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무 이름의 유래 ◎
▒ 모양에 따른 명명
1. 반송 : 한자의 소반 盤자를 써서 수관의 모양이 주방에서 쓰는 쟁반, 소반을 닮은데서 유래
2. 용송 : 용이 승천하듯 구부러지거나 뒤틀리며 자란다 하여 유래 [용버들도 같은 유래로 이름붙음]
3. 층층나무 : 줄기에서 나온 가지들의 모양이 층을 이루며 평평한 바퀴살 형태로 나오는데서 유래
4. 국수나무 : 껍질과 속이 하얗고 길게 늘어져 국수처럼 생겼다하여 유래
5. 땅비싸리 : 빗자루를 만들며 초본의 비싸리 보다 작고 땅에 붙어서 자란다고해 유래
6. 버들 : 가지가 부드럽다는 의미의 부들이 버들로 구전된데서 유래
7. 광대싸리 : 싸리나무는 아니지만 광대처럼 싸리의 흉내를 낸다하여 유래
8. 위성류 : 중국의 위성에서 많이 심고 모양이 버드나무처럼 늘어진데서 유래
9. 모양이 큰대서 유래된 이름들 : 왕버들, 왕자귀나무, 왕머루, 왕팽나무, 왕대 등
▒ 쓰임에 따른 명명
1. 자귀나무 : 나무를 다듬는 연장인 자귀의 자루를 만든다하여 자귀대나무(짜구대나무)라는 이름이 붙음.
2. 대팻집나무 : 대패의 집을 만드는 나무에서 유래
3. 참빗살나무 : 참빗의 살을 만든데서 유래
4. 작살나무 : 물고기를 잡을 때 작살로 쓰인데서 유래
5. 윤노리나무 : 윷을 만들어 노는데서 유래(윷놀이나무=윤노리나무)
6. 키버들 : 농사 도구인 키를 만드는데 유래
7. 고리버들 : 고리괘짝을 만드는데서 유래
8. 조릿대 : 조리를 만든데서 유래
9. 피나무 : 껍질을 벗겨서 삿자리(갈대로 엮은 자리)를 만드데서 유래
10. 사위질빵나무 : 사위가 짐을 질때 힘을 덜 수 있도록 연약한 줄기를 가진데서 유래
11. 이정표로 쓰인 나무들 : 오리나무(5리), 시무나무(10리)
12. 옻나무 : 옻칠에 쓰인데서 유래
13. 황칠나무 : 황금색 칠로 쓰인데서 유래
14. 떡갈나무 : 떡을 갈아 싸는 데서 유래
▒ 수피의 형태로 명명
1. 백송 : 줄기가 하얀색에서 유래
2. 흑피목 : 줄기가 검은색에서 유래(=검은피나무)
3. 흑송 : 검은색 줄기에서 유래(흑송=검솔=곰솔,해송)
4. 주목 : 붉은 수피에서 유래
5. 황벽나무 : 내수피가 짙은 노란색에서 유래
6. 은백양나무 : 줄기가 은색에서 유래
7. 노각나무 : 사슴뿔처럼 부드럽고 황금빛을 가진데서 유래(녹각나무=노각나무)
8. 벽오동나무: 줄기의 푸른색에서 유래(한자이름은 청동목, 북한에서는 청오동)
9. 버즘나무 : 피부병의 일종인 버즘을 닮은 수피에서 유래(=플라타너스)
10. 골참나무 : 두꺼운 수피때문에 세로로 깊은 골이 파진데서 유래(골참나무=굴참나무)
▒ 잎의 특징으로 명명
1. 박쥐나무 : 박쥐의 날개 모양과 같다하여 유래
2. 칠엽수 : 잎이 7개로 갈라지는데서 유래
3. 팔손이 : 잎의 갈라지는 모양이 손가락 8개 달린 손바닥 같은데서 유래
4. 오가피 : 잎이 5개로 갈라지고 껍질을 약으로 쓴다는데서 유래(=오갈피나무)
5. 가새뽕나무 : 가위로 잘라놓은 것처럼 잎이 파진데서 유래
6. 고추나무 : 고추의 잎을 닮은데서 유래
