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원이 이미 쫓겨나 江潭(강담)에서 노닐고 못가를 거닐면서 詩(시)를 읊조릴 적에
안색이 초췌하고 몸이 수척해 있었다.
漁父(어부)가 그를 보고는 이렇게 물었다.
그대는 三閭大夫(삼려대부)가 아닌가? 어인 까닭으로 여기까지 이르렇소?
굴원이 대답했다. 온 세상이 모두 혼탁한데 나만 홀로 깨끗하고
뭇사람들이 모두 취해있는데 나만 홀로 깨어 있으니
그래서 추방을 당했소이다.
어부(漁父)가 이에 말했다.
聖人(성인)은 사물에 얽매이거나 막히지 않고 능히 세상을 따라 옮기어 나가니
세상 사람들이 모두 혼탁하면 왜 그 진흙을 휘젖고 흙탕물을 일으키지 않으며
뭇사람들이 모두 취해있으면 왜 그 술 지게미를 먹고 薄酒(박주)를 마시지 않고는
무슨 까닭으로 깊은 생각과 고상한 행동으로 스스로 추방을 당하셨소?
굴원이 이에 답하였다.
내 듣기로, 막 머리를 감은 자는 반드시 冠(관)을 퉁겨서 쓰고
막 목욕을 한 자는 반드시 옷을 털어 입는다 하였소이다.
어찌 몸의 반질반질한 곳에 外物(외물)의 얼룩덜룩한 것을 받겠소?
차라리 湘江(상강)에 뛰어들어 강 물고기의 배속에서 葬事(장사)를 지낼지언정
어찌 희디흰 純白(순백)으로 世俗(세속)의 먼지를 뒤집어 쓴단 말이요?
漁父(어부)는 빙그레 웃고는 배의 노를 두드려 떠나가며 이에 노래를 불렀다.
滄浪(창랑)의 물 맑으면 내 갓 끈을 씻으리요, 滄浪(창랑)의 물 흐리면 내 발을 씻으리요.
그는 마침내 떠나가고 굴원은 다시 그와 더불어 말하지 못하였다.
<풀 이> 漁父란 漁夫와 같은 말로서, 그 당시의 隱士를 뜻한다. 이 글은 楚 나라의 슬픈 愛國 詩人 屈 原이 湘江의 물가에 漁父를 가장한 隱士와 問答한 것을 楚 나라 사람들이 屈 原의 그 潔白한 지조를 愛慕하여 엮어 傳한 글이 라고 한다. 一說에는 이글을 屈 原이 自問 自答한 辭라고 한다.
초(楚)의 왕족과 동성(同姓). 이름 평(平). 자 원 . 생몰연대는 기본자료인 《사기(史記)》 <굴원전>에 명기(明記)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설이 있으나, 지금은 희곡 《굴원》의 작자인 궈모뤄[郭沫若]의 설에 따른다. 학식이 뛰어나 초나라 회왕(懷王)의 좌도(左徒:左相)의 중책을 맡아, 내정 ·외교에서 활약하였으나 법령입안(法令立案) 때 궁정의 정적(政敵)들과 충돌하여, 중상모략으로 국왕 곁에서 멀어졌다. 《이소(離騷)》는 그 분함을 노래한 것이라고 《사기》에 적혀 있다.
그는 제(齊)나라와 동맹하여 강국인 진(秦)나라에 대항해야 한다는 합종파(合縱派)였으나, 연형파(連衡派)인 진나라의 장의(張儀)와 내통한 정적과 왕의 애첩(愛妾) 때문에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왕은 제나라와 단교하고 진나라에 기만당하였으며, 출병(出兵)하여서도 고전할 따름이었다. 진나라와의 화평조건에 따라 자진하여 초나라의 인질이 된 장의마저 석방하였다.제나라에 사신으로 가 있던 굴원은 귀국하여 장의를 죽여야 한다고 진언했으나, 이미 때는 늦었고 왕의 입진(入秦)도 반대하였으나 역시 헛일이었다. 왕이 진나라에서 객사(客死)하자, 장남 경양왕(頃襄王)이 즉위하고 막내인 자란(子蘭)이 영윤(令尹:재상)이 되었다. 자란은 아버지를 객사하게 한 장본인이었으므로, 굴원은 그를 비난하다가 또다시 모함을 받아 양쯔강 이남의 소택지로 추방되었다. 《어부사(漁父辭)》는 그때의 작품이다. 《사기》에는 <회사부(懷沙賦)>를 싣고 있는데, 이는 절명(絶命)의 노래이다.한편 자기가 옳고 세속이 그르다고 말하고, 난사(亂辭:최종 악장의 노래)에서는, 죽어서 이 세상의 유(類:법 ·모범)가 되고 자살로써 간(諫)하겠다는 결의를 밝히고 있는데, 실제로 창사[長沙]에 있는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었다. 그의 작품은 한부(漢賦)에 영향을 주었고, 문학사에서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높이 평가된다
☞ 屈原과 離騷 |
|
일찌기 굴원은 회왕때 좌도(左徒) 벼슬에 있었는데 견문이 넓고 기억력이 뛰어났으며
역대의 치란(治亂)에 밝아 회왕으로부터 신임이 두터웠다.
굴원이 회왕의 명을 받아 초나라를 부강하게 하기 위해 헌령(憲令)을 기초하고 있었는데
굴원과 왕의 은총을 다투던 상관대부 늑상이 그걸 가로채어 자신의 공적으로 삼으려 하였으나 굴원은 이를 거절하였다.
늑상은 이에 굴원을 회왕에게 참소하였다.
