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4.02.12 05:30 | 수정 : 2014.02.12 05:53
1. 사라진 흉노, 훈제국으로 부활해 유럽 중심부 강타
파미르 고원을 중심으로 한 중앙아시아지역을 투르키스탄이라 한다. 이는 튀르크인의 땅이란 뜻이며 동·서로 나누어진다. 몽골고원에서 최초의 스텝제국을 건설한 기마군단 흉노는 동투르키스탄을 정복하고 기원전 1세기부터 실크로드를 장악해 강대국이 되었다. 한나라와 쟁패하던 흉노는 그러나 몇차례 내분으로 약화되면서 실크로드의 지배권을 중국에 빼앗기고 동·서 흉노로 분열된다. 그 후 ‘질지’가 이끄는 서흉노는 몽골 지역으로부터 서투르키스탄 지역으로 이동했다. 아랄해와 발하쉬 북부초원까지 진군했던 서흉노는 그러나 BC 36년 질지가 한나라의 진탕에 잡혀죽자 갑자기 역사기록에서 사라졌다. 그로부터 약 4백년이 지난 4세기말(370~375경) 흉노의 후예들이 이번에는 로마인들 앞에 그 모습을 드러냈다.
아랄해 북부 초원에 거주하던 흉노 후예들은 374년경 발라미르의 지휘 하에 유럽을 향하여 파죽지세로 진격했다. 할아버지의 할아버지 세대인 그 옛날 조상들과 매우 흡사한 방식, 즉 말·나무안장·등자·복합곡궁·삼각철화살 등으로 중무장한 기마군단의 모습으로 유럽인들의 눈앞에 나타났다. 그들의 놀라운 기동성과 뛰어난 기마전술은 당시 유럽인들에게는 ‘신의 징벌’이라 할 정도로 공포의 대상이었다. 그들은 볼가강과 돈강을 건너 알란인을 격파하고, 동고트를 붕괴시켰으며, 드네프르를 건너 서고트를 패퇴시켰다. 쫓긴 고트족은 훈족을 피해 다뉴브를 건너 로마영토로 들어가 마침내 서로마를 파멸에 이르게 하는데, 이것이 ‘게르만민족 대이동’의 시작이다. 그래서인지 당시 역사가들은 훈족에 대한 기록을 무엇보다 극도의 공포와 증오로 생생하게 가득 채웠다. 6세기에 건설된 베니스는 훈족의 침입에 놀란 피난민들이 말을 막기위해 물위에 건설한 수상 도시다.
이후 400년경 다시 발라미르의 아들 울딘이 동유럽 평원으로 공격해 들어가자 놀란 고트족이 헝가리, 이탈리아 반도로 이동하면서 거대한 민족이동을 촉발시켰다. 434년 아틸라가 훈족의 지배권을 확립한 후 그 세력은 더욱 막강해져 동로마 테오도시우스 황제는 훈족과 굴욕적인 평화조약을 체결하지 않을 수 없었고, 서로마제국도 아틸라의 영향권 안에 들게 되었다. 436년 2만의 부르군드군이 아틸라군에 전멸당한 전쟁이 영웅서사시 ‘니벨룽겐의 노래’의 주제다. 그만큼 훈족은 유럽에 강한 인상을 남겼다.
아틸라는 441년 동로마제국에 전쟁을 선포하고 다뉴브강을 건너 주요 도시를 초토화하고 448년 동로마제국을 복속시켰다. 451년에는 라인강을 건너 갈리아를 공격하여 메츠를 점령하고 오를레앙을 포위하는 등 공포의 진군을 계속했다. 452년 이탈리아로 쳐들어가자 서로마황제는 도주하고 로마대주교 레오는 화해를 간곡히 요청해 서로마의 복속으로 보고 본거지 판노니아(헝가리)로 돌아왔다. 이듬해 453년 유럽사를 바꾸는 사건이 일어났다. 아틸라가 게르만 제후의 딸 일디코와 결혼한 첫날밤 죽었다. 의문의 사망이었다. 아틸라가 죽자 훈제국은 분열을 일으켜 454년 판노니아 전투에서 패배하고 러시아 초원으로 후퇴했다. 468년 훈은 전력을 가다듬어 동로마를 공격하지만 실패하고 잔존세력은 흑해 북부로 밀려나 세력을 잃게 된다.