7. 좀깨잎나무 : 잎이 작은 깻잎 모양을 닮은데서 유래
8. 좀사방오리 : 사방오리보다 잎이 작고 잎맥수가 많은데서 유래
9. 우묵사스레피나무 : 잎 끝이 우묵하게 들어간데서 유래
10. 비자나무 : 침엽이 좌우로 줄처럼 달린 모양이 아닐 비(非)자를 닮은데서 유래
11. 낙엽송 : 속생하고 있는 잎이 1개씩 떨어지는데서 유래
12. 낙우송 : 작은 가지의 일부가 깃처럼 떨어지는데서 유래
13. 붉나무 : 단풍이 특히 붉게 드는데서 유래
14. 자귀나무 : 밤에는 복엽으로 붙은 작은 잎이 서로 닫리는 모양이 잠자는데 귀신같아하여 유래
15. 은단풍 : 잎의 앞 뒷면이 은빛인 단풍나무라는 의미로 명명
16. 졸참나무 : 참나무중 잎이 가장 작은데서 유래
17. 태산목 : 잎의 크기가 다른 나무보다 매우 큰데서 유래
18. 사철나무 : 사계절 푸른 잎에서 유래
19. 사시나무 : 잎자루가 길어 미풍에도 흔들리는데서 유래(바람에 벌벌떤다는 의미)
▒ 꽃의 모양에 따른 명명
1. 이팝나무 : 쌀밥을 고봉으로 퍼놓은 듯 꽃이 피어 이밥나무에서 유래
2. 조팝나무 : 잔잔한 흰꽃리 조밥을 연상시킨다하여 조밥나무에서 유래
3. 야광나무 : 새하얀 꽃핀 모양을 밤에 보면 빛이 발하는 듯 보인다하여 유래
4. 능소화 : 밤을 능가할 정도로 환한 꽃을 피운다하여 유래
5. 튤립나무 : 초본 튤립의 꽃과 비슷한 꽃은 피운다해서 유래
6. 수국 : 비단으로 수를 놓은 것 같은 둥근 꽃이 달린다는 뜻에서 수구화에서 유래
7. 수수꽃다리 : 수수꽃을 닮은 꽃이 핀다하여 유래
8. 참꽃나무겨우살이 : 참꽃나무와 비슷한 꽃이 달리나 상록으로 겨울을 난다하여 유래
9. 협죽도 : 나무모양은 버드나무를 닮고 복사나무를 닮은 꽃이 핀다하여 유도화라 불림
10. 팥꽃나무, 분꽃나무도 꽃의 모양으로 붙은 이름이다.
11. 옥매, 홍매, 화매화는 꽃의 색깔로 붙은 이름
12. 불두화 : 하얀 꽃이 스님의 머리를 닮았다하여 유래
13. 무궁화 : 오랫동안 무진장하게 꽃을 피운다하여 유래
14. 무화과 : 꽃이 없는 과일이란 뜻인데 꽃이 필때 꽃받침과 꽃자루가 긴 타원형 주머니처럼 비대해지면서 수많은 작은 꽃들이 주머니 속으로 들어가 버리고 꼭대기만 조금 열려있어서 꽃을 잘 볼 수 없으므로 무화과란 이름이 붙음
15. 함박꽃나무 : 꽃이 함박(통나무로 파서 만든 나무 그릇인 함지박)을 닮은데서 유래
▒ 열매의 특징으로 명명
1. 은행나무 : 열매가 살구모양인데 은빛이라는 뜻에서 유래(은銀살구나무杏)
2. 모과나무 : 참외모양의 열매가 달린다하여 목과나무(나무木오이瓜)에서 유래
3. 주엽나무 : 주염(쥐엄나무)열매가 달린다는 의미에서 유래
4. 천선과나무 : 신선의 과일이라는 의미에서 유래
5. 복분자딸기 : 먹기만 하면 요강이 뒤집어질 정도로 정력이 세어진다는데서 유래
6. 까마귀베개 : 까마귀가 베기에 적당한 작은 베개 모양의 열매에서 유래
7. 장구밥나무 : 전통악기인 장구모양의 열매가 달린데서 유래
8. 나래회나무 : 4개로 갈라진 열매의 끝이 선풍기 날개처럼 휜데서 유래
9. 족제비싸리 : 족제비 꼬리모양을 한 열매가 달린데서 유래
