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법무부 장관은 검찰총장의 수족을 자르고 야당은 그런 장관을 직권남용으로 고발했다.
대검 선임연구관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기소를 막은 직속상관에게 “당신이 검사냐”고 항의하고
서울중앙지검장은 검찰총장의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 기소 지시를 수차례 거부했다.
여당은 공수처법에 이어 형사소송법과 검찰청법 개정안을 마저 통과시켰고
야당은 다가오는 총선 공약으로 공수처법 폐지를 걸었다.
서초동 촛불집회는 올해도 열렸고 3·1절에는 보수교회를 중심으로 광화문집회 총동원령이 내려졌다.
정권 내부 갈등과 여야 정쟁에 국민들의 정치 혐오가 깊어지고 있다.
총선이 코앞이지만 가까운 사이라도 정치 얘기는 금물이다.
공약(公約)이 공약(空約)이 되고 공복이어야 할 국회의원이 상전 노릇한 지 오래다.
그래도 선거 때가 되면 없던 관심도 생기고 배신당할 기대도 또 다시 하곤 했다.
하지만 올해는 다른 것 같다. 깊어진 정치 혐오가 선거 열기도 식히고 있다.
제왕적 대통령제 아래서도 행정부가 균열을 보이고
국회가 운영 중인데도 여야를 대신한 군중이 거리에서 맞붙고 있다.
이쯤 되면 선거는 무용하고 정치는 해악이다.
자유한국당에 책임이 없지는 않으나 더 큰 책임은 더불어민주당에 있다.
촛불정권을 자임하면서도 국민의 열망보다 정권의 이해에 골몰하기 때문이다.
권력의 사유화에 대한 분노로 집권했으면서도
대통령이 진 ‘마음의 빚’은 국민보다 퇴임한 장관에게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민주당의 이 같은 처신은 처음부터 예견돼 있었는지 모른다.
지난 촛불집회의 성과를 국민 스스로 포기했기 때문이다.
누적인원 1700만명이 거둔 결실을 고스란히 대통령선거에 갖다 바쳤다.
2016년 10월29일 시작된 집회는 2017년 4월29일의 23차까지 이어졌다.
5월9일 치러진 19대 대통령선거를 열흘 앞둔 날이었다.
주최 측은 “우리가 대통령선거 날짜 앞당기자고 촛불 들었냐?”며
‘장미대선 No! 촛불대선 YES!’를 외쳤다.
하지만 촛불의 여망을 선거에 담는 순간 모든 것은 문재인 후보를 위해 깔아놓은 주단 길에 다름없었다.
지금 여당은 4·15 총선 승리가 촛불혁명의 완성이라고 외치지만 민주당은 촛불의 주역이 아니었다.
1987년 6월항쟁에서 야당인 통일민주당은 항쟁지도부인 국민운동본부에 참여해 대정부협상을 주도했다.
그러나 2016년 말 민주당의 역할은 다른 야당들과 함께
촛불시민들의 요구를 사후적으로 수용해 탄핵안을 가결시키는 데 그쳤다.
더욱이 그 과정에서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청와대에 단독 영수회담을 제의해 논란이 됐고,
우상호 원내대표는 탄핵 사유에서 ‘세월호 7시간’을 빼야 탄핵 가결표를 던지겠다는
당시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들과 협상에 나섰다.
2016년 겨울, 국민들은 유사 이래 처음으로 정치권력에 대해 상전 노릇을 할 수 있었다.
1960년 4월혁명과 1987년 6월항쟁 때도 국민의 힘으로 독재정권을 물러나게는 했다.
그러나 야당까지 포함한 정치권력 전체가 국민의 요구에 굴복한 일은 그때가 처음이었다.
촛불시민들은 정당을 포함해 일체의 권위를 부정하고 자신의 행동과 스스로의 힘만을 믿었다.
그러나 지금 상황은 역전됐다. 정당과 정치권력이 다시 상전이 됐다.
많은 사람들의 열정이 정권 유지에 동원되고 있다. 더 많은 사람들의 희망이 한줌의 권력과 맞바꿔지고 있다.
우려는 촛불집회 당시에도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죽 쒀서 개 줄까’ 염려했다. 하지만 우려는 현실이 됐다.
선거 외에는, 야당을 여당으로 바꾸는 것 말고는 기대와 희망을 담을 다른 그릇을 찾아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변화에 대한 기대가 ‘2017 촛불권리선언’으로 이어졌지만 결과는 다르지 않았다.
재벌개혁은 물 건너갔고 노동여건은 더 악화될 조짐이다.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 ‘노동존중’ 구호가 ‘재벌존중’으로 바뀌는 시간이 너무 짧았다”며
“이명박, 박근혜 정권 때보다 더 싸우기 힘들다”고 주장했다.
이제는 끊어버려야 한다.
이제는 선거에만 매달리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 더 이상 정당과 정치인이 국민을 농락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선거 과정의 달콤한 공약이 선거 뒤에 배신으로 돌아오는 일을 막아야 한다.
하지만 그 배신에는 국민도 책임이 있다. 최선이 아니라 차악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최악을 피하고자 계속해서 차악에 표를 줬기 때문이다. 국민들은 그렇게 정당에 길들여져 갔다.
이번에는 거꾸로 해보자. 국민이 정당을 길들여보자.
정당과 정치인들에게 알려주자. 국민이 볼모가 아니라는 것을, 유권자도 배신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자.
선거가 끝난 뒤에도 국민의 눈치를 살피는 정당을 만들자.
그래서 제안한다. ‘민주당만 빼고’ 투표하자.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1282028005&code=990308#csidx16c8667420578cda1c3a0c6f1a70e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