1) recalls that: “at the end of 1949, Kim Il-sung arrived with his delegation to hold consultations with Stalin. The North Koreans wanted to prod South Korea with the point of a bayonet. Kim said that the first poke would touch off an internal explosion in South Korea. … Naturally Stalin couldn’t oppose this idea. … Stalin persuaded Kim that he should think it over, make some calculations, and then come back with a concrete plan.”5
On January 12, 1950, the U.S. Secretary of State, Dean Acheson, made a speech in the National Press Club stating that the U.S. would not guarantee areas beyond Japan, the Ryukyus and the Philippines against military attack, a position that placed Korea outside the U.S. defense perimeter. Two months later, in April, Kim visited Moscow again together with Park Heon-yung, the leader of the South Korean Communists. This time, Stalin approved his invasion of South Korea on condition of obtaining the approval of Mao Zedong. Kim made a trip to Beijing in mid-May and obtained Mao’s support.6
Khrushchev remembers it this way (ibid: 401-2): “Kim went home, and then returned to Moscow when he had worked everything out. He told Stalin he was absolutely certain of success. I remember Stalin had his doubts. He was worried that the Americans would jump in, but we were inclined to think that if the war were fought swiftly–and Kim was sure that it would be won swiftly—then intervention by the USA could be avoided. Nevertheless, Stalin decided to ask Mao’s opinion about Kim’s suggestion. … Mao also answered affirmatively. He approved Kim’s suggestion and put forward the opinion that the USA would not intervene since the war would be an internal matter… We [the Soviets] had already been giving arms to North Korea for some time. It was obvious that they would receive the requisite quantity of tanks, artillery, rifles, machine guns, engineering equipment, and antiaircraft weapons.”
According to Suh (1988: 112, 121), the key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to Kim’s decision to attack South Korea were the U.S. troop withdrawal, the success of the Chinese Communists in mainland China, and the Acheson declaration regarding the U.S. defense perimeter in Asia. Furthermore, Park Heon-yung assured Kim that some 200,000 loyal followers of his organizations in the South would rise up once the invasion began, and Kim also believed that the war would be won too swiftly for the U.S. army to return to Korean peninsula.
Kim had been trying to undermine the legitimacy of the Rhee regime by amplifying the stigma of collaboration of key figures of its government with the Japanese during their occupation of Korea, and tried to get rid of the U.S. and her forces out of the minds of the South Korean people by propagating nationalism and the danger of colonial enslavement under American imperialism. The U.S. military forces had finished their withdrawal on June 29, 1949. Kim, on the other hand, had been proposing a peaceful unification since June 1949 until June 19, 1950, six days before the invasion (see Suh, 1988: 105, 113, 120).
Stalin had been providing Kim with planes, heavy artillery and tanks, while Mao was handing over 40,000 veteran Korean soldiers in the ranks of the Communist Chinese army.7 In May, Stalin dispatched a new team of Soviet army officers to finalize the details of the invasion plan. The heavily armed 200,000-man North Korean army unleashed an attack on the lightly armed 100,000-man South Korean army at 4:00 a.m. on June 25, 1950.
Khrushchev remembers (ibid: 401-2): “I must stress that the war wasn’t Stalin’s idea, but Kim’s. Kim was the initiator. Stalin, of course, didn’t try to dissuade him. … I don’t condemn Stalin for encouraging Kim. … We wished every success to Kim and toasted the whole North Korean leadership, looking forward to the day when their struggle would be won.”
General MacArthur remembers (1964: 328, 330): “The South Koreans had four divisions along the 38th Parallel. They … were equipped and organized as a constabulary force, not as troops of the line. … The decision … had been made by the State Department. The argument advanced … was that it was a necessary measure to prevent the South Koreans from attacking North Korea.”8
The Soviet explosion of an atomic device in August, 1949 had ended the American atomic monopoly. There followed the expulsion of Jiang Jieshi from mainland China, and the concentration of Communist Chinese forces along the border of Indochina, where the French were waging a losing battle against the Viet Minh.9 Communist rebels stepped up pressure on British Malaya and the pro-U.S. Philippines. Now the North Korean invasion across the 38th parallel thrust the Korean peninsula into global center stage.