10. 산딸나무 : 산속의 큰 나무에 딸기 모양의 열매가 달리는데서 유래
11. 중대가리나무 : 열매가 둥글고 반질반질하여 스님의 머리를 닮았다고 직설적으로 붙은 이름
12. 쥐똥나무 : 열매의 모양이 흡사 쥐의 똥같다하여 유래(북한이름 검정알나무)
13. 만병초 : 모든 병에 다 효력이 있는 만병통치약이란 의미로 붙은 이름
14. 염주나무 : 단단하고 새까만 열매가 달려 염주를 만들 수 있는데서 유래
15. 쪽동백나무 : 머릿기름을 짜내는 동백나무에 비하여 열매가 작은데서 유래
16. 유동 : 기름을 짜는 열매가 달리고 오동나무와 비슷한데서 유래
▒ 가시의 특징으로 명명
1. 실거리나무 : 가시가 날카로운 갈고리처럼 휘어있어 실이 잘 걸리는데서 유래(=총각귀신나무)
2. 음나무 : 가시모양이 엄하게 생긴데서 유래(엄나무)
3. 호자나무 : 가시가 굵고 튼튼하여 호랑이 발톱같다하여 유래
4. 매발톱나무 : 탁엽이 변하여 매발톱같은 날카로운 가시가 3개씩 달린데서 유래
5. 호랑가시나무 : 잎의 가장자리가 단단한 침으로 변하여 호랑이가 등이 가려울 때 등긁기로 쓴다는데서 유래
6. 찔레나무 : 가시에 잘 찔린다하여 유래
▒ 냄새 맛에 따라 명명
1. 생강나무 : 생강냄새가 나는데서 유래
2. 누리장나무 : 잎에서 역한 누린내가 나는데서 유래
3. 소태나무 : 지독히 쓴 맛인 소태맛이 나는데서 유래
4. 향나무 : 나무에서 향기가 나는데서 유래
5. 오미자 : 익는 열매에서 신맛, 단맛, 쓴맛, 짠맛, 매운맛의 다섯가지 맛이 나는데서 유래
6. 다래 : 단 열매가 열리는데서 유래
7. 정향나무 : 꽃향기를 약제로 쓰는데서 유래
8. 서향 : 상서로운 향기가 나는데서 유래
9. 백리향 : 향기가 백리에 이른다는 의미에서 유래
10. 돈나무 : 열매가 겨우내내 끈적끈적하고 달큼한 액체를 분하여 각종 곤충과 파리떼가 날아와서 지저분하기 때문에 똥나무에서 유래
11. 물푸레나무 : 잔가지를 꺽어 물속에 넣으면 푸른물이 울어나는데서 유래
▒ 생태적 특징에 따른 명명
1. 겨우살이 : 낙엽이 저버린 기주나무에서 겨울을 상록으로 나는데서 유래, 또는 겨우겨우 살아간다는 뜻에서 유래
2. 인동덩굴 : 반상록으로 겨울도 참고 잘 견딘다는 뜻에서 유래
3. 갯버들 : 주로 개울가에서 자라는데서 유래
4. 담쟁이덩굴 : 담장의 덩굴이란 의미에서 유래
5. 바위말발도리 :바위가 많은 지역에서 자라는데서 유래
6. 해송 : 바닷가에 자라는 소나무라는 뜻에서 유래
7. 노린재나무 : 태우고 나면 황색의 재가 남는데서 유래
8. 검은재나무 : 태우고 나면 검은색의 재가 남는데서 유래
9. 붉가시나무 : 나무의 색이 붉은 가시나무라는 뜻에서 유래
10.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거나 나무의 성재함수율이 높은데서 물자를 붙여 물박달나무, 물황철나무, 물오리나무, 물참나무, 물갬나무, 등이 있다.
11. 구별을 위해 참자가 붙은 참가시나무, 참개암나무, 참느릅나무, 참조팝나무, 참싸리 등이 있다.
12. 깊은 산에서 자란다하여 산딸기나무, 산벚나무, 산뽕나무, 산앵도, 산조팝나무, 산팽나무, 묏대추, 두메오리나무 등이 있다.