파미르 고원을 중심으로 한 중앙아시아지역을 투르키스탄이라 한다. 이는 튀르크인의 땅이란 뜻이며 동·서로 나누어진다. 몽골고원에서 최초의 스텝제국을 건설한 기마군단 흉노는 동투르키스탄을 정복하고 기원전 1세기부터 실크로드를 장악해 강대국이 되었다. 한나라와 쟁패하던 흉노는 그러나 몇차례 내분으로 약화되면서 실크로드의 지배권을 중국에 빼앗기고 동·서 흉노로 분열된다. 그 후 ‘질지’가 이끄는 서흉노는 몽골 지역으로부터 서투르키스탄 지역으로 이동했다. 아랄해와 발하쉬 북부초원까지 진군했던 서흉노는 그러나 BC 36년 질지가 한나라의 진탕에 잡혀죽자 갑자기 역사기록에서 사라졌다. 그로부터 약 4백년이 지난 4세기말(370~375경) 흉노의 후예들이 이번에는 로마인들 앞에 그 모습을 드러냈다.
아랄해 북부 초원에 거주하던 흉노 후예들은 374년경 발라미르의 지휘 하에 유럽을 향하여 파죽지세로 진격했다. 할아버지의 할아버지 세대인 그 옛날 조상들과 매우 흡사한 방식, 즉 말·나무안장·등자·복합곡궁·삼각철화살 등으로 중무장한 기마군단의 모습으로 유럽인들의 눈앞에 나타났다. 그들의 놀라운 기동성과 뛰어난 기마전술은 당시 유럽인들에게는 ‘신의 징벌’이라 할 정도로 공포의 대상이었다. 그들은 볼가강과 돈강을 건너 알란인을 격파하고, 동고트를 붕괴시켰으며, 드네프르를 건너 서고트를 패퇴시켰다. 쫓긴 고트족은 훈족을 피해 다뉴브를 건너 로마영토로 들어가 마침내 서로마를 파멸에 이르게 하는데, 이것이 ‘게르만민족 대이동’의 시작이다. 그래서인지 당시 역사가들은 훈족에 대한 기록을 무엇보다 극도의 공포와 증오로 생생하게 가득 채웠다. 6세기에 건설된 베니스는 훈족의 침입에 놀란 피난민들이 말을 막기위해 물위에 건설한 수상 도시다.
이후 400년경 다시 발라미르의 아들 울딘이 동유럽 평원으로 공격해 들어가자 놀란 고트족이 헝가리, 이탈리아 반도로 이동하면서 거대한 민족이동을 촉발시켰다. 434년 아틸라가 훈족의 지배권을 확립한 후 그 세력은 더욱 막강해져 동로마 테오도시우스 황제는 훈족과 굴욕적인 평화조약을 체결하지 않을 수 없었고, 서로마제국도 아틸라의 영향권 안에 들게 되었다. 436년 2만의 부르군드군이 아틸라군에 전멸당한 전쟁이 영웅서사시 ‘니벨룽겐의 노래’의 주제다. 그만큼 훈족은 유럽에 강한 인상을 남겼다.
아틸라는 441년 동로마제국에 전쟁을 선포하고 다뉴브강을 건너 주요 도시를 초토화하고 448년 동로마제국을 복속시켰다. 451년에는 라인강을 건너 갈리아를 공격하여 메츠를 점령하고 오를레앙을 포위하는 등 공포의 진군을 계속했다. 452년 이탈리아로 쳐들어가자 서로마황제는 도주하고 로마대주교 레오는 화해를 간곡히 요청해 서로마의 복속으로 보고 본거지 판노니아(헝가리)로 돌아왔다. 이듬해 453년 유럽사를 바꾸는 사건이 일어났다. 아틸라가 게르만 제후의 딸 일디코와 결혼한 첫날밤 죽었다. 의문의 사망이었다. 아틸라가 죽자 훈제국은 분열을 일으켜 454년 판노니아 전투에서 패배하고 러시아 초원으로 후퇴했다. 468년 훈은 전력을 가다듬어 동로마를 공격하지만 실패하고 잔존세력은 흑해 북부로 밀려나 세력을 잃게 된다.
- 아틸라의 최대판도(434~453년)
2. 훈제국 흥망성쇠의 열쇠는?
훈제국은 면적이 370만㎢를 넘는 유럽최강 국가였으나 아틸라 사후 급격히 혼란에 빠지고 분열하면서 불과 십수년만에 붕괴하면서 역사에서 사라졌다.
① 먼저 훈제국의 세계사적 위치를 살펴보자.
유럽인들에게 훈족은 혜성과 같이 세계사에 등장하여 질풍노도를 일으키다 바람같이 사라져버린 흉폭한 야만세력으로 여겨지고 있다. 훈족은 기록을 남기지 않았고 침략 당한 쪽에서만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훈제국은 어느 날 갑자기 아무런 배경 없이 역사무대에 등장한 신기루와 같은 국가는 결코 아니다. 그들은 흉노의 후예(다른 학설도 있음)로 무장·편제·전술 등에서 몽골초원 기마군단의 형태를 그대로 이어 받았다. 놀라운 기동력과 가공할 전투력은 과거 스키타이, 흉노에 비해 절대 떨어지지 않았다. 그들은 유럽 중심부에서 전쟁을 벌인 최초의 아시아 기마유목군단으로, 그들의 유럽 침입은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과 이에 따른 유럽사의 대변혁을 초래하는 등 세계사에 엄청난 큰 영향을 미쳤다.