Khrushchev remembers (ibid: 402-3): “when Kim was preparing for his march, Stalin called back all our advisors who were with the North Korean divisions and regiments…. I asked Stalin about this, and he snapped back at me, ‘It’s too dangerous to keep our advisors there. They might be taken prisoner. We don’t want there to be evidence for accusing us of taking part in this business. It’s Kim’s affair.’ … The designated hour arrived and the war began. The attack was launched successfully. The North Koreans swept south swiftly. But what Kim had predicted—an internal uprising after the first shots were fired and Syngman Rhee was overthrown—unfortunately failed to materialize.”10
The first contingent of the U.S. Eighth Army, the Smith Company of the 24th Division, landed at Pusan on July 1st. Stalin had never wanted to fight the U.S. army in the Korean Peninsula. on July 4th, Stalin appointed Kim as the supreme commander of North Korean army, and cleared himself and the Soviet Union out of the war. Few people have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Kim became the Supreme Commander only 10 days after the date of invasion. From that date on, Kim had to handle the fightings against the UN forces until he handed the command over to Peng De-huai on October 24th, 1950, months after the complete destruction of the North Korean army.
Truman believed that appeasement would lead to further communist aggression
Truman acted swiftly, approving the dispatch of the U.S. army, and acquiring a Security Council resolution to send in UN forces by June 28.11 General MacArthur inspected the Han River frontier on June 29, and the first contingent of the U.S. army landed on Pusan on July 1. MacArthur was selected on July 14 to command the UN forces. The ROK-U.S. forces managed to form a defense perimeter along the Nak-tong River in the southeastern corner of the peninsula. Jiang Jieshi offered to send the Nationalist Chinese troops to join the UN forces. The world speculated on a vast Asiatic Dunkirk.
On July 23, MacArthur (1964: 346) cabled Washington: “Operation planned mid-September is amphibious landing of a two division corps in rear of enemy lines for purpose of enveloping and destroying enemy forces in conjunction with attack from south by Eighth Army. I am firmly convinced that early and strong effort behind his front will sever his main lines of communications and enable us to deliver a decisive and crushing blow. The alternative is a frontal attack which can only result in a protracted and expensive campaign.”
MacArthur’s ingenuous landing operation at Inchon on September 15 completely reversed the tide of war, and the UN forces pushed northward. Stalin asked Mao to rescue Kim, promising air cover for the Chinese troops and even direct Soviet involvement in case the Chinese were defeated.12
Khrushchev remembers (ibid: 405): “Zhou En-lai had flown to see Stalin on the instructions of Mao. By this time the North Korean army was nearly decimated. Zhou asked Stalin whether Chinese troops ought to be moved into North Korean territory in order to block the path of the Americans and South Koreans. … Then they agreed that China should give active support to North Korea. Chinese troops were already stationed along the border. Stalin and Zhou believed these troops could manage the situation completely. … Zhou En-lai flew back to Beijing.”
War between communism and capitalism
Stalin believed that a Third World War between communism and capitalism was inevitable, but he wanted to determine the time and place for the final showdown.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y Kim would provide a springboard for an invasion of Japan, but Stalin did not want the Korean War to become the main battleground between the Soviet Union and the U.S.; Europe within one or two decades, Stalin thought, was the right place to deliver the death blow to world imperialism. Stalin did not want to see Mao improving relations with the U.S. and achieving a hegemonic role in East Asia. The progress in the Korean War had to be carefully manipulated as to let Mao carry the greatest part of the burden of diverting the U.S. forces from Europe to Asia and at the same time burn Mao’s bridges to West.13
On October 19, about 200,000 Chinese “People’s Volunteers” started to cross the Yalu River.14 Mao’s elder son was killed by a bomb attack on November 25. on November 29, MacArthur wired Washington, urgently recommending the incorporation of the Chinese Nationalist troops into UN command. on January 4, 1951, the UN forces lost Seoul once again. The Soviet air force did not enter operations until January 10, 1951 (see Chen, 1994, p. 289).