13. 팽나무 : 열매를 팽총의 탄환으로 사용할 때 날아가는 소리가 팽~한다하여 유래
14. 꽝꽝나무 : 잎이 두꺼워 불속에 던져 넣으면 "꽝꽝" 소리가 나는데서 유래
15. 자작나무 : 수피를 태울 때 "자작자작" 소리가 나는데서 유래
16. 닥나무 : 가지를 분지를 때 "딱"하고 나는 소리에서 유래
▒ 한자이름
1. 호도나무 : 오랑케나라에서 들어온 복숭아처럼 생긴 열매라는 뜻에서 유래
2. 골담초 : 뼈를 책임진다는 의미에서 유래
3. 귀룽나무 : 구룡목에서 변함
4. 서나무 : 서목이 변함(=서어나무)
5. 소사나무 : 소서목에서 변함
6. 고로쇠나무 : 수액을 채취하여 마시면 뼈에 좋다는 뜻에서 유래(골리수나무=고로쇠나무)
7. 생동나무 : 겨울에 반상록으로 지나나 대체로 살아서 겨울을 난다는 뜻에서 유래(생동목=생동나무)
8. 모란 : 목단에서 변함
9. 가중나무 : 가짜 중이라는 의미에서 유래
10. 참중나무 : 진짜 중이라는 의미에서 유래
11. 회화나무 : 중국이름 괴화나무에서 괴의 중국발음이 회이므로 회화나무, 회나무로 됨
《참고자료:경북대학교 박상진 명예교수글 sjpark@bh.knu.ac.kr》
나무이름 유래의 원천 설명
가문비나무 수피의 형태 검은빛 수피를 가진 흑피목(黑皮木)에서 검은피나무로 되고 다시 변하여 가문비나무가 됨
가새뽕나무 잎의 특징 가위로 잘라 놓은 것처럼 잎이 깊이 파진 뽕나무라는 뜻
가시나무 한자어에서 유래 가서목(哥舒木)에서 가서나무를 거쳐 변한? 가시나무
가중(假僧)나무 한자어에서 유래 가짜중이란 뜻의 가중(假僧)나무
갯버들 생태 및 기타 주로 개울가에서 자란다데서 유래
거제수나무 한자어에서 유래 거제수나무의 한자이름은 황화수(黃樺樹)이나 수재를 막아주는 나무란 뜻의 거제수(去災水)로 해석하기도 하며
겨우살이 생태 및 기타 낙엽이 저버린 기주(寄主)나무에서 겨울을 상록으로 나므로 겨울살이가 변한 겨우살이가 됨, 혹은 겨우겨우 살아간다는 뜻의 겨우살이
고로쇠나무 한자어에서 유래 수액을 채취하여 마시면 뼈에 좋다는 뜻의 골리수(骨利樹)에서 변한 고로쇠나무
고추나무 잎의 특징 잎이 고추잎을 닮았다하여 붙여짐
골담초(骨擔草) 한자어에서 유래 뼈를 책임진다는 의미가 있으며 한약제로 쓰인다.
곰솔(흑솔) 수피의 형태 검은 소나무라는 뜻으로 붙여진 흑송(黑松)이 검솔을 거쳐 곰솔이 됨
광대싸리 나무모양 싸리가 아니나 광대처럼 싸리 흉내를 낸다하여 붙여짐
괴불나무 열매의 특징 흔히 두개씩 마주보기로 달리는 모양이 개불알을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
구골(狗骨)나무 한자어에서 유래 개 뼉다귀나무란 뜻의 구골(狗骨)나무
국수나무 나무모양 껍질도 속도 하얗고 길게 늘어져서 국수를 연상한다하여 붙여짐
굴참나무 수피의 형태 두꺼운 수피 때문에 세로로 깊은 골이 파진다 하여 골참나무로 부르다가 굴참나무로 바뀌었다.
귀룽나무 한자어에서 유래 구룡목(九龍木)에서 변한 귀룽나무
까마귀베게 열매의 특징 열매모양이 까마귀가 베기에 적당한 작은 베게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한데서 유래
꽝꽝나무 생태 및 기타 잎이 두꺼워 불속에 던져 넣으면 "꽝 꽝" 하는 소리가 난다고 하여 붙여짐
꾸지뽕나무 쓰임새 뽕나무와 쓰임새는 비슷하나 훨씬더 단단하다는 의미로 굳이뽕나무가 구지뽕나무로 되고 다시 된 발음으로 변하여 꾸지뽕나무가 되었다.
