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북부여행 – 1) 序言 -(1_1) 둘째 얘
둘째 얘가 졸업하자 마자 취업하여
첫 봉급을 받았다며 “베트남 북부여행” 3박 5일 티켓을 선물하였다.
요즘 취직이 어려워 소위 “취준생”들이 넘쳐나는 세상에서
취업한 것만으로도 부모에 이미 큰 선물을 한 것인데
효도 관광까지 시켜주니 헛키우지는 않았다는 생각이 든다.
더구나 얘가 간절히 원하던 회사였기에
우리 내외도 여러모로 전폭적인 지원을 하였지만
항상 막내 취급만 하던 아이가
드디어 험난한 사회생활에
발을 디딘다고 생각하니 안쓰럽기까지 하다.
하지만 언젠가는 험한 바다로 스스로
나아가야 함이 인간의 숙명이라면
일찍 결정하여 원하는 바다에 나아가는 그 얘에게
지금 부모로서 해줄 수 있는 것은
가정의 화평을 이루고 건강과 행복,
그리고 그 아이에 대한 전폭적인 믿음이란 사실이고
오로지 스스로 바다에서 거친 파도와 싸워 나아가는 것은
본인 스스로의 판단과 의지임을 알기에
출근하는 아이의 옷을 다려주고 그 뒷모습을 대견스레 바라본다.
(1_2) 베트남과 대한민국
해외여행을 눈요기와 휴양 정도로 허비하지 않기 위해
항상 그랬던 것처럼 이참에 베트남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였다.
베트남 역사를 공부하면서 놀란 점은
우리의 역사와 여러모로 닮아 있다는 점이었다.
1) 우리는 위서(魏書)의 與高同時(여고동시)에서 근원한
BC2,333년을 단기로 한 단군조선을 한민족 최초 국가로 보는데
베트남의 삼국사기격인 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에 의하면
BC2,919 홍방왕조가 시작되었다고 하며
사실여부를 떠나 그 만큼 유구한 역사를 가졌다는 점이 비슷하다.
2) 우리에게 단군신화가 있듯이
베트남에는“훙 브엉” 건국신화가 있다
즉, 락롱꿘(바다의 신의 아들)과 어우꺼(산신의 딸)가 알 100개를 낳아
거기서 베트남 민족이 기원했다는 설화인데 거기서 느끼는 점은
우리는 天孫설화(북방민족)과 卵生설화(남방민족)가 공존하면서도
天孫설화를 주축으로 단일민족이라는 용광로로 승화하고 있는데 반하여
베트남은 해양민족의 특징인 卵生설화만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현재 54개 민족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이 좀 다를까?
3) 5,000여년의 역사 내내 일관되게 지나(중국)등
외세와의 투쟁의 흐름이 있고 결국 민족의 정체성을 지켜내고 있다는 점이다.
단 우리는 어떠한 경우에도 지나의 직접적인 지배기간은 별로 없었는데
베트남은 1,000여년이란 오랜기간 지나의 직접적인 지배기간이 있었고
그 오랜기간에도 중화에 동화되지 않고 결국 지나를 몰아냈지만
그 뒤에 나타난 왕조들은 마치 우리의 고려 말 무신정권처럼
몇 십 년을 버티지 못하고 숱한 왕조 교체기간이 있었다는 사실은
엄청난 외부와 내부의 격동기간을 겪었다는 점이 좀 다를까?
4) 그러한 지나와의 항쟁과정에서
자연스레 유교문화를 받아들여 통치방식에 이용하여
베트남인들의 사고방식이 지극히 유교적이면서도
정작 민중에 고착된 종교는 불교라는 점도 유사하다 할 것이다.
5) 우리에게 왜적을 물리친 이순신이 있다면
베트남에는 몽골을 물리친 “쩐홍다”라는 장군이 있다는 점이다.
6) 인구는 대략9,500만으로
우리의 남북한 합한 규모로 보면 서로 비슷한 숫자일 것이다.
또한 국토는 한반도의 1.5배,
전국토의 3/4이 산지인 점등도 유사하다 할 것이다.
7) 그들도 “호 아저씨”라 불리는 호치민(胡志明)이란
걸출한 민족지도자에 의하여 통일되기 전까지는
역사의 전 기간이 분단의 상태였다는 점 또한 공통점일 것이만
우리는 아직 분단상태이고 통일이 요원해 보이니 이점은 좀 다르지만
베트남의 통일 사례를 보아서 희망의 메세지를 찾아야 할 것이다.
이상 우리와 비슷한 점을 살펴보았고
우리와 다른 점일 것이라 생각되는 점은
1) 우리는 공식적으로 단일민족인데 반하여
베트남은 지나와 마찬가지로 54개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이다.
(킨족 87% 주로 평야지대거주,
기타 50여개 소수민족 13% 800만 명 산악지형 거주,
화교는 약 90만명이라 함)
2) 우리는 앨빈 토플러가 언급한
세계 강대국이 되기 위한 조건의 하나인
4계절이 뚜렷한 38도선을 중심으로 한 북위도에 위치한 반면
베트남은 북위17도선을 중심으로 아열대에 위치하여
약간의 고산지대를 제외하고는 평생 눈(雪)보기가 소원일 정도로
기후가 대체적으로 후덥지근한 점이다.
3)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고 터득하기 쉽다하여
UN의 문맹퇴치상 이름이 “King of Sejong Prize”로 명칭될 정도로
자랑스런 고유의 문자인 “한글(訓民正音)”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현재 우리는 漢子와 倂用하고 있는데 반하여
베트남은 13세기 창안된
민족문자 “쯔놈”과 漢子를 1910년 완전 폐지하고
카톨릭 傳導를 위해 베트남에 온 로데신부등 예수회 사제들이
로마자 위에 특수한 부호를 넣어 만들었다는
80여 개의 자모(字母)로 구성한 베트남 문자인 “꾸옥 응”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는 점등이 다르다면 다를까?
(1_3) 베트남의 도시들과 지형
인구 750만의 정치 수도 하노이,
베트남 3위 항구도시 하이퐁이 위치한 북부지방
고대왕조 도시 후에,
중부의 대도시 다낭,
도시 전체가 세계 문화유산인 호이안,
맹호부대 주둔지 퀴논이 위치한 중부지방
해안 휴양지 나트랑,
리조트의 천국 판티엣,
인구 800만의 경제수도인 호치민(사이공),
호치민서 120km떨어진 한국군 휴양소가 있던 붕따우가 있는 남부지방
등의 수많은 도시 들이
수도 하노이에서 호치민까지 남북 약1,750km,
국토 최상단에서 하단에까지 약 2,000km라는 길고 긴 국토에
S자 모양의 3,200여km의 해안선을 따라 형성 되어 있단다.
한국에서 베트남 북부까지의
직선거리가 대략 2,700km로 파악되는데
베트남의 북부에서 남부까지의 직선거리가 1,700여km정도인 걸 보면
비행기로도 대략 2시간 반 거리라 추정되므로
얼마나 긴 나라인지 알겠다.
그렇게 긴 나라가 옛부터 어떻게 유지되어 왔고
역사성을 가지고 결국 통일에 이르게 되었는지
그 형성 과정이 어떠했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배달9214/개천5915/단기4350/서기2017/06/24 이름 없는 풀뿌리 라강하
덧붙임)
((( 아래 사진은 다른 분이 촬영한 것으로 가장 베트남적이고
베트남을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좋을 정도로 담아 내었다고 생각하여 발췌하여 여기 올립니다.)))