"굴원을 학식이 빙자하여 믿고 대왕을 업신여기며 무엇인가 딴마음을 품고 있는 듯합니다."
현명치 못한 회왕은 늑상의 말을 믿고 굴원을 멀리하였다.
굴원은 왕의 듣고 보는 것이 총명하지 않고 참소와 아첨이 임금의 밝음을 가로막는 것을 금심하고 비통해하면서
장편의 시를 지어 그의 울분을 토로하니 이 시가 유명한 굴원의 이소(離騷)이다.
이 이소라는 주제의 뜻에 대하여는 두가지 설이 있다.
'이(離)'는 '이(罹)'와 같은 뜻으로 병이나 재앙에 걸린다는 뜻이고
'소(騷)'는 근심을 뜻하는 것이므로 '근심을 만난다'는 뜻이라는 견해이고,
또 하나는 후한 때 왕일(王逸)의 견해로 '이(離)'는 이별의 뜻이므로
'이별을 근심한다'라는 뜻이라는 설인데 앞의 설이 유력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굴원은 제나라와 연합하여 진나라에 대항해야 한다고 주장한 친제파였다.
당시 초나라는 굴원의 반대파인 친진파가 득세하고 있었는데
이들 친진 세력들은 진나라의 장의가 6백리의 땅을 베어 주겠다는 미끼에 속아
제나라와 친교를 끊은 후 끊임없이 진나라의 침략을 받게 되고 초나라가 고립무원의 지경에 이르게 되자
회왕은 다시 굴원을 불러들여 다시 등용하려고 하였다.
굴원은 오직 조국 초나라에 공헌하겠다는 일념으로 수도인 영으로 돌아왔으나
재차 녹상의 참소를 입어 강남지방으로 추방되는 비운에 처해졌다.
굴원은 상수(湘水)가를 방황하면서 웅혼(雄渾)의 시 [천문(天問)]을 써냈다.
172가지 문제를 제기하여 비통한 울부짖음으로 천지에 의문을 호소하였다.
굴원이 상수가에 이르러 머리털을 풀어헤치고 못가로 다니며 침음(沈吟)하니 그의 모습은 아주 파리하고 수척해 있었다.
어부가 그를 보고 물었다. "당신은 삼려대부(三閭大夫)가 아닙니까?
무슨 까닭으로 이 지경에 이르렀습니까?"
굴원이 대답하였다.
"온 세상이 혼탁하되 나홀로 맑으며 많은 사람들이 취하였으되 나홀로 깨었소.
내 이런 까닭으로 쫓겨나 이 지경이 되었소."
굴원은 이런 가운데서도 나라에 대한 걱정을 한시도 잊은 일이 없었다.
경양왕 19년(B.C. 280) 초나라는 지금까지의 친진 정책에서 180도 전환하여 반진 정책을 펴
여러 제후의 나라에 사자를 보내어 반진 동맹을 재건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를 눈치챈 진나라는 초나라를 공격하여 한북(漢北)과 상용(上庸)의 땅을 빼앗고
다음해에는 또 서릉(西陵)을 빼앗았다.
경양왕 27년(B.C. 278)에는 진나라 장수 백기(白起)가 드디어 초나라의 수도 영을 함락시키고
선왕의 무덤인 이릉(夷陵)을 불태워버리니 경양왕은 진성(陳城, 하남성)으로 후퇴하였고
다음해에는 다시 초나라의 무(巫)와 금중을 점령하니 이곳은 초나라의 운명이 걸려 있는 곳이었다.
일찌기 회왕이 진나라에 억류당하면서까지도 끝끝내 내놓지 못하겠다고 버티던 요충지였는데
이제 진나라가 무력으로 빼앗아 버린 것이다.
굴원은 이 소식을 듣고 조국의 앞날에 실망한 나머지 분연히 '애영과 회사(懷沙)의 시'를 짓고
음력 5월 5일 돌을 품고 멱라수(호남성 상수의 지류)에 몸을 던져 순국(殉國)하니
이때 그의 나이 62세였다. 애국 시인이었던 굴원은 중국 시가의 세계에서나 중국인의 생활면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중국 역대의 위대한 시인--이백(李白)과 두보(杜甫)도 예술. 품격. 덕성면에서 굴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호남성 도강현에 있는 굴원에 얽힌 고적의 하나인 천문대 구지는 지금까지 완전히 보전되어 있으며,
투신 자살한 멱라수 가에는 그의 무덤과 사당이 세워져 있다.
굴원이 죽은 음력 5월 5일은 속칭 단오절(端五節)이라 하여 그를 추모하는 제일(祭日)로 정해져 있다.
매년 이날이 되면 강남 지방의 사람들은 뱃머리에 용의 머리를 장식한 용선(龍船)의 경주를 성대히 벌이고
갈대잎으로 싼 송편을 멱라수 물고기에게 던져 주고 있다.
전설에 의하면 물속에 잠긴 굴원이 고기에게 뜯어먹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놀이라고 한다.
단오절에 송편을 만드는 일은 전국적으로 펴져 지금까지 전해 오고 있으며
이같은 풍습은 중국에서뿐 아니라 멀리 일본. 말레이시아 등 여러 나라에까지 전승되고 있다.
'21[sr]그림,詩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카소 전"을 다녀 와서. (0) | 2015.09.22 |
---|---|
귀거래사 /도연명 (0) | 2015.09.22 |
푸른 오월/노천명 (0) | 2015.09.22 |
뭉크의 생애와 작품 세계 (0) | 2015.09.22 |
락슈미나라얀 사원 (0) | 2015.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