나래회나무 열매의 특징 4개로 갈라진 열매의 끝이 선풍기 날개처럼 휘었다하여 붙여짐
낙엽송(落葉松) 잎의 특징 속행하고 있는 잎이 1개씩 떨어진다 하여 붙여짐
낙우송(落羽松) 잎의 특징 잎은 물론 작은 가지의 일부가 깃처첨 떨어진다 하여 붙여짐
노각나무 수피의 형태 사슴뿔처럼 보드랍고 황금빛을 가진 아름다운 수피라는 뜻에서 녹각(鹿角)나무라고 하다가 발음이 쉬운 노각나무로 되었다.
노간주나무 한자어에서 유래 노가자목(老柯子木)에서 변한 노간주나무
노린재나무 쓰임새 전통염색에 널리 쓰인 황회를 만들던 나무로서 타고남은 재의 색깔이 노란쌕을 띤다 하여 붙여짐
누리장나무 냄새 및 맛 잎에서 역한 누린내가 난다하여 붙여짐
눈잣나무, 눈향나무 등 나무모양 나무가 누워있다는 뜻으로 붙여짐
다래나무 냄새 및 맛 열매의 맛이 달다라는 뜻에서 유래
닥나무 생태 및 기타 나무 가지를 분지를 때 "딱"하고 분질러진다고 하는 데서 유래됨
담쟁이덩굴 생태 및 기타 담장의 덩굴이란 의미에서 유래
대추나무 한자어에서 유래 대조목(大棗木)에서 대조나무를 거쳐? 대추나무
대팻집나무 쓰임새 대패를 만드는 용도로 쓰여진다 하여 붙여짐
댕강나무 생태 및 기타 나뭇가지를 분지르면 "동강동강"하고 분질러지는 데서 동강나무가 변하여 댕강나무가 됨
동백(冬柏) 꽃모양 겨울에도 꽃이 핀다는 뜻에서 유래
땅비싸리 나무모양 빗자루를 만들고 약용으로 쓰이는 초본의 비싸리 보다 작고 땅에 붙어 자란다하여 붙여짐
떡갈나무 쓰임새 잎으로 떡을 갈아 싸는데 이용하였다는 데서 유래
마가목 잎의 특징 싹이 나오는 모량이 말의 이빨처럼 튼튼하게 생겼다하여 마아목(馬牙木)이 변하여 마가목이 되었다.
만병초(萬病草) 열매의 특징 열매가 모든 병에 다 효력이 있는 만병통치약이란 뜻에서 유래
말발도리 열매의 특징 열매가 말발굽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말채나무 쓰임새 가지가 낭창낭창하여 말채찍으로 쓰였다는 데서 유래
매발톱나무 가시의 특징 탁엽이 변하여 매발톱같은 날카로운 가시가 3개씩 달린데서 유래
멍석딸기 나무모양 자라는 모양이 멍석을 바닥에 깔아 놓은 듯이 땅에 바짝 붙어서 자란다 하여 붙여진 이름
모과나무 열매의 특징 참외모양의 열매가 나무에 달린다 하여 목과(木瓜)나무가 변하여 모과나무가 되었다.
모란 한자어에서 유래 목단(木丹)이 변한 모란
목련 꽃모양 연꽃모양의 꽃이 피는 나무라는 뜻
무궁화(無窮花) 꽃모양 오랫동안 계속하여 무진장하게 꽃이 핀다는 뜻에서 유래
무화과나무 꽃모양 꽃이 없는 과일이란 뜻으로 꽃이 필때 꽃받침과 꽃자루가 긴 타원형 주머니처럼 비대해 지면서 수많은 작은 꽃들이 주머니 속으로 들어가 버리고 꼭대기만 조금 열려 있어서 꽃을 볼 수 없으므로 이런 이름이 생겨났다.