베트남 역사 일독하기1. 고대 베트남
바로 ‘훙 브엉’의 건국 신화입니다.
중국 양자강 이남에는 ‘백월’이라는 민족이 살고 있었다고 합니다.
백월민족인 ‘락 롱 꾸언’과 ‘어우 꺼’사이의 알에서 백 명의 아들이 나왔다고 해요.
그 중에서 훙 브엉(웅왕)이라는 사람이 ‘반 랑’이라는 고대 국가를 건설했답니다.
즉, ‘반 랑’은 한국의 ‘단군 조선’처럼,
베트남의 최초 역사 국가가 된답니다.
2. 남 비엣
‘남 비엣’이라는 말은 ‘남월’을 뜻하는데요
약간 익숙하시죠?
네, 바로 ‘월남’을 거꾸로 한 것이랍니다.
시대적 흐름으로 따라가면, 현재의 ‘월남’이 과거의 ‘남월’을 거꾸로 한 것되죠.
그 이야기는 베트남 근대 역사에 나옵니다.
남 비엣은 ‘찌에우 다’라는 사람이 건설햇습니다.
광동 지역에 파견된 중국인 관리였는데요,
진시황이 사망하고, 중국이 혼란에 빠졌을 때 독립하였답니다.
기원전 179년에는 베트남에 있었던 또 다른 고대 국가인 ‘어우 락’을 정복하고
스스로 황제라고 칭하면서 한과 대등한 국가임을 과시했죠.
하지만, 안타까운 역사의 시작과 함께
남 비엣은 멸망합니다.
기원전 111년 중국의 한나라가 공격을 하게 되고
남 비엣이 멸망함과 동시에, 베트남은 1000년간 중국의 지배를 받게 됩니다.
(남 비엣 왕궁 발굴현장)
3. 중국의 지배
이 시기는 어떻게 보면, 중국의 ‘주변국’처럼 보일 지 모르겠습니다.
기원전 40년엔 쯩 자매의 반란이 민족운동처럼 일어났지만,
중국의 지배는 끊이지 않습니다.
문화적으로는
중국의 지배자, 관리인 등 으로 인해
중귝 유학이 확산하고, 대승불교가 전래되기도 하죠.
오나라, 동진, 송나라, 제나라, 양나라, 진나라 등 중국의 왕조들이
지속적으로 베트남을 지배했고
수나라, 당나라 시대에는 도호부 체제로 전환했습니다.
당나라 때, 679년 안남도호부를 설치하기도 했죠
4. 단기 왕조들
중국의 1000년 지배를 종식한 왕조가
오래 이어졌을 법 하지만, 지속적인 베트남의 왕조는 쉽게 나오지 않았어요.
오랜 기간 중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통일된 왕조가 발전되기 어려웠겠지요?
10세기에 당이 멸망하고 5대 10국 시대가 시작됩니다.
후량 시대에는 중국 남부에서 지방세력들이 독립을 시도하기도 하죠.
917년, 남한은 베트남 지배를 도모하게 됩니다.
하지만!
‘응오 꾸엔’이라는 사람이 등장합니다.
홍강 유역을 토착 세력이었던 응오 꾸엔은 남한을 격퇴하고
베트남의 독립을 이룹니다.
939년 왕조를 건국했고
드디어! 1000년 중국의 지배 역사를 마무리합니다.
그럼에도, 왕조의 수명은 짧았습니다.
그 이후, ‘딘 왕조’, ‘레 왕조’가 이어졌지만
모두 50년이 채 가지 못했습니다.
어찌보면 베트남 최초의 독립왕조라 할 수 있는
오 왕조가 첫 시작을 끊었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건국된지 30년 남짓되었을 무렵,
중앙에서의 왕실의 내분을 틈타 성장한
지방호족 세력들은 각지에서 할거해 있었고
오 왕조는 이러한 지방호족들의 폭주를 제어하는데 실패하여
결국은 서기 965년, 12사군의 난이라는 사태로 이어지게 됩니다.
12사군의 난이란 965년부터 967년까지 약 2년여간의 기간에 걸쳐
각지의 12명의 유력 호족들이 난립하여 벌어진 전란기를 말하며
오 왕조를 몰락하게 만든 결정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말이 12명이지 말그대로 유력한 호족들 12명만 지칭해서
12사군의 난이지 당시 할거한 호족들이 수십명이라 보는 이도 있습니다.
이렇듯 상당히 혼란한 시기였기에
좀 과장되게 표현하자면 베트남 판 전국시대라 하겠습니다.
물론 이들 12명의 호족들에 대해서는 알 필요도 없고 별로 알고 싶지도 않으실텐데요,
다만 최종적으로 12사군의 난을 평정한
이가 정부령(丁部領)이란 사람이란 것만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5. 리 왕조
리 왕조는 베트남 역사에서 중요하게 등장합니다.
그럴 수 밖에 없는 이유
베트남 역사상 최초의 장기 왕조이기 때문입니다.
215년 동안, 9대 왕까지 등장합니다.
국호는 처음엔 다이 꼬 비엣이었지만, ‘다이 비엣’으로 바꿉니다.
수도는 현재의 하노이인 ‘탕 롱’이예요.
중국과의 외교에서는
리 왕조 지배자를 ‘왕’이라 칭하면서 중국에서 책봉을 받고 조공을 바치죠.
하지만 동남아시아의 다른 국가들에서는
‘황제’라 칭하면서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고 조공체제를 이루었답니다.
‘리 왕조’에는 3명의 중요한 왕이 있습니다.
태조인 ‘리 꽁 우언’은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고, 중국식 관료제도를 도입하죠
또한 사찰 건립을 통해 불교 중심 정책을 실현합니다.
3대 완인 ‘타인 똥’ 또한 중요한 왕입니다.
문묘 건설, 국자 설치, 과거제 도입 등으로 유교이념 전파에 출발자라고 볼 수 있어요
하지만 아직까지는 불교가 사회를 이끄는 지배적 이념입니다.
조정에는 국사가 있었고요, 황실이 지원하는 불교 사원도 있었죠.
(리 왕조의 탕롱성)
5-1. 참파
‘참파’라는 국가는 현재 지도에서 찾아 볼 수 없습니다.
베트남과 캄보디아 사이에서 중요한 역사적 상호작용을 보였지만
베트남에게 정복당했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베트남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말레이계 인종 중심이었던 참파는 인도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국가였습니다.
대승불교와 힌두교에 이어 이슬람교의 영향까지 받았죠
그럼 3가지 중요한 사건을 정리합니다.
12세기, 캄보디아의 수도인 ‘시엡립’을 정복합니다.
14세기, 참파의 전성기로 3번에 걸쳐 베트남 수도를 점령하고 왕까지 살해합니다.
15세기 후반, 레 왕조에 의해 참파의 수도인 ‘비자야’가 파괴되고 베트남에 굴복합니다.
참파를 정복한 레 왕조에 대한 이야기는 뒤에 나와요 :)
(참파를 포함하는 13세기말 지도)
6. 쩐 왕조
쩐 왕조 역시 오랜 시간 지속되었던 왕조입니다.
