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별꽃 석죽과(石竹科 Caryophyllaceae)에 속하는 2년생 또는 다년생초.
밭이나 들의 다소 습한 곳에 자란다. 줄기는 밑부분이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다가 끝이 곧추선다. 잎은 마주나는데 잎밑이 심장 모양인 잎이 줄기를 감싼다. 5~6월에 흰 꽃이 취산(聚繖)꽃차례로 원줄기 끝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도 2개씩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과 꽃잎은 5장이지만 꽃잎이 많이 갈라져 마치 10장의 꽃잎을 가지는 것처럼 보인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대는 5개로 갈라지며, 열매는 삭과(蒴果)로 익는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거나 가축의 먹이로 쓴다. 정혈효과가 있다고 하며, 한방에서는 생초를 위장약으로 사용한다. 번식은 씨로 한다. 잎은 대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긴 엽병이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고 심장저의 잎이 줄기를 둘러싸며 길이 1~6cm, 폭 0.8~3cm로서 예두이고 털이 없으며 표면의 엽맥이 쑥 들어간다. 과실은 삭과로서 난형이며 꽃받침보다 길고 5개로 갈라진 끝이 다시 2개씩 갈라진다. 종자는 타원형이고 길이 0.8mm정도로서 약간 편평하며 겉에 유두상의 돌기가 있다.
5~6월에 잎이 달려 있는 가지 끝의 취산화서에 백색 꽃이 달리고 엽액에는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15mm로서 꽃받침과 더불어 선모(腺毛)가 있고 꽃이 핀 다음 밑으로 굽는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좁은 난형이고 둔두이다. 꽃잎은 5개이나 기부까지 깊게 갈라지므로 10개인 것같이 보이고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며 난상 원형이고 자방 끝에 5개의 암술대가 있으며 자방은 난원형이다. 높이 20-50cm이며 밑부분이 옆으로 자라고 윗부분이 어느정도 곧추서며 줄기에 1개의 실같은 관속이 있고 윗부분에는 선모가 약간 있다.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땅에 떨어진 별, 쇠별꽃 강우근의 들꽃이야기- 쇠별꽃
서울 같은 대도시에 살면서 별 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시커먼 공해가 하늘을 뒤덮어 별을 가려 버린 데다 높은 건물들이 하늘을 다 잘라먹어 버렸다. 한밤중에도 꺼질 줄 모르는 도시 불빛은 조각난 작은 하늘에서조차 별 보기를 힘들게 만든다. 게다 바쁜 도시 생활은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별 볼 짬을 주지 않는다. 별을 보며 한 해 농사를 점치던 농사꾼과 달리 도시 사람들한테 별 보기란 아무 의미 없는 짓이 되고 말았다. 정말 별 볼 일 없는 것이다. 하기는 요즘 별을 보면서 농사일을 점치는 농사꾼도 드물다.
그래도 서울에서 별을 볼 수 있다. 학교 운동장처럼 넓은 데 가서 보면 맨눈으로도 꽤 많은 별이 보인다. 특히 겨울에는 별 보기가 좋다. 건조한 겨울은 맑은 날이 많고, 겨울 밤하늘엔 밝은 별이 다른 계절보다 많기 때문이다. 겨울에 볼 수 있는 별 가운데 '좀생이별'이라는 게 있다. 작은 별이 촘촘히 모여 있는 별 무리가 좀스럽게 보여 붙여진 이름이다. 집안에 굴러다니는 쌍안경을 카메라 다리에 붙여서 보면 '플레이야데스 성단'이라는 이 별의 아름다운 모습을 또렷이 볼 수 있다.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푸른빛을 내는 이 별 무리는 정말 하늘에 뿌려진 꽃 같다.
땅에 뿌려진 별 같은 꽃이 있다. 그래서 이름도 '별꽃'이다. 별꽃이라는 이름이 붙은 풀 가운데 개별꽃은 산에 가야 볼 수 있는 야생화에 속한다. 쇠별꽃은 별꽃과 함께 길가나 밭에서 무더기로 자라는 흔해빠진 잡초다. 하늘 위 별이야 도시에서 쉽게 볼 수 없지만 땅에 핀 별꽃이나 쇠별꽃은 도시 어디서나 흔하게 볼 수 있다. 쇠별꽃은 '두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이어서 사철 내내 아무 때나 볼 수 있는 풀이다.
겨울을 나는 풀들은 대부분 색깔이 검다. 냉이나 뽀리뱅이는 거무칙칙한 땅 색깔이랑 거의 같아서 눈을 크게 떠야 찾을 수 있다. 쇠별꽃은 한겨울에 더 선명한 초록색을 띤다. 눈 쌓인 한겨울에도 낙엽이나 마른 풀을 헤쳐 보면 싱싱한 초록빛 쇠별꽃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실처럼 가는 줄기에 긴 잎자루를 달고 있는 겨울 쇠별꽃 모습은 봄이 되면 많이 바뀐다. 줄기는 굵어져 붉은 색을 띠고 잎은 더 커지고 색도 짙어진다. 봄에 자라는 잎에는 잎자루가 없고 잎이 줄기를 감싸듯 바로 붙어 나온다.
쇠별꽃은 별꽃보다 잎도 더 크고 꽃도 더 크다. 동식물을 나타내는 명사 앞에 붙는 '쇠'자는 '작다'는 뜻으로 쓰인다는데 쇠별꽃의 경우는 오히려 그 반대다. 왜 그렇게 바뀌어 불리게 되었는지 알 길이 없다. 잎이 더 큰 쇠별꽃은 잎이 작아 뜯기가 번거로운 별꽃보다 나물로 먹기에 좋다. 쇠별꽃은 사철 아무 때나 뜯어서 나물로 먹을 수 있는데 쓴맛이 없어서 날 것으로 그냥 먹어도 좋다.
봄이 되면 쇠별꽃은 서로 다투듯 꽃을 피워낸다. 하늘 위 별들이 간직한 신화처럼 쇠별꽃은 신비롭게 꽃을 피운다. 하지만 쇠별꽃이 가진 신비로움도 그걸 '별'로 볼 수 있는 사람들 눈에나 그렇게 보일 뿐이다. 대개는 밥풀떼기만한 꽃을 다닥다닥 달고 있는 흔한 잡초쯤으로 여겨 버린다. 사람살이도 마찬가지다. TV에서 화려한 조명을 받으며 나오는 인기 연예인이나 '별'로 보이지, 함께 살아가는 이웃이나 동지들이 '별'로 보일 리 없다. 하지만 함께 의지하며 살아가는 이웃이 없다면 세상살이는 얼마나 더 팍팍해질까? 함께 손잡고 싸우는 동지가 없다면 희망은 더욱 멀어질 것이다. 흔한 잡초를 땅에 뿌려진 '별'로 보듯 동지들을 그런 눈으로 바라보았으면 좋겠다
|
'22[sr]들꽃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벼룩이자리 (0) | 2009.06.30 |
---|---|
[스크랩] 점나도나물 (0) | 2009.06.30 |
[스크랩] 염주괴불주머니 (0) | 2009.06.30 |
[스크랩] 자주괴불주머니 (0) | 2009.06.30 |
[스크랩] 괭이밥 (0) | 2009.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