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3m에 300㎏… 中 거대 유인원은 왜 멸종했나
“환경 변화 적응 못 해 먹이 다양성 감소”
지금으로부터 200여만 년 전, 현생 인류의 조상이 지구상에 출현한 시점보다 훨씬 과거인 그때 중국 남부에는 거대한 몸집의 유인원이 살았다. 키는 3m에 육박했으며 몸무게는 최대 300㎏ 정도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우리는 그들을 ‘기간토피테쿠스 블라키’(Gigantopithecus blacki)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기간토피테쿠스 블라키의 멸종 시기는 정확히 추정할 수 없다. 그러나 인류 조상이 중국에 도착하기 전 이미 사라진 상태였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그렇다면 이토록 큰 몸집에 힘도 셌던 이들이 멸종하게 된 이유는 뭘까. 호주와 중국 등 국제 연구팀이 그 비밀을 밝히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호주 매쿼리대 키라 웨스트어웨이 교수와 중국과학원(CAS) 척추동물 고생물학·고인류학 연구소 장잉치 교수 등 연구팀은 11일(현지시각) 과학저널 ‘네이처’(Nature)를 통해 “기간토피테쿠스 블라키가 멸종한 시기는 29만5000년에서 21만5000년 전 사이”라며 “이유는 급격한 생태계 변화로 먹이를 구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중국 남부 지역 동굴 22곳에서 기간토피테쿠스 블라키의 화석과 토양 그리고 꽃가루 등을 수집해 연대 측정과 분석을 거쳤다. 이어 기간토피테쿠스 블라키가 살던 시대와 멸종 전후 환경을 재구성했다. 또 기간토피테쿠스 블라키와 가장 가까운 영장류인 ‘퐁고 웨이덴레이치’(Pongo Weidenreichi)의 이빨을 분석해 멸종 시기의 식습관이나 행동 변화를 파악했다.
그 결과 230만 년 전 중국 남부는 울창한 숲과 수풀이 모자이크처럼 얽힌 모습이었다. 계절적 변동이 크지 않은 먹이와 풍부한 물을 누리며 살았던 기간토피테쿠스 블라키가 머물기에는 매우 이상적인 조건이다. 그러나 서서히 기후 계절성이 커지면서 식물 군집이 변했고 개방된 초원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 기간토피테쿠스 블라키와 퐁고 웨이덴레이치의 이빨 화석을 비교하자 환경 변화 적응에 대한 차이가 뚜렷했다. 기간토피테쿠스 블라키는 먹이 다양성이 감소하고 규칙적인 물 섭취도 줄었다. 그로 인한 만성 스트레스 증가 징후도 보였다. 반면 퐁고 웨이덴레이치는 먹이 변화에 잘 적응해 스트레스가 훨씬 적었다.
연구팀은 이 결과가 다른 유사 영장류가 살아남은 곳에서 왜 기간토피테쿠스 블라키만 생존해지 못했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여준다고 말했다. 웨스트어웨이 교수는 “여섯 번째 대멸종의 위협이 다가오는 지금 종의 멸종 원인을 밝혀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이는 영장류의 회복력과 다른 대형 동물의 운명을 이해하는 좋은 출발점”이라고 했다.
'20[sr]인류진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00년 된 미라서 나온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치즈 (5) | 2024.09.27 |
---|---|
5만 2000년 전 털매머드 염색체 복원…멸종 동물 복원에 도움 (2) | 2024.07.15 |
고고학에서 노벨상이 나오다...데니소바의 '구석기 동굴' 이야기 [배기동의 고고학 기행] (1) | 2023.12.24 |
90만 년 전 인류, 1280명만 남아 멸종위기 맞았다 (0) | 2023.09.01 |
“우린 모두 아담의 후손” 이 통념이 뒤집혔다 (0) | 202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