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여행과산행길

마른 영장산길(무명곡)

이름없는풀뿌리 2016. 11. 25. 12:20
마른 영장산길 (1)지금(야탑->하탑13:00) 그동안 마라톤과 산행으로 얻었던 보람이 요근래 게으름으로 얻어진 것은 불어난 몸이다. 앞으로 나아가는 시간은 피의 흐름을 더디게 하고 맑은 정신을 혼탁하게 한다. 이렇게 시간의 흐름에 맡길 순 없다. 그래! 영장산이 있지 아니한가? (2)하탑(13:10) 자전거로 하탑에 도착하여 몸을 풀고 단풍의 끝자락 응원을 받으며 마른 잎새의 장막으로 들어선다. 겨울 가뭄에 오솔길엔 먼지가 풀 풀 나고 산행 시작부터 아랫도리와 등산화는 온통 흙먼지 투성이다. 처음엔 종지봉, 다음엔 매지봉이었고 오늘 드디어 영장산이다. (3)하탑->종지봉(227m, +1.65km, +45=13:45) 지난번 매지봉 가던 때보다 나무 잎새는 확연이 줄어들고 이 나라 산야에 어느덧 토종 소나무를 제치고 제1수종으로 자리한 참나무의 마른 잎새의 터널길이다. (4)종지봉->매지봉(280m, +0.70=2.35km, +15=14:00) 그저 스쳐 지나는 종지봉엔 오늘은 인적이 없다. 예전에 그랬던 것처럼 무념무상이다. 매지봉 산불감시탑에 다다르니 문득 지난번 만나 정담을 나누었던 감시원을 다시 만나 볼까하다가 그냥 지나친다. (5)매지봉->영장산(413.5m, +1.85=4.2km, +35=14:35) 매지봉을 지나니 바람과 풍압으로 다듬어진 고인돌 같은 바위들이 군데군데 자리하여 샤마니즘의 자태를 지녔다. 처음 대하는 영장산(靈長山)은 이 근처의 중심산인듯 율동저수지며, 지나온 종지봉능선, 태재고개6.2km능선이 가늠되고 갈마치고개, 이배재5.9km능선을 따라가니 검단산과 남한산성으로 이어지는 마루금이 나목의 가지 사이로 이어지며 어서 오라고 손짓하는 것 같다. 하지만 오늘은 여기까지이다. (6)영장산->하탑(413.5m, +4.2=8.4km, +35=14:35) 잠시 정상에서 휴식 후 되돌아가는 길에는 뉘엿뉘엿 넘어가는 오후의 약해진 햇살에 꽉 들어찬 나무의 그림자가 길게 드리워져있다. 오늘 왕복 8.4km 산행이었으니 남한산성까지 17km의 절반길을 연습한 셈이다. 이제 태재고개길, 남한산성길 까지도 자신 있게 갈 수 있을 것 같다. 배달9213/개천5914/단기4349/서기2016/11/23 이름 없는 풀뿌리 라강하 덧붙임) 1. 온통 마른 잎새의 장막 터널 2. 적막한 종지봉 3. 멀리 매지봉이 손짓하고...... 4. 매지봉 정상의 산불 감시탑 5. 샤마니즘의 기도처같은 근사한 바위群 6. 멀리 영장산(맹산 주봉)이 보이고...... 7. 꿋꿋이 자리를 지키는 조선소나무 群 8. 하지만 대부분 참나무들이 점령하고...... 9. 영장산정 아래 돌탑 10. 그래도 정상엔 소나무가 터잡고...... 11. 영장산정 12. 하산자락의 단풍 끝물 13. 마지막의 정열 14. 댕댕이덩굴도 겨울 속으로 들어가려는 듯...... 15. 무얼 잘못알고 있는거지? 철쭉, 그리고 박주가리 영장산(靈長山) 영장산( 靈長山)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과 태평동 사이에 위치하는 작은 산인데 남쪽으로 이어지면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과 중탑동 사이의 매지봉(梅址峰)(277m)이라 부르는 큰매지봉과 작은매지봉(274.5m) 그 리고 성남시와 광주시의 경계를 이루는 맹산(孟山)(413.5m)과 함께 몇갈래 산세를 이루고 있다. 작은 영장산의 주봉은 높이 193.6m의 봉우리로, 남한산성이 위치하는 청량산이 서남쪽으로 뻗어내린 줄기에 위치하는 구릉지 모양의 산이다. 율동공원의 큰 영장산은 큰매지봉과 작은매지봉을 거늘이고 있는 형세로 분당지역 중심의 산세를 형성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각종 고지도에서는 분당지역과 광주시 경계 일대의 산지에 해당하는 맹산과 매지봉을 영장산(靈長山)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 산지는 분당의 중앙공원에 있는 뒷매산으로 이어지는데, 뒷매산을 영장산으로 부르기도 하는 것으로 봐서 영장산 산자락였다는 얘기이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산지들을 합하여 영장산으로 분류한다. 