무환자(無患子)나무 쓰임새 환자가 생기지 않는다는데서 그 이름이 유래됨
미류(美柳)나무(양버들) 나무모양 미국에서 들어온 버들 혹은 아름다운 버들이란 의미로 붙여짐
미선(美扇)나무 나무모양 열매의 모양이 마치 부채를 펴 놓은 듯 아름답게 생겼다는 뜻에서 유래
미역줄나무 잎의 특징 덩굴의 뻗음이 튼튼하여 미역 고갱이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짐
바위말발도리 생태 및 기타 바위가 많은 지역에서 자란다는데서 유래
박쥐나무 잎의 특징 잎 모양이 박쥐가 날개를 폈을때 모양과 같다하여 붙여짐
박태기나무 꽃모양 꽃모양이 밥을 띄겨둔 것 같다하여 밥틔기라는 말에서 유래
백리향(百里香) 냄새 및 맛 향기가 백리에 이른다는 뜻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백송(白松) 수피의 형태 거의 흰빛의 얼룩얼룩한 수피를 갖는 소나무에서 유래
버들 나무모양 가지가 부드럼다는 뜻의 부들나무가 부르기좋은 버들로 바뀐것으로 보임
버즘나무 수피의 형태 피부병의 일종인 버짐이 핀것처럼 수피가 생겼다하여 붙여짐
벽오동(碧梧桐) 수피의 형태 수피가 푸른색이라서 붙여진 이름으로 한자어로는 청동목(靑桐木)이며 북한에서는 청오동이라 한다.
병꽃나무 꽃모양 꽃모양이 병의 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복분자(覆盆子)딸기 열매의 특징 먹기만 하면 요강이 뒤집어질 정도로 정력이 세어진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분꽃나무 꽃모양 분꽃과 비슷한 꽃이 핀다고 하여 붙여짐
분비나무 수피의 형태 회갈색의 흰수피인 분피(粉皮)나무가 변한 분비나무
불두화(佛頭花) 꽃모양 꽃이 스님의 머리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
붉가시나무 생태 및 기타 나무의 색이 붉은 가시나무란 뜻에서 유래
붉나무 잎의 특징 단풍이 특히 붉게 물든다 하여 이름이 붙여짐
붓순나무 잎의 특징 순이 나오는 모양이 붓처럼 생겼다는데서 유래
비자나무 잎의 특징 침엽이 좌우로 줄처럼 달리 모양이 한자의 아닐 비(非)자를 닮았다하여 비자(榧子)나무라 함
빗죽이나무 잎의 특징 겨울눈의 모양이 삐죽해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사시나무 잎의 특징 잎자루가 길어 약간의 바람에도 벌벌떤다는 의미에서 유래
사위질빵 쓰임새 사위가 짐을 질때 힘을 덜수 있도록 연약한 줄기를 가졌다 하여 붙여짐
사철나무 잎의 특징 사철내내 푸르다는 의미에서 유래
산딸나무 열매의 특징 산속의 큰 나무에 딸기 모양의 열매가 달린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삼지(三枝)닥나무 나무모양 나뭇가지가 정확하게 3개씩 갈라져 자란다하여 붙여짐
상동나무 한자어에서 유래 겨울에 반상록으로 지나나 대체로 살아서 겨울을 난다는 생동목(生冬木)에서 생동나무를 거쳐 변화된 상동나무
생강나무 냄새 및 맛 잎이나 가지를 꺽으면 생강냄새가 난다하여 붙여짐
서나무(서어나무) 한자어에서 유래 서목(西木)에서 변한 서나무(서어나무)
서향(瑞香) 냄새 및 맛 상스러운 향기가 난다는 뜻에서 유래
소사나무 한자어에서 유래 소서목(小西木)에서 변한 소사나무
소태나무 냄새 및 맛 지독히 쓴맛인 소태맛이 난다하여 소태나무라 함
수국 꽃모양 비단으로 수를 놓은 것 같은 둥근 꽃이 달린다는 뜻에서 수구화(繡毬花)가 변한 수국
수수꽃다리 꽃모양 수수꽃을 닮은 꽃이 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수양(垂楊)버들 나무모양 가지가 길게 바닥으로 늘어지는 모습에서 유래
쉬나무 한자어에서 유래 중국의 오수유에서 나라 이름 '오'가 빠지고 수유나무로 부르다가 쉬나무가 되었으며 북한 이름은 아직도 수유나무이다.
시무나무 쓰임새 거리의 계산으로 십리마다 이 나무를 심었다하여 붙여짐
신갈나무 쓰임새 예날 나무꾼들이 숲속에서 짚신바닥이 헤지면 신갈나무 잎을 깔았다하여 '신을 간다'란 의미로 신갈나무가 되었다고 함
실거리나무 가시의 특징 가시가 날카로운 갈고리처럼 휘어있어 실이 잘 걸리는 나무란 의미이며 일명 총각귀신나무라고도 한다.
아그배나무 열매의 특징 열매가 작은 아기배 모양이라고 하여 아기배나무가 변하여 아그배나무가 되었다.