1225년부터 1400년까지로, 세계사적 시기로 보자면 중국의 원나라가 세워지는 때입니다.
쩐 층 다오라는 쩐 왕조의 장군은
당시 가장 막강한 세력이었던 원나라의 군대를 3차례에 걸쳐 막아냅니다.
14세기 초에는 참파를 공격해서
베트남 중부로 영토를 확장하게 되지만,
14세기 말에는 참파의 반격으로 인해
엄청난 피해를 겪습니다. 왕까지 살해되었으니 정말 위험한 상황이었죠.
13세기는 쩐 왕조가 내적인 발달을 이루는 시기입니다.
궁정 안에는 도교와 불교가 큰 영향력을 가졌지만,
유교 이념을 보급하고 실무 관료도 유교 지식인으로 선발합니다.
자연스럽게 과거제 시행이 강화되죠.
[대월사기]
또한 베트남 최초의 역사서가 편찬됩니다.
레 반 흐우에 의해 ‘대월사기’가 편찬되는데
건국 신화 이야기 이후인, ‘남 비엣’부터 ‘리 왕조’까지를 다뤄요.
또한 ‘쯔놈’이라는 국음문자가 출현하게 됩니다.
한문학의 발전으로 베트남어를 표기하는데 한문을 차용한 것이죠.
7. 호 씨 정권
호 씨 정권은 짧은 시기 동안 유지됩니다.
정권의 정통성이 문제가 되었기 때문이죠.
황실의 외척이었던 레 꾸이 리는 쩐 왕조를 정복하고
호 꾸이 리라고 성을 바꾸면서 ‘호 씨 정권’을 세우게 됩니다.
쯔놈을 문자로 채택하고 과거제를 발달시키죠.
이 시기에,
지방에서 이루어지는 향시,
중앙 수도에서 이루어지는 회시,
궁정 안에서 이루어지는 전시체계가 확립되어요.
또한 수도를 자신의 근거지인 ‘타인 호아’로 천도합니다.
또한 3차례 참파를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하죠.
(타인호아 성의 위치)
8. 명의 지배
호 꾸이 리의 쩐 왕조 찬탈은 명나라의 간섭 명분으로 작용합니다.
결국 1404년 명군은 20만 대군으로 베트남을 정복하죠.
명나라는 동화정책, 내지화 정책 등으로 메트남의 풍습을 금지하고
명의 풍습을 따르도록 강요합니다.
부주현을 설치하고 모든 부주현에 문묘와 학교를 세웠죠.
이는 성리학의 보급을 높이는 계기가 됩니다.
9. 레 왕조
레 왕조는 들어본 것 같지 않나요?
네, 앞서 단기 왕조에서 레 왕조가 있었답니다.
하지만 지금 나오는 레 왕조는 후기 레 왕조라고도 불리며
앞 선 레 왕조와는 크게 다릅니다.
우선 1428년부터 1788년까지 지속되는 장기 왕조입니다.
타인 호아의 토호 출신인 레 러이라는 사람이 건국했습니다.
명의 지배를 받던 1418년, 타인호아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10년 간의 항쟁을 끝에 명나라의 지배를 종결하고 새로운 왕조를 수립한 것이죠.
레 왕조는 장기지속되었던 왕조인 만큼
‘왕’의 권력이 컸던 시기입니다.
중앙집권적 지배체제를 통해
왕이 관료를 통해서 베트남 전역을 지배하는 방식이었죠.
과거 제도를 완성하고, 유교 이념을 지속적으로 확산시킵니다.
레 왕조에서 중요한 것은
또 다른 역사서가 씌여졌다는 것입니다.
[대월사기전서]
‘대월사기전서’는, 쩐 왕조의 ‘대월사기’에서 다루지 않았던
베트남의 건국 신화를 다룹니다.
참파에 대한 소개에서 언급했듯이
15세기 후반에는 참파의 수도를 참락하고
긴 세월 이어졌던 베트남과 참파간 군사 경쟁에 마침표를 찍습니다.
그렇게 오래오래 지속될 것만 같았던
강력한 왕조였던 레 왕조는 막 당 중의 왕위 찬탈로 끝나는 듯 했습니다.
10. 남북 항쟁 시대
1527년 막 당 중은 레 왕조를 찬탈하고 일시적으로 베트남을 지배합니다.
하지만 레 왕조의 부흥을 원하는 전국적 저항 운동이 일어났고,
타인 호아 출신인 응우옌 낌이라는 인물이 막 씨에 대항하죠.
이후 응우옌 낌의 사위인 ‘찐 끼엠’은 찐 정권을 세우고
막 씨 타도 운동을 지속적으로 펼칩니다.
1592년에는 찐 정권이 탕롱을 탈환하고, 레 왕조 부흥에 성공하는 듯 합니다.
하지만 명목상 레 왕조였으며, 일시적이었습니다.
200년간 남북 대립이 이어지기 때문이에요.
북부의 찐 정권과 남부의 응우옌 정권은 권력 쟁탈전에 들어갑니다.
10-1. 남부 응우옌 정권
여기서 하나 알고 넘어가야할 것이 있습니다.
‘호이안’이라는 도시입니다.
응우옌 정권의 대외 무역항으로 번성했던 이 해안도시는
중부 베트남의 대표 교역도시입니다.
중국인 거리와 일본인 거리가 형성되었고
포르투갈이 1540년까지 호이안을 중심으로 교역활동을 펼쳤어요.
스페인,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동남아시아 각 국가 등 많은 국가에서
호이안을 통해 교역을 이루었습니다.
(호이안)
10-2. 기독교 전파
이 시기는 또 하나가 더 등장합니다.
베트남에서의 ‘기독교’ 전파입니다.
16세기부터 유럽 선교사가 등장했고
17세기초 호이안에는 최초 교회가 설립됩니다.
[알렉산드르 드 로드]
신교에 대항하는 카톨릭 선교사 양성기구인 예수회 선교사 소속이었던
알렉산드르 드 로드는 17세기 초 기독표 전파에 큰 업적을 남기지만
베트남이 중시했던 제사 문제에서 갈등이 생기면서 영구추방됩니다.
[로데 신부]
또한 ‘로데 신부’를 알아야합니다.
로데 신부는 베트남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문자체계를 만들었습니다.
그 표기법이 현재 베트남 글자인 ‘꾸옥 응’입니다.
11. 떠이 썬 왕조
1788년부터 1802년까지 유지되었던 이 왕조의 시작은
1771년 중부에 위치한 떠이썬에서 일으킨 응우옌 삼형제의 반란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응우옌 삼형제는 떠이썬에서 세력을 키우고
남쪽의 응우옌 정권과
북쪽의 찐 정권을
차례로 정복하고, 남북항쟁시대에 마침표를 찍습니다.
1786년에는 탕롱을 점령하고, 남북분열 200년이 지나서야 재통일한 것입니다.
떠이썬 삼형제 중에서 가장 세력이 강한 사람은 막내였습니다.
1788년 12월에 황제 자리에 오르고 연호를 꽝 쭝이라고 정합니다.
꽝쭝 황제는 건국 초기부터 전쟁을 치릅니다.
신변의 위협을 느꼈던 레 왕조의 황제가 청나라의 구원 요청을 하게 고
건륭제는 20만 대군을 파견합니다.