MacArthur (1964: 378) received the following message from the Joint Chiefs of Staff: “if thereafter the Chinese Communists mass large forces against your positions with an evident capability of forcing us out of Korea, it then would be necessary under these conditions to direct you to commence a withdrawal to Japan.” Mao began entertaining the idea of wiping out the ROK forces and expelling the U.S. army from the peninsula, but General Ridgway, who took command of the Eighth Army on December 26, 1950 following the accidental death of General Walker, could stabilize the defense line and began limited offensives.15 With the failure of the Fifth Offensive, that was launched from April to June in 1951 with 700,000 soldiers, Mao arrived at the conclusion that it would be impossible to win the war. Stalin stationed 12 air force divisions in Manchuria on rotation, and the Soviet air force commander later boasted to have shot down 1,300 American airplanes during the War, at a loss of 345 Soviet fighter planes.16
Khrushchev remembers (ibid: 406): “China didn’t declare war but simply sent volunteers into Korea. These troops were commanded by Peng De-huai, whom Mao held in the highest esteem. … Peng gave his situation reports to Mao. … declared categorically that the enemy would be surrounded and finished off by decisive flanking strikes. … Unfortunately, the war wasn’t ended quickly at all. The Chinese suffered many huge defeats. … The war began to draw out. As the two sides dug in, the fighting became bloodier and bloodier. The fronts seemed to be stabilizing.”
MacArthur remembers (1964: 384): “I now began to formulate long-range plans for destroying the Chinese forces in Korea. My decisive objective would be their supply lines. … I would sever Korea from Manchuria by laying a field of radioactive wastes across all the major lines of enemy supply. … Then, reinforced by Nationalist Chinese troops … and with American reinforcement on the way, I would make simultaneous amphibious and airborne landings at the upper end of both coasts of North Korea.”
By the middle of March, the UN forces reached the 38th parallel. MacArthur believed that the Cold War would be won or lost in the Korean War. He wanted to bomb Manchuria and use the Chinese Nationalist forces in Korea. on April 11, 1951, Truman relieved MacArthur of his command because of his adhesion to expanding the scope of war, a position strongly opposed by Winston Churchill.
The truce negotiation that began on July 10, 1951 dragged on. Japan regained independence by signing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of September 8, 1951. The communists behaved like a victor at the truce talks, and the war of attrition continued.17
a Nuclear ultimatum for a quick conclusion of truce negotiation
General Dwight Eisenhower had served MacArthur as an aide. Eisenhower was elected president in 1952 with the implicit promise of ending what had become a most unpopular war, the Korean War, as quickly as possible. His son John was fighting in the War as a lieutenant. In less than a month after taking office in January, Eisenhower raised the nuclear option at a meeting of the NSC. By this time, the U.S. had stockpiled 1,161 atomic bombs, deemed enough to wage a Third World War, if necessary. 18 Secretary of State John Dulles delivered a nuclear ultimatum to Mao through Premier Nehru of India to coerce the Communists into a quick conclusion of truce negotiations.
Stalin died on March 5, 1953. Rhee, on the other hand, hindered the truce talks by releasing, on June 18, 1953, the 26,930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who did not want to return to the North.19 General Clark, who replaced Ridgway as Commander of the UN forces in May, 1952, prepared a plan for a coup d’état against Rhee. on July 4, the communist negotiators agreed to the provision of returning POWs on a voluntary basis only. Rhee, after winning some major concessions from the U.S., including a mutual defense pact, promised not to disrupt the truce talks any more. on July 27, the ceasefire was agreed to and implemented.