야광(夜光)나무 꽃모양 새하얀 꽃핀 모양을 밤에 보면 빛을 발하는 것 같다는 의미에서 유래
염주(念珠)나무 열매의 특징 단단하고 새까만 열매가 달려 염주를 만들수 있다는 뜻에서 유래
오갈피나무 잎의 특징 잎이 5개로 각각 갈라지고 껍질을 약제로 쓴다는 뜻에서 유래
오리나무 쓰임새 거리의 계산으로 오리마다 이 나무를 심었다하여 붙여짐
오미자(五味子) 냄새 및 맛 익는 열매에서 신맛, 단맛, 쓴맛, 짠맛, 매운맛의 다섯가지 맛이 섞여 있다는 의미에서 유래
옻나무 쓰임새 옻칠를 하는데 쓴데서 유래
왕버들, 왕자귀나무, 왕머루 등 나무모양 나무모양이 웅장하고 크다는 뜻으로 왕이란 접두어가 붇었다.
용(龍)버들 나무모양 가지가 꼬불꼬불하여 용이 용트림을 하는 모양과 흡사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
용가시나무 가시의 특징 가시가 용의 발톱같다하여 붙여짐
우묵사스레피나무 가시의 특징 잎끝이 우묵하게 들어갔다 하여 이름이 붙여짐
위성류(渭城柳) 나무모양 중국의 위성에 많이 심었고 모양이 버드나무처럼 늘어진다하여 붙여짐
유도화(柳桃花, 협죽도) 꽃모양 나무모양은 버드나무와 비슷하나 복사나무를 닮은 꽃이 핀다하여 붙여진 이름
유동( 油桐) 열매의 특징 기름을 짜는 열매가 달리고 오동나무와 비슷하게 생겼다는 데서 유래
윤노리나무 쓰임새 윷을 만들기에 적합하여 이를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붙여짐
은단풍(銀丹楓) 잎의 특징 잎 뒷면이 은빛인 단풍나무라는 의미로 붙여짐
은백양(銀白楊) 수피의 형태 은빛 백양나무라는 뜻에서 유래
은행(銀杏)나무 열매의 특징 열매가 살구모양인데 은빛이라는 뜻에서 유래
음(엄嚴)나무 가시의 특징 가시모양이 엄하게 생겼다는 데서 유래
이팝나무 꽃모양 꽃이 만개할 때는 흰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마치 쌀밥을 고봉으로 담아 놓은것 같은 모양인데 조선시대 쌀밥을 먹기 위하여 이씨의 밥을 먹어야 한다는 뜻에서 이밥나무가 변하여 이팝나무가 되었다.
인동(忍冬)덩굴 생태 및 기타 반상록으로 겨울도 참고 잘 견디다는 뜻에서 유래
자귀나무 잎의 특징 밤에는 복엽으로 붙은 잎이 서로 닫히는 모양이 잠자는데 귀신같다하여 잠자는 귀신이라는 의미에서 유래
자작나무 생태 및 기타 수피를 태울때 "자작자작"하는 소리가 난다고 하여 붙여짐
작살나무 쓰임새 고기잡이 도구인 작살의 용도로 쓰여진다 하여 붙여짐
장구밥나무 열매의 특징 열매가 전통악기인 장구모양을 하고 있다고 하여 붙여짐
정향(丁香)나무 냄새 및 맛 꽃향기를 약제로 쓴다는 데서 유래
조각자나무 가시의 특징 줄기에 큰 가시가 발달하여 붙여진 이름
조릿대 쓰임새 조리를 만들어 사용하는데 이용되어 붙여짐
조팝나무 꽃모양 잔잔하게 핀 흰꽃이 조밥을 연상시킨다하여 조밥나무에서 조팝나무가 되었다.
족제비싸리 열매의 특징 열매가 모여 족제비꼬리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하여 붙여짐
졸참나무 잎의 특징 참나무 종류 중에서 잎이 가장 작다는 의미에서 유래
좀깨잎나무 잎의 특징 잎이 작은 깻잎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하여 붙여짐
좀사방오리 잎의 특징 사방오리보다 잎이 작고 잎맥수가 많은데서 유래
주목(朱木) 수피의 형태 나무의 껍질이 붉은 색을 띤다 하여 붉은 뜻의 한자를 붙여 주목(朱木)이 됨
주엽나무 열매의 특징 주염 열매가 달리다하여 주엽나무라 한다.