하지만 꽝쭝 황제는 청나라 대군과 접전 끝에 승리를 거둡니다.
이 바탕에는 ‘민족의식’이 있었다고 하죠.
1789년 청 원정군을 궤멸하고 강력한 정권으로 자리 잡습니다.
그 후, 청나라와 외교관계를 재정립합니다.
(떠이썬 세력의 확장)
12. 쟈 딘 정권
그렇지만, 남북 항쟁의 혼란기가 모두 깔끔하게 정리된 것은 아니었어요.
1788년 꽝중 황제가 즉위한 해,
또 다른 작은 정권이 들어섰던 것입니다.
남북 분열 시기, 남쪽 응우옌 정권의 후손인
응우옌 푹 아인이 사이공 지역에 정권을 수립한 것입니다.
베트남 남쪽의 메콩강 하류 지역을 지배했죠.
쟈 딘이란 말은 남쪽을 의미한다고 해요.
이 정권이 자리잡을 시기에는,
응우옌 삼형제의 세력이 막강했기 때문에
응우옌 푹 아인은 현재의 태국인 ‘시암’에 원조를 요청합니다.
1784년 시암은 4만 해군에 군함 300척을 파견하죠.
1785년 응우옌 삼형제의 군대와 접전을 펼쳤지만, 시암군대는 대패합니다.
그리고 조력자로 찾은 국가가 ‘프랑스’입니다.
이 시기는 베트남의 근현대사에 굉장히 중요합니다.
베트남의 역사에서
‘종교’ 부분이 아닌 ‘정치’ 부분에, 더군다나 ‘주변국과의 세력다툼’에
‘프랑스’가 개입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삐에르 삐뇨 드 베엔느]
삐뇨 신부는 ‘프랑스’의 정치적 개입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가진 사람입니다.
프랑스인 선교자였던 삐뇨 신부는
기독교 포교의 자유를 약속받고 활동 중이었는데,
1777년 응우옌 푹 아인은 프랑스의 지원을 제안합니다.
삐뇨를 승낙했고, 루이 16세에게 지원 승인을 받습니다.
그런데 그 약속 이 후에, 루이 16세는
인도에 있던 프랑스군대를 베트남으로 보내지 않습니다.
결국, 삐뇨 신부는 인도에서 서양인 용병을 모집하고
무기와 함선을 구해 사이공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응우옌 삼형제의 떠이 썬 왕조를 정복합니다.
그리고 1802년 베트남 북부까지 정복하여,
베트남에서 유일한 통일 왕조로 살아남습니다.
외교 정책을 통해서 통일을 이룩했지만
‘프랑스’, 즉 서구 제국주의 세력의 도움을 받았다는 것은
베트남의 근현대사에 ‘프랑스’가 전면에 등장한다는 것과도 같은 것이 됩니다.
13. 응우옌 왕조
응우옌 푹 아인은 통일왕조를 세우고
청에게 국호는 ‘남 비엣’으로 할 것을 요청합니다.
하지만, 청나라는 과거 한나라와 전쟁을 펼쳤던 ‘남 비엣’을 기억하여
‘비엣 남’으로 할 것을 요구합니다.
이 ‘비엣 남’은 한문으로 ‘월남’이 되어 현재에 이르게 됩니다.
응우옌 왕조는 근현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시기도
왕조 유지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유교 이념을 지속적으로 확산하여 과거제도를 정착하고
적극적인 소수민족 동화정책을 펼치면서 남부 지역을 개발하죠.
하지만, 남부의 캄보디아 병합에 따른 재정 소모다 과도했고
소수민족 동화정책은 많은 반발을 초래하게 됩니다.
기독교 탄압으로 인한 반발도 생겼죠.
또한 지역감정 해소에도 난항을 겪습니다.
남부 출신의 왕조였기 때문이죠.
1802년부터 1945년까지 응우옌 왕조가 유지됩니다.
응우옌 정권의 이야기는
어떻게 ‘유지’되는지가 중요한 듯 보입니다.
1859년, 프랑스는 사이공을 정복합니다.
베트남의 독립국가 면모가 손상되는 순간이죠.
어찌되었든, 명목상 1945년까지는 유지되는 왕조입니다.
(사이공의 현재)
14. 근·현대사
[주권상실]
이 부분은 굉장히 많은 사건들이 있지만,
다소 장황할 수 있기 때문에 연도별로 짧게 정리해봤습니다.
1858년, 프랑스의 ‘다 낭 항구’ 포격, 하지만 강한 저항으로 실패.
1859년, 프랑스의 ‘사이공’(다 낭 항구보다 남쪽) 점령
1871년, 프랑스의 베트남 남부 정복
1883년, 프랑스의 베트남 중부, 북부 정복
1884-5년, 청불 전쟁에서 프랑스의 승리
1885년, 베트남 주권 상실, 프랑스의 지배
어떻게 프랑스가 베트남에서 권력을 차지하는 가는
한국에서 일본의 침략 과정처럼 베트남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리고 독립의 과정은 더욱 중요하죠.
한국과 마찬가지로 베트남에서의 이념갈등도 큰 주목을 받았어요.
민족주의 독립운동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판 보이 쩌우와 판 쭈 찐이 있었습니다.
민족주의 독립운동가들은 일본이나 중국에 지원을 요청했죠.
공산주의 독립운동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호찌민이 있었습니다.
1940년 태평양 전쟁시기에는 일본군이 베트남에 진주합니다.
1945년 일본은 패망하고 베트남에서 물러나죠.
그 이후로 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벌어지고
베트남은 북 베트남 민주공화국과 남 베트남 공화국으로 나뉩니다.
1964년부터 1973년까지 베트남 전쟁이 일어나죠.
그리고 1975년, 사회주의 세력의 승리로 전쟁은 끝이 납니다.
(베트남전쟁 기념공원)
1976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시대가 시작합니다.
1979년 캄보디아와 정치적인 문제로 전쟁이 일어나고 폴 포트 정권은 붕괴됩니다.
1979년 베트남 세력 확장에 견제하기 위해, 중국이 베트남을 공격합니다.
1986년, 도이모이 정책
‘도이모이’란 ‘쇄신’을 뜻하는 베트남어라고 합니다.
경제를 중심으로하는 개혁 정책인 도이모이 정책은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이었던 구엔 반 린이 내건 슬로건이라고입니다.
이 정책 이후,
외국자본의 유입이 활발해지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갔다고 합니다.
현재도 베트남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죠.
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
베트남의 삼국사기
약 200년에 걸친 제작기간을 거쳐 1675년 완성된 대월사기전서
옛날에 한번 '반랑왕국'을 다루면서
이 책에 관해서 한번 말한적이 있는데 이렇게 쓸줄은 몰랐네여.
뭐 사람들은 한문으로 된 책은 한,중,일에서만 편찬된줄 아는듯합니다.
사마천의 사기, 사대광의 자치통감, 김부식의 삼국사기,
후지와라노의 문덕천왕실록 이런책등이 대표적인 한문 역사서죠.
그런데 '대월사기전서'나 대월사기, 대남실록, 대월사략 같은 책 들어보셨나여?
아는 사람은 아시겠지만 생소한 사람들이 대부분일텐데 베트남의 역사서입니다.
대월이나 대남은 베트남을 뜻하고여.