몽골 교과서는 흉노제국을 세운 흉노인들이 유럽에서 아틸라의 훈제국(AD 434~453)을 세워 드네프르강에서 다뉴브강까지의 광활한 영토를 차지하였으며, 비잔틴 제국으로부터 공납을 받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아틸라는 나아가 서로마제국이 멸망하는데 영향을 끼쳐 수많은 국가가 로마제국에서 해방되어 독립국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했다고 한다.
② 그러면 훈제국의 급격한 성장배경은 무엇인가.
아랄초원에서 유목생활을 하던 흉노 잔존세력은 발라미르·아틸라로 이어지는 걸출한 지도자를 만난다. 초원제국의 역사를 보면 흉노(두만·묵특), 돌궐(부민카간), 선비(단석괴), 유연(사륜카간), 거란(야율아보기), 몽골(징기스칸), 티무르제국(티무르), 청(누르하치) 등에서 보듯이 뛰어난 지도자가 나타날 때 거대제국을 건설했다. 아틸라는 검소하면서 공정한데다 담대함과 지략에서도 뛰어나 기마군단 최고 지도자의 하나로 꼽힌다. 다음, 훈제국은 스스로의 강점을 최대한 발휘․활용했다. 유목민 기마군단으로부터 이어받은 기동성과 전투력·전술을 통해 단시간 내에 최강의 군사력을 갖추었다. 여기에 포용력도 한 몫을 했다. 훈제국은 훈족이 중심이었으나 우랄·라인강 사이의 사르마트·알란·오스트로고트·게피대 등 여러 민족도 유연하게 통합하여 세력을 급속히 키울 수 있었다.
훈제국은 면적이 370만㎢를 넘는 유럽최강 국가였으나 아틸라 사후 급격히 혼란에 빠지고 분열하면서 불과 십수년만에 붕괴하면서 역사에서 사라졌다.
① 먼저 훈제국의 세계사적 위치를 살펴보자.
유럽인들에게 훈족은 혜성과 같이 세계사에 등장하여 질풍노도를 일으키다 바람같이 사라져버린 흉폭한 야만세력으로 여겨지고 있다. 훈족은 기록을 남기지 않았고 침략 당한 쪽에서만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훈제국은 어느 날 갑자기 아무런 배경 없이 역사무대에 등장한 신기루와 같은 국가는 결코 아니다. 그들은 흉노의 후예(다른 학설도 있음)로 무장·편제·전술 등에서 몽골초원 기마군단의 형태를 그대로 이어 받았다. 놀라운 기동력과 가공할 전투력은 과거 스키타이, 흉노에 비해 절대 떨어지지 않았다. 그들은 유럽 중심부에서 전쟁을 벌인 최초의 아시아 기마유목군단으로, 그들의 유럽 침입은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과 이에 따른 유럽사의 대변혁을 초래하는 등 세계사에 엄청난 큰 영향을 미쳤다.
몽골 교과서는 흉노제국을 세운 흉노인들이 유럽에서 아틸라의 훈제국(AD 434~453)을 세워 드네프르강에서 다뉴브강까지의 광활한 영토를 차지하였으며, 비잔틴 제국으로부터 공납을 받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아틸라는 나아가 서로마제국이 멸망하는데 영향을 끼쳐 수많은 국가가 로마제국에서 해방되어 독립국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했다고 한다.
② 그러면 훈제국의 급격한 성장배경은 무엇인가.
아랄초원에서 유목생활을 하던 흉노 잔존세력은 발라미르·아틸라로 이어지는 걸출한 지도자를 만난다. 초원제국의 역사를 보면 흉노(두만·묵특), 돌궐(부민카간), 선비(단석괴), 유연(사륜카간), 거란(야율아보기), 몽골(징기스칸), 티무르제국(티무르), 청(누르하치) 등에서 보듯이 뛰어난 지도자가 나타날 때 거대제국을 건설했다. 아틸라는 검소하면서 공정한데다 담대함과 지략에서도 뛰어나 기마군단 최고 지도자의 하나로 꼽힌다. 다음, 훈제국은 스스로의 강점을 최대한 발휘․활용했다. 유목민 기마군단으로부터 이어받은 기동성과 전투력·전술을 통해 단시간 내에 최강의 군사력을 갖추었다. 여기에 포용력도 한 몫을 했다. 훈제국은 훈족이 중심이었으나 우랄·라인강 사이의 사르마트·알란·오스트로고트·게피대 등 여러 민족도 유연하게 통합하여 세력을 급속히 키울 수 있었다.
- 기마인물형토기, 국보 제9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