줄딸기 나무모양 자라는 모양이 줄줄이 이어 자란다 하여 붙여진 이름
중대가리나무 열매의 특징 열매가 둥글고 반질반질하여 스님의 머리를 닮았다고 직설적으로 표현한 데서 유래
쥐똥나무 열매의 특징 열매가 쥐똥 같이 생겼다하여 지어진 이름으로 북한에서는 검정알나무라 부른다.
쪽동백나무 열매의 특징 열매에서 머리기름을 짜내는 동백나무에 비하여 열매가 작다는 뜻에서 유래
찔레나무 가시의 특징 가지에 난 가시에 잘 찔린다 하여 붙여진 이름
참꽃나무겨우살이 꽃모양 참꽃나무 비슷한 꽃이 달리나 상록으로 겨울을 난다고 하여 붙여짐
참빗살나무 쓰임새 참빗을 만드는 용도로 쓰여진다 하여 붙여짐
참중(眞僧)나무 한자어에서 유래 진짜 중이란 의미의 참중(眞僧)나무
천선과(天仙果)나무 열매의 특징 신선의 과일이라는 뜻에서 유래
철쭉 한자어에서 유래 척촉이란 한자어가 변한 철쭉
층층나무 나무모양 나뭇가지가 서로 돌려나기를 하며 거의 직각으로 퍼져서 층층을 이룬다하여 붙여진 이름
칠엽수(七葉樹) 잎의 특징 잎이 7갈래로 갈라져서 잎이 7장이라는 뜻
키버들, 고리버들 쓰임새 키나 고리괘짝을 만들어 사용하는데 이용됨
태산목(泰山木) 잎의 특징 잎의 크기가 다른 나무보다 훨씬 크다는 의미에서 유래
튤립나무 꽃모양 꽃의 모양이 튤립꽃과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
팔손이 잎의 특징 잎이 갈라지는 모양이 손가락 8개달린 손바닥 같다하여 붙여짐
팥꽃나무 꽃모양 팥꽃과 비슷한 꽃이 핀다고 하여 붙여짐
팽나무 생태 및 기타 열매를 팽총의 탄환으로 사용할 때 날아가는 소리가 팽~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
피(皮)나무 쓰임새 나무의 껍질을 벗겨 삿자리 등으로 이용하여 붙여짐
함박꽃나무 꽃모양 함박꽃 모양의 꽃이 핀다는 뜻
해송(海松) 생태 및 기타 바닷가에서 자라는 소나무라는 뜻
향나무 냄새 및 맛 나무에서 향기가 난다하여 붙여짐
호도(胡桃)나무 한자어에서 유래 오랑캐나라에서 들어온 복숭아처럼 생긴 열매라는 뜻에서 유래
호랑가시나무 가시의 특징 잎의 가장자리가 단단한 침으로 변하여 호랑이가 등이 가려울대 등긁기로 쓴다는 데서 유래
호랑버들 잎의 특징 겨울눈의 모양이 호랑이 눈을 닮았다하여 붙여짐
호자(虎刺)나무 가시의 특징 가시가 굵고 튼튼하여 호랑이 발톱 같다하여 붙여짐
혹느릅나무 수피의 특징 수피에 코르크가 굵은 혹처럼 발달하였다하여 붙여짐
화살나무 수피의 특징 줄기에 활살 날개모양의 코르크질의 날개가 달려 있다하여 붙여짐
황벽(黃蘗)나무 수피의 특징 내수피가 짙은 황색을 나타내는 나무라 하여 붙여짐
황칠나무 쓰임새 황금빛을 낼수 있어 황칠를 하는데 쓰였다는데서 유래
회화나무(회나무) 한자어에서 유래 괴화(槐花)는 회화나무의 중국이름인데 '괴'의 중국발음이 '회'이므로 회화나무 혹은 회나무가 되었다 한다
'22[sr]들꽃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비고깔 / 큰제비고깔 (220903) 비교 (0) | 2023.07.26 |
---|---|
유럽 단풍이 노랗기만 한 이유 (0) | 2019.11.11 |
반얀나무 (0) | 2019.03.02 |
[스크랩] 야생화 비교사진 시리즈(진달래1) (0) | 2019.01.18 |
[스크랩] 둥근바위솔 (0) | 2018.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