우리에게 삼국사기랑 삼국유사가 없으면 안되듯이
베트남에도 고대사를 연구하는 아주 중요한 자료입니다.
베트남은 중국과 접해있어서 유교를 도입하고
중국식 지배체제를 가져와서 당연히 한자도 쓰고 있지요.
물론 지금은 베트남어를 쓰지만요.
베트남의 진(陳)왕조는 중국식 지배체제를 이용해
당시엔 베트남 역대로 가장 번성했던 왕조라고 볼수 있습니다.
진왕조는 역사서 편찬으로 베트남의 유구한 역사를 알리고
진왕조의 역사적 정당성을 입증하려 했습다.
1272년 2대황제 성종은 여문휴에게 역사서를 편찬할것을 명합니다.
아마 국가가 세워진지 얼마 안되니 진왕조의 정당성을 입증하려 한것이겠제여.
연구에 의하면 여문휴는 황명을 받고
진사 진주보가 1232년 편찬한 월지를 참고해 총 30권을 정리해 바쳤다합니다.
내용은 남월의 무제(BC207년)부터
이전왕조의 마지막황제인 이소황(1225)까지를 다루었다한다.
그리고 이름은 대월사기라 지으니.. 근데 대월사기는 지금 남아있지가 않다.
그러나 그것을 모본으로 한 대월사기전서가 남아있지요.
대월사기전서는 여문휴가 쓴 대월사기를 참고하여 1479년 완성된 베트남의 정사임다.
편찬을 주관한 이는 여왕조의 국사감수찬 '오사련'으로 성종의
황명을 받아 정사 편찬작업에 착수해 1479년 15권으로 지어 성종에게 바쳤습니다.
대월사기전서는 외기 5권 본기 9권 여태조기 1권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외기는 홍방왕조(BC258)부터 오권의 남한퇴치(938)까지 있으며
본기는 오왕조의 집권부터 진왕조의 멸망까지(1413) 적혀있으며
여태조기 1권은 1413년부터 여태조가 즉위하는 1428년까지 적혀있습니다.
대월사기전서 편찬 백년후 누군가에 의해 여태조로부터 여왕조의 마지막 황제인
공황제(~1527)까지의 100년간 기록이 대월사기전서에 삽입되었죠.
아마 17세기 전반정도에 누가 썼다고 하는데 그 누가 누군지 아직 모릅니다.
그리고 1665년 진씨와 완씨의 남북전쟁기를 추가시키고
당시 북부(진씨)의 실권을 잡고있었던 정작에 의해
1662년 후여왕조의 신종까지의 실록이 또 추가됐으며
그리고 마침내 후여왕조의 10대황제 희종(1676~1705)이
9대황제인 가종(~1675)까지의 역사를 또 추가해 완전한 대월사기전서를 만들어냈다.
대월사기전서가 참고했던 책들
대월사기 : 1272년 진 성종의 황명으로 여문휴가 편찬한 대월사기전서의 모태
월지 : 진주보가 1232년 편찬한 역사서이자 대월사기의 모태
월사략 : 대월사기보다 한세기 후에 만들어졌으며
오랫동안 존재가 알려지지 않다가 중국 청나라 건륭제때 편찬된
'사고전서'에 그 이름이 수록되고 나서 알려졌다.
베트남의 시초부터 이왕조 말까지 다루고 있다.
원래 이름은 대월사략이었으나 명나라에 의해 大가 사라진듯하다.
진조실록 : 13세기 중엽 역대 진왕조의 실록을 편찬한책
이 역시 대월사기전서 진왕조 부분의 모태
대월사기속편 : 진왕조 건국에서 명의 베트남 지배가 끝나는 1427년까지 다룬책
대월통감 : 여왕조 8대황제인 양익제때인 1511년 편찬되었으며 19세기 사라졌다.
본기실록 : 여왕조 태조부터 마지막황제 공제(1527)까지 적은 책으로
여왕조실록으로 추정된다. 언제 편찬했고 누가편찬했는지 아직 모른다.
베트남 건국 신화와 개략의 역사
베트남 민족의 어머니 '어우 꺼(Au Co)
호치민 시의 Tân Bình 군은 교민들에게 익숙한 군이다.
호치민에 도착하는 1차 관문인 호치민 떤선녓 공항이 있고,
1세대 교민타운이었던 "꽁화(Cong hoa)"지역이 있고,
지금도 많은 한인 식당 및 레크리에이션 공간이 있는 '탄롱(Thanh Long)" 및
슈퍼볼이 있는 곳이다.
이런 떤빈군과 서쪽의 떤푸군 및 11군과 경계선을 만드는 큰 도로가 바로 Au Co다.
어우꺼 대로의 기원을 알기 위해서는 베트남의 건국 신화를 알아야 한다.
베트남인은 턴농(Than Nong·神農·신농)의 자손인
3세손 제명(帝明)이 4세 손인 록뚝(Loc Tuc·祿續·제의)으로 하여금
낀 즈응 브엉(Kinh Duong Vuong)에 봉하여 남방을 다스리게 하였고,
그 이름을 씩뀌(Xich Quy)국이라 했다.
씩 뀌(Xich Quy)국은 현재의 중국 운남성에서부터 바다에 이르는 지역이다.
이 낀 즈응 브엉(Kinh Duong Vuong)은
용왕(Dong Dinh Quan)의 딸 턴롱(Than Long)과 결혼해
아들 숭람(Sung Lam)을 낳으니 이가 바로
락롱꿘(Lạc Long Quân, 雒龍君 용(龍)의 우두머리)이다.
락 롱 꿘은 씩뀌국을 다스려 백성들에게 농경을 가르치고,
음식을 만드는 법을 가르쳐 황금기를 맞이하였으나, 용궁으로 가버리고 말았다.
그 후 산신의 딸인 어우꺼가 결혼을 해서 어우꺼는 100개의 알을 낳았고,
후에 성격차이로 인해 둘은 이혼을 하게 되고,
그 알에서 태어난 100명의 자식 가운데
각각 50명의 자식들을 데리고, '어우꺼'는 산으로, '락롱꿘'은 해안 지역으로 가게 된다.
산으로 간 '어우 꺼'의 자손들은 형제 중에 가장 힘이 센 자를 왕으로 뽑아
훙브엉(Hung vuong)을 왕으로 삼고
베트남 역사상 최초의 국가인 반랑(Van Lang) 국을 세우게 된다.
그 지역이 지금의 북부 Phu Tho 성이라,
지금도 Phu tho 성에 가면 '훙브엉'사당을 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많은 베트남 부족들의 선조가 태어났는데,
이 중 어머니를 따라간 큰아들이 나라를 세우고 베트남의 역사가 시작되는데,
이것은 이후 베트남의 모계사회적 특성이 강한 것을 설명해 준다고 한다.
또 우리의 고조선과 비슷한 시기에 첫 국가가 건국되고,
기원전 11년에는 한나라에게 복속되었다.
938년에 독립을 이루지만 1406년에 다시 명나라에 복속되었다가
1428년, 레 러이와 응웬 짜이가 다시 명나라를 몰아내고 레 왕조를 세운 후,
베트남 왕조 중 가장 오랫동안 집권하면서 정부 체제를 개혁하고,
유교를 정비하는 등 베트남만의 전통 문화를 만들어 내고,
남부까지 영토를 확장하면서 베트남의 황금기를 열었다.
기원전 2919년 베트남 최초의 국가인 홍방 왕조가 세워졌으며
기원전 257년 툭판 왕조로의 교체가 일어났으나,
이어 중국 세력이 밀려 들어와 기원전 111년에는 한나라에게 복속되었다.
이로부터 10세기까지 간헐적인 독립 운동을 제외하고는
중국 세력의 통치가 지속되었다.
그러기에 베트남 사람들은 용의 후손이라고 한다.
바다에는 물고기의 정령이 있었는데,
길이가 50장(丈)이 넘고 발이 여러개이며 생김새는 지네같았다.
그 조화가 무한하여 신령하고 기이함을 헤아릴 수 없었다.
움직이면 물과 바람을 일으쳤으며 사람들을 손쉽게 잡아먹었으므로
몹시 두려워할만한 대상이였다.
상고시대에 물고기가 있었는데 그 모양이 사람과 흡사했다.
해안을 노닐다가 사람으로 탈바꿈하며 말이 통하게 되었다.
이들음 차츰 생장하면서 남녀의 수가 많아지자
물고기, 새우, 조개를 먹게 되었다.
또 단인이 있었는데 강 위에서 수상생활을 하며 물고기를 잡아먹고 살았다.
이들은 훗날 사람이 되어 만인과 소금, 쌀, 의상, 칼, 도끼 등을 교역하며
바다 사이를 왕래했다.
물고기 정령이 있는 바위는 이빨모양처럼 쭈뼛쭈 바닷가를 가로지르고 있었다.
바위 아래에는 큰 구멍이 있었는데 물고기정령은 그곳에서 살고 있었다.
그곳은 바람과 파도가 세차 배가 지나갈만한 곳이 아니였다.
그래서 사람들은 다른 곳에 뱃길을 내고자 했으나 단단한 바위를 뜷을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백성들의 배가 이곳을 지나가다 물고기 정령에게 해를 입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어느날 선인(仙人)들이 바위를 뜷고는 뱃길을 내어
그곳을 지나다니는 사람들을 이롭게 하고자 했다.
뱃길이 열리려 하자 물고기 정령은 백학(白鶴)으로 화하여 산 위에서 울어댔다.
뭇 선인들은 이 소리를 듣고 이미 새벽이 되었나 보다 하며
일하다 말고 하늘로 날아올았다. 지금 이곳을 선도항이라 부른다.
용군은 백성들이 해를 입는 것을 불쌍히 여겨
백성들의 배로 화한 다음 수부의 야차에게 분부해
해신에게 파도를 일으키지 못하게 했으며,
배를 몰아 물고기 정령이 사는 바위에 이르러
짐짓 사람 하나를 먹이로 던져주는 시늉을 했다.
그러자 물기고 정령은 입을 쩍 벌려 삼키려고 했다.
용군은 그때 실뻘겋게 달군 쇠뭉치를 그 입 속으로 던져 넣었다.
물고기 정령은 펄쩍펄쩍 뛰며 배에 부딪혔다.
용군은 그 꼬리를 베어버리고, 껍찔을 벗겨내어 산 위에 펼쳐놓았다.
지금 그곳을 백룡미라 부른다.
물고기 정령의 대가리는 바다 밖으로 흘러가더니 개로 변하여 달아났다.
이에 용군은 놀로써 바다를 메운 후 그걸 베어버렸다.
그러자 그것은 개 대가리로 변했다. 지금 그곳을 구두산한다.
물고기의 몽뚱이는 만구로 흘러갔다. 그래서 지금 거기를 만구수라고 부른다.
- 건국 신화
=> 바다신 Lac Long Quan과 산신 Au Co가 만나 100명의 아들 탄생
=> Au Co 여신의 직계후손인 Hung이 베트남 최초 부족국가인 반랑국을 건국
=> 최근 유물들에 의해서 흥 왕조가 풍 응웬(Phung Nguyen)이라는 문화 확인
- 고대국가 발생기 (BC690 - 111)
=> 기원전 690년 흥가가 최초의 국가인 반랑국을 건립하고
툭(Thuc)가의 어우락국(BC 257), 찌에우다 남비엣(BC 207)이 차례로 건국
=> 기원전 111년 한 무제가 남월을 정복함에 따라
중국에 병합되어 행정구역상 교주(Chiao Chau)로 명명
- 중국 복속시대 (제1차 중국지배) (BC111 - AD 972)
=> 베트남은 쯩 자매의 봉기 (AD 40-43),
리 남 데의 봉기 (AD 544 - 602) 등을 통해 중국에 줄기차게 저항
=> 938년 응오 꾸엔 이 바익당강 전투에서
중국 점령군에 대승하면서 972년 중국으로 부터 독립
=> 쯩 자매는 오늘날까지 민족운동의 선구자로서 베트남 사람들의 추앙 대상
- 전기 레(Le) 왕주 (980 - 1009)
=> 토착 세력 종장의 하나인 레 호안이 송의 칩입을 물리치고
980년 전기 레 왕조를 건국
=> 남쪽의 참파 왕국과 대결하여 다낭 북쪽까지 진출
- 리(Ly) 왕조 (1009 - 1225)
=> 레 호안 사망후 리 꽁 우언이 관리와 승려들의 지지를 받아 왕위에 오름
- 전 왕주 (1225 - 1400)
=> 쩐 흥 다오 장군이 세 차례 몽고칩입을 격파.
쩐 왕조는 계속적인 남진정책을 추진, 참파 왕국 공격
=> 난을 일으켜 무너드리고 들어선 호씨정권 (1400 - 1407)은 명나라에 의해 멸망.
20여년 간 명나라가 베트남을 지배 (제2차 중국지배)
- 후기 레(Le) 왕조 (1427 - 1789)
=> 레 러이가 응웬 자이 장군의 도움을 받아 명의 군대를 격퇴하고 새 왕조 창건
- 남북 분립기: 찡 - 응웬가의 대결
=> 레 왕조 말기에 북부에서는 징가가 레 왕조를 받들고,
중남부에서는 응웬가가 권력을 잡고 서로 주도권 쟁탈
=> 1770년대 초반 중부 지역에서 응엔 삼형제가
응웬가의 통치에 반기를 들고 떠이 선 농민반란 궐기
- 응웬 왕조 (1802 - 1859)
=> 프랑스 선교사의 도움으로 살아남은 응웬 푹 아인은
의병군 및 플아스 용병과 함게 떠이선 세력을 격파. 1802년 응웬 왕조 수립
=> 현재의 베트남 영토는 이때 확보. 사이공 등 남부 출신들이 중심이 되어 왕조를 수립
=> 중국 청 왕조에게 조공을 바치고 왕위를 인정 받음.
왕조 수립에 공을 세운 프랑스 상인들에게 여러가지 이권을 제공
=> 2대 황제인 민망제는 반란의 배후로 외국인들을 의심하여
프랑스와 자국인 성직자를 박해하여 프랑스의 군사 개입을 초래
=> 프랑스는 중국 내륙의 풍부한 자원을 선점하기 위한 통로로
베트남을 이용하기 위해 무력을 앞세워 베트남을 식민지화
=> 응웬 왕조는 프랑스 식민 하에서도 마지막 황제 Bao Dai가 퇴위한 1945년까지 존속
- 프랑스 식민시대 (1859 - 1954)
=> 1859: 프랑스군 사이공 점령
=> 1883: 프랑스와 아르망 조약 체결 (프랑스 보호국 전락)
=> 1887: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성립 (라오스, 크메르 포함)
=> 1927: 서구의 민주주의 사상을 줌심으로 베트남 국민당 결성.
성급한 무력봉기 시도로 지도자들 처형.
=> 1930: 베트남 공산당 결성
=> 1940: 일본군의 베트남 진주
=> 1945: 일본군의 항복
=> 1945.9.2: 호치민의 독립선언 (임시 베트남 민주 공화국)
=> 1945.9: 연합군 베트남 진주
=> 1945-1954.7: 항불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전쟁).
1954.5. Dien Bien Phu 전투에서 프랑스 항복
=> 1950: 베트남 민주 공화국 성립 (동구권 국가들이 승인)
- 대미 항쟁시대 (Ad 1954 - 1973)
=> 1954: 제네바 협정 (프랑스군 철수. 17'로 남북분단)
=> 1955: 남부에 미국지원 베트남 성립
=> 1960: 민족해방전선(NLf, 속칭 베트콩) 결성
=> 1965: 미국의 전쟁개입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 1973.1: 파리 평화협정 체결. 미군 철수 개시
- 통일된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 시대 (1973 - 현재)
=> 1975.04.30: 베트남 공산화
=> 1976.04.26: 남북통일 총선거 실시
=> 1976.07.02: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
=> 1977: UN 가입
=> 1978.10: 캄보디아 침공
=> 1979.02: 중국-베트남 국경전쟁
=> 1989.09: 캄보디아 철군완료
=> 1991: 중국과 국교 정상화
=> 1992: 한국과 수교
=> 1995: 미국과 수교
=> 1995: ASEAN 가입
=> 1998: APEC 가입
=> 2002.12: 미국-베트남 무역협정 발효
=> 2007.01: WTO 가입
베트남이라는 이름
베트남(Việt Nam)이라는 이름은 남비엣(越南; 월남)에서 온 말로
2세기 찌우(Triệu)왕조부터 불려진 이름이다.
비엣이라는 말은 고대에 현재 중국 남부에 해당되는 지역에
살던 사람들을 지칭했던 박비엣(Bách Việt)이라는 말의 줄임말이다.
현재 의미의 베트남(Việt Nam)이라는 말은
16세기 시인 응웬 빈 킴(Nguyễn Bỉnh Khiêm)의 글에서 나타난다.
중국 지배시에 베트남은 7세기부터 안남이라고 불려졌다.
민족주의자이고 작가인 판 보이 쩌우(Phan Bội Châu)가
이 이름을 20세기 초에 베트남으로 바꿨다.
1945년 공산주의자들과 반공산주의자들이 각각 정부를 세웠을 때
두 쪽 다 베트남이라는 이름을 국호로 사용했었다.
영어에서는 베트남을 Vietnam의 한 단어로 사용하지만
실제로는 2개 글자로 비엣 남(Viet Nam)이 맞는 말이고
(말 그대로 越南이라는 한자어) 베트남 정부 및 UN에서도 두 개를 사용한다.
역사를 통해 베트남을 지칭하는 많은 이름들이 있었다.
공식적인 명칭 이외에도 베트남 지역을 일컫는 비공식 이름들이 존재했다.
흥붕(Hùng Vương)왕조 때에는 베트남은 반랑(Văn Lang)국이라고 불렀고,
안등(An Dương)이 왕인 시절에는 어우락(Âu Lạc)국이라고,
찌우(Triệu) 왕조 때에는 남비엣(Nam Việt),
리(Lý)왕조 시절에는 반쑤안(Van Xuan),
딘(Đinh)왕조 및 초기 레(Lê)왕조 시절에는 다이 꼬 비엣(Đại Cồ Việt)이라고 불렸었다.
1054년부터 베트남은 다이 비엣(Đại Việt, 大越)이라고 불렸었고,
호(Hồ)왕조 시절에는 다이누(Đại Ngu)라고 불렸었다.
베트남이라는 말의 기원
비엣(Việt, 유에, 유왓, 월)이라는 말은 고대 중국에서 기원한다.
처음에는 기원전 1200년경
상왕조 후기에 도끼를 뜻하는 상형문자인 "戉"로 처음 쓰여졌고,
이후 우리가 아는 "越"자가 되었다.
이 시기에 이 글자는 상나라의 북서쪽에 사는 종족을 가리키는 글자였다.
기원전 8세기초 양자강 중부에 살던 종족을 ‘양규에’라고 불렀는데,
이 말은 이 후 더 남부에 사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
기원전 7세기에서 4세기 동안 유에/비엣/越 이라는 말이
양자강 유역 남부 유에 지방에 사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말이 된다.
기원전 3세기부터는 중국 남부 및
남서부와 북부 베트남에 거주하는 비중국계 사람들 중에
특히 민유에(민월 閩越), 오유에, 루오유에 (베트남어: 락비엣Lạc Việt) 등의
사람들을 뭉뚱그려서 바이유에/박비엣 (Bách Việt, 百越)이라고 불렀다.
이 바이유에/박비엣이라는 단어는
기원전 239년 간행된 여씨춘추(呂氏春秋)에 처음으로 언급된다.
기원전 207년, 이전 진나라의 장군이었던 조타(趙佗, 자오뚜오, 찌우다Triệu Đà)가
남비엣(Nam Việt, 南越, 난유에)를 세우고
수도를 현재 광조우인 당시 판유에 만든다.
나라 이름에 ‘南’이 들어간 이유는
다른 바이유에 왕국 즉 현재 복건성과 절강성에
각각 해당하는 민유에, 오유에의 남쪽에 위치했기 때문이다.
오유에, 난유에 등과 같은 지역이 중국에 통합이 되고 나서도
이후 여러 베트남 왕조들은 이 이름을 계속 사용한다.
Sấm Trạng Trình (짱찐의 에언)에서
시인인 응웬 빈 키엠(Nguyen Binh Khiêm, 1491–1585)은
중국식에서 베트남 전통식으로 어순을 바꿈으로서
(베트남어는 형용사가 명사 뒤에 온다)
‘베트남’이라는 말이 만들어졌다.
이 시기 베트남은 하노이의 찐(Trịnh)왕조와
후에의 응웬(Nguyễn)왕조로 나뉘어 있었다.
키엠은 당시 베트남의 여러 이름들 즉,
남비엣(南越), 안남(安南), 다이비엣(大越), 남꿕(南國)
등을 통합하여 통일 국가의 이름을 만든 것이다.
이를 통해 남(南)이라는 단어는 더 이상 월국의 남부를 말하지 않고
북쪽의 중국과 나른 남쪽의 베트남을 지칭하게 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리 퉁 키엣(Lý Thường Kiệt)의 시
남꿕송하(Nam quốc sơn hà, 南國山河, 1077년)에서
“남부의 산과 강은 남쪽 황제의 것.
남북이 나뉜 것은 신의 책에 기록되었고,
너는 어떠한 이유에서도 이 땅을 침범하지 못하고,
이곳에서는 그대의 패배만이 있다” 이라는 표현에서 잘 나타난다.