[각주] 1 Syngman Rhee was born in 1875. He completed a traditional classical education and then entered an American Methodist high-school in Seoul where he learned English. In 1896, he joined the Independence Society to reform the monarchy and repel the Japan’s colonial designs, but ended up in prison between 1898 and 1904 for supporting the idea of a popularly elected national assembly. on his release, he went to the United States, where he received a B.A. from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in 1907 (studyi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 M.A. from Harvard University in 1908 (studying international relations and history), and a Ph.D in international law from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Princeton University, in 1910, the same year that Japan annexed Korea. He was a close friend of President Woodrow Wilson’s family. Rhee came back to Korea in 1910, but fearing arrest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rs, he fled to the U.S. in 1912. Rhee met the Democratic candidate for president and his former teacher, Woodrow Wilson, in an effort to gain his support for Korea, but Wilson told Rhee that international intervention to gain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 was inappropriate. See Burton I. Kaufman (1999: 101). 2 Kim Il-sung was born in 1912, and his family moved to Manchuria in 1919. When Japan occupied Manchuria in 1932, Kim joined guerrilla resistance against the Japanese. Kim escaped from the Japanese extermination campaigns to the Soviet Far East sometime in 1939 or 1940, and led a Korean contingent as a captain in the Soviet Army. 3 Directive to the Soviet Ambassador in North Korea, September 24, 1949: “At the present the tasks of the struggle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demand a concentration of a maximum effort, in the first place, to the development of the partisan movement, the creation of liberated regions and the preparation of a general armed uprising in South Korea in order to overthrow the reactionary regime and successfully resolve the task of unifying all Korea, and secondly, to further strengthen in every way the Peoples’ Army of Korea.” Kaufman (1999: 119) 4 See Stueck (1995: 30-1) and Goncharov, Lewis, and Lita (1993: 135-6). According to Suh (1988: 121), more than 3,000 guerrillas were sent south from September 1949 to March 1950. 5 Nikita Khrushchev, Khrushchev Remembers, commentary by Edward Crankshow, translated by Strobe Talbott (1971). Stueck (2002: 2-3) notes that their legitimacy and/or accuracy was questioned in some circles. 6 See Goncharov, Lewis, and Lita (1993: 213-4, 136-7, and 138-54). Ciphered Telegram from Shtykov to Vishinsky, January 19, 1950: “Kim stated that when he was in Moscow, Comrade Stalin said to him … in case of an attack on the north of the country by the army of Rhee Syngman, then it is possible to go on the counteroffensive to the south of Korea. But since Rhee Syngman is still not instigating an attack, it means that the liberation of the people of the southern part of the country and the unification of the country are drawn out, that he (Kim Il Sung) thinks that he needs again to visit Comrade Stalin and receive an order and permission for offensive action by the People’s Army for the purpose of the liberation of the people of Southern Korea. Further Kim said that he himself cannot begin an attack, because he is a communist, a disciplined person and for him the order of Comrade Stalin is law.” Kaufman (1999: 120) Ciphered Telegram from Stalin to Shtykov, January 30, 1950: “…he must understand that such a large matter in regard to South Korea such as he wants to undertake needs large preparation. The matter must be organized so that there would not be too great a risk.” Kaufman (1999: 121) 7 See Stueck (1995: 62). About 10,000 of these veteran soldiers were from the 166th Division of Communist Chinese Army and designated as the 6th Division, the 1st Corps of the North Korean Army that took Seoul in three days. See Noh (2000: 411). 8 See Douglas MacArthur (1964). 