높이는 원래 193.6m이지만 맹산의 높이로 413.5m로 통일한다. 이곳 큰매지봉과 작은매지봉 사이의 골짜기에는 새마을 지도자 중앙연수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 골짜기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율동의 분당저수지로 이어져 탄천으로 합류하는 분당천을 만든다. 영장산의 동쪽으로는 남한산성 도립공원이 위치하는 청량산과 남한산으로 이어지고, 서쪽과 남쪽의 사면으로는 성남의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산 중턱에는 망경암이 자리하고 있으며 서남쪽의 기슭에는 대한불교조계종의 말사(末寺)인 봉국사(奉國寺)가 위치하고 있다. 작은 절이지만 조계종의 직할 교구로 고려 현종 19년(1028) 때 창건됐다. 이 산봉우리 명칭의 유래에는 옛날 잘 훈련된 매를 이용하여 이 산 정상에서 매사냥을 한 것에서 매지봉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다른 전설에는 천지가 개벽할 때 세상이 모두 물에 잠겼는데 이 산봉우리에 매 한 마리가 앉을 수 있을 만큼 공간이 남았으므로 매지봉이라 부른다고도 전해진다. 영장산은 최근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원래는 ‘매지봉’이나 ‘맹산’이라고 불렀다. 맹산(孟山)은 조선시대 세종이 명재상인 맹사성에게 이 산을 하사해 불리게 된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산아래 직동(곧은골)에는 맹사성의 묘와 맹사성이 타고 다녔다는 흑소의 무덤인 흑기총이 있다 분당 율동공원에 모여 맹산이라 불리는 영장산(해발 413.5m) 산행으로 들어간다. 원래 불곡산과 붙어 있었지만 도로가 관통하는 바람에 떨어졌다. 분당에서 광주로 넘어서는 태재고개 4차선 도로를 건너면 곧바로 영장산 등산로다. 불곡산과 맞닿았지만 산행은 다소 힘든다. 굴곡이 심한데다 벼랑 중턱에 겨우 만든 등산로가 위험해 보인다. 한 줄로 산행을 시작해야 한다. 능선까지만 다다르면 완만해진다. 정상까지는 2시간30분가량이 소요된다. 망덕산 경계까지는 9.5㎞로 3시간30분가량이 소요된다. 그러나 얕잡아 보는 것은 금물이다. 영장산만의 성깔을 보여주는 곳이 있다. 정상 700m를 남겨 놓고 30여분 정도의 가파른 오르막 코스가 등산 맛을 제대로 느끼게 한다. 정상 남쪽 등산로에 목계단이 설치됐지만 오르기가 쉽지 않다. 반대편 북쪽에는 난간을 잡지 않고는 하행이 어렵다. 영장산 역시 숲이 울창해 등산로 대부분이 그늘로 덮여 있다. 무더운 날씨엔 더위를 식혀준다. 소나무와 참나무 등이 주종이다. 중간 중간에 인위적으로 심은 리기다 소나무 군락이 있다. 쭉쭉 뻗은 모습이 시원해 보인다. 참나무 군락이 많은 편이지만 시드름병에 시달려 시가 치료하느라 죽은 참나무를 벌목해 쌓아 놓은 곳이 눈에 많이 띈다. 숲이 울창하고 생태계 보존이 잘돼 있어 반딧불이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매년 성남시와 성남환경연합 등 시민단체가 맹산반딧불이자연학교와 반딧불이 축제를 개최한다. 맑은 공기 덕에 곤충과 벌레들이 많아 산행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진달래와 산철쭉이 등산로마다 지천이다. 영장산은 이배재고개를 지나 망덕산과 검단산으로 연결돼 남한산성까지 능선이 이어진다. 닭도리탕과 산성두부를 맛보려면 3시간가량 더 가야 한다. 영장산 서남쪽 기슭 야탑동 공원묘지 쪽으로 내려오면 봉국사다. 조계종의 직할 교구로 고려 현종 19년(1028) 때 창건됐다. 이어 성남시가 조성한 아파트형 공단이 눈에 들어오고 야탑동 아파트단지와 먹자골목이다. 도심 속 산이라 하행길에 도토리묵과 막걸리집이 없다는 것이 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