학자인 응웬 푹 지악 하이(Nguyễn Phúc Giác Hải)에 의하면
하이퐁의 바오람(Bảo Lâm)탑을 비롯한
16-17세기 유물에 비엣남(Việt Nam)이라는 단어가 12개 발견되었다.
응웬 푹 추(Nguyễn Phúc Chu, 1675–1725)는 시에서
‘Việt Nam hiểm ải thử sơn điên’
즉 ‘이것은 베트남에서 가장 위험한 산’이라는 표현으로 베트남을 언급했다.
이 후 지아 롱 황제(Gia Long, 1804-1813)가 최초로 공식 국호로 사용했다.
사실 지아롱 왕은 청나라에 남비엣이라는 국호를 사용하기를 요청했는데
청나라 황제는 이를 허락하지 않고 베트남으로 고쳐서 보냈다고 한다.
‘베트남’이라는 말은 근대에 와서 민족주의자들이 다시 많이 사용하는데
판 보이 쩌우(Phan Bội Châu)는
‘Việt Nam vong quốc sử’ (잃어버린 베트남 역사)를 1906년에 출판하고,
베트남광복회(Việt Nam Quang Phục Hội)를 1912년에 창설한다.
그러니 일반 대중들은 계속 안남(Annam)이라는 국호를 계속 사용했고
베트남이라는 말은 거의 알지 못했다.
그러다가 1930년 베트남국민당(Việt Nam Quốc Dân Đảng)이 주도한
옌바이(Yên Bái) 봉기를 통해 베트남이라는 이름이 널리 알려진다.
1940년대 초가 되면 베트남이라는 말이 널리 사용되게 된다.
1941년 창설된 호치민의
베트남독립동민회(Việt Nam Độc Lập Đồng Minh Hội, 베엣민)에서도
베트남이라고 언급하고, 심지어
1942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총독도 베트남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베트남이라는 이름은 1945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는데,
1945. 7월 후에에 있었던 바오다이(Bảo Đại)의 황실정부에서 명명되었고,
같은 해 9월 하노이에 있는 호치민의 공산정부에서도 명명되었다.
베트남이 불리었던 여러 가지 이름
식뀌 (Xích Quỷ)
반랑 (Văn Lang)
어우락 (Âu Lạc)
남비엣 (Nam Việt, 南越 Nanyue)
자오치 (Giao Chỉ, 交趾/交阯 Jiaozhi)
띤하이꽌 (Tĩnh Hải quân, 靜海軍 Jinghai-jun)
반쑤안 (Vạn Xuân)
안남 (An Nam, 安南)
다이꼬비엣 (Đại Cồ Việt)
다이비엣 (Đại Việt)
다이누 (Đại Ngu)
다이남 (Đại Nam)
베트남 제국 (Đế quốc Việt Nam)
베트남 민주공화국 (북부)
(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Việt Nam Dân chủ Cộng hòa)
베트남 민족국 (남부) (Quốc gia Việt Nam)
베트남 공화국 (남부) (Việt Nam Cộng hòa)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현재) (Cộng hòa Xã hội Chủ nghĩa Việt Nam)
베트남 개요
월남(越南)이라는 이름은 기원전 2세기경에서 유래된
‘중국의 남방’에 사는 사람들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월남이란 말은 1590년 만들어진 하노이 캄라오 파고다에
조각된 글로 새겨져 있을 정도로 유래가 깊습니다.
1945년까지 안남으로 불리웠지만
바오다이(B?o ??i)황제가 공식명칭을 월남으로 바꾸었습니다.
월남이라는 한자 표기는 이때부터 중지 되었고
베트남 "Vietnam"이라는 영문표기가 공식 국가명이 되었습니다.
베트남사회민주주의공화국(Socialist Republic of Vietnam)은
단일체제의 사회주의 국가입니다.
새국가 체재에 대한 헌법이 1992년 4월 승인되었습니다.
중앙 집권식 베트남 공산주의 정부 체재가 전 정치와 사회조직에 전파되었습니다.
사회는 공식적으로 사회주의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지만
자본주의 제도를 급격하게 도입하므로서
경제학자들은 이들을 ‘열렬한 자본주의적 공산주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베트남 대통령은 베트남 군대의 원수이며 국가방위안전국의 의장입니다.
최근의 베트남 국무총리는 응우엔이며
3명의 부총리와 26명의 장관을 수장입니다.
베트남 인민민주주의공화국 의회는
선출직으로 의회와 사법부를 대표하는 막강한 권력을 가집니다.
장관직은 의회의원으로부터 선출됩니다.
대법원 역시 의회에게 답변할 의무를 가집니다.
대법원 아래로 지방 법원과 군 법원이 있습니다.
정부의 모든 조직은 공산당의 지시를 받으며
대부분의 고위관리는 공산당원입니다.
베트남 인민군은 육군, 해군, 공군 그리고 연안방위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베트남은 동경 102° 09∼109°30,
북위 8°10∼23°24의 인도차이나반도 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국, 라오스, 캄보디아에 인접하고
있고, 면적은 331,690㎢로 한반도의 약 1.5배,
최북단과 최남단간 직선거리는 1,650km에 이름.
베트남의 면적으로 이태리보다 크고 거의 독일과 크기가 같습니다.
작은 구릉과 산이 40%, 열대우림이 40%
그리고 평지가 20%를 넘지 않습니다.
베트남 북쪽지방에 높은 지대로
판시팡 산은 베트남의 가장 높은 산으로 3,143m입니다.
남쪽지방은 열대우림지역과 척박한 흙을 가진 평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베트남 국민들에게는 북부의 홍(Hong)강과
남부의 메콩(Me Cong)강이 주요 생활중심지가 되고 있음.
특히 메콩강은 길이가 4,220㎞에 달하는 인도차이나의 젖줄로서
티벳에서 발원해 중국,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등 여러 나라를 거치며
베트남에 이르러 삼각주를 형성하고 있음
(총 길이 중 200㎞만이 베트남 메콩델타 지역을 통과).
메콩 델타 지역의 총 면적은 22,000㎢에 달하며,
상류에서 운반된 비옥한 흙으로 쌀 농사에 적합해 쌀의 곡창지가 되고 있으며,
메콩강 유역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
홍강은 중국 운남성에서 발원하여 통킹만으로 흐르는
전장 1,200㎞(베트남 통과 구간은 475㎞임.)에 달하는 북부지역의 젖줄로
베트남의 2대 곡창지대의 하나인 15,000㎢ 면적의 홍강델타 지역을 통과
그 밖에 500㎞ 길이의 동나이(Dong Nai)강,
426㎞ 길이의 마(Ma)강 등이 있음(江은 베트남어로 쏭(Song)임).
베트남에는 높이 2,400m 이상 되는 산이 11개 있으며,
가장 높은 판시판 (Phan Si Pan, 3,143m)을 비롯해서
뿌르엉(Pu Luong, 2,985m),랑꿍(Lang Cung, 2,193m) 등의 산이 있음.
베트남 동쪽의 바다는 일반적으로 'South China Sea(남중국해)'로 표기 되어있지만
베트남은 '동해(East Sea)'라고 부르고 있음.
동해상에는 중국 등 인근국과의 영토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호앙사(Hoang Sa) 군도(Paracel 또는 西沙群島)와
쯔엉사(Truong Sa) 군