9 As the result of Sino-French War (1883-5), French colonial rule had been substituted for Chinese suzerainty over Annam. Ho Chi-minh founded the Indochinese Communist Party in 1930, believing in the importance of the revolutionary role of oppressed peasants. He stayed in Yan’an for a few months in 1938 with Mao. 10 Park Heon-yung, the leader of Communist operation in South Korea, “would have preferred a popular uprising to a military conquest to reclaim his leadership in the South, but since his followers and his underground agents were all arrested in the South, Park would have to agree to military action. … Park is alleged to have told Kim that once the Korean People’s Army started a military action to liberate the South, some 200,000 loyal followers of his organizations in the south would rise up and overthrow the South Korean Regime. Kim [on February 8, 1963] … told … that Park was a liar and there had not been even 1,000 members, let alone 200,000 (see Suh, 1988, p. 121).” 11 Harry Truman was born in 1884 in Missouri, and operated a family farm and then a shop until 1921. Truman was elected to the Senate in 1934, picked by Roosevelt as vice-president, and then elevated to the presidency in April 1945 on Roosevelt’s death in office. Truman made the decisions to drop the atomic bombs against Japan, implement the Marshall Plan in 1947, overcome the Soviet blockade of Berlin in 1948 with massive airlifts, and build the H-bomb in January 1950. 12 See Goncharov, Lewis, and Litai (1993: 216). 13 See ibid. (1993: 207, 210 and 212). 14 “For Kim the war ended as early as October 1950 when the Chinese volunteers took over the fight. … they … demanded that Kim stay clear of their management of the war. … Peng is alleged to have told Kim that the Korean War was a fight between himself and General MacArthur, and Kim had no part in it.” Suh (1988: 137) 15 Chen (2001: 85) notes that: “When China entered the Korean War in October 1950, Mao Zedong and the Beijing leadership intended to win a glorious victory by driving the Americans out of Korea. Nine months later the cruel reality of the battlefield forced the Beijing leadership to adjust this goal.” 16 See B. C. Noh (2000: 175). 17 According to Chen (1994: 220-3), “China’s participation in the war caused the loss of tens of thousands of its soldiers on the battlefield, forced the expenditures of billions of dollars on military purposes at the expense of China’s economic reconstruction, prevented Beijing from recovering Taiwan … But from Mao’s perspective, China’s gain was considerable. China’s involvement in the Korean War stimulated a series of political and social revolution in China that would have been otherwise inconceivable during the early stage of the new republic. During the three years of the war, along with the ‘Great Movement to Resist America and Assist Korea’ … CCP had effectively strengthened its organizational control of Chinese society and dramatically increased its authority in the minds of the Chinese people. … Mao was therefore more confident and enthusiastic than ever before to take a series of new steps to transform China, including the collectivization of agriculture, the nationalization of industry, the anti-rightist campaign, and the Great Leap Forward. … The Korean War also symbolized China’s rise to prominence in the international arena. … For the first time in its modern history China had succeeded in confronting a coalition of Western powers and emerging undefeated. … They could not forget that as the result of Stalin’s ‘betrayal’ at a crucial junction, China had to begin military operations in Korea without Soviet air support, … As a result, Mao and the other Beijing leaders would put more emphasis on ‘self-reliance’ … the prelude of the future Sino-Soviet split.” 19 Stueck (2002: 172-4) notes that: “Zhou En-lai initiated exploration of possible concessions on the POW issue, but … Stalin advised firmness on the POW issue, Mao offered no dissent. … Stalin consistently advised Mao to take a tough position in the armistice talks. At the same time, the Soviet premier always showed determination to avoid direct Soviet embroilment with the Americans over Korea. … What is certain is that Stalin’s successors moved quickly to advocate moves to end the war, and the Chinese offered no resistance.” |
http://www.East AsianHistory.pe.kr
http://www.WontackHong.pe.kr
ⓒ 2005 by Wontack Hong
All rights reserved
중도와 균형을 표방하는 신문-업코리아(upkorea.net)
'10과학적인東亞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한반도→일본 민족이동, 유전자로 밝혔다 (0) | 2015.08.12 |
---|---|
韓- 日- 몽골의 공통된 뿌리는 쥬신족 (0) | 2015.08.12 |
(39)만주족 청나라의 강역을 물려받은 중화인민공화국 (0) | 2015.08.12 |
(38)명(明)을 정복한 여진족 청(淸)왕조 (0) | 2015.08.12 |
(37)몽골 원(元)이 한족(漢族)의 명(明)으로 대체됨 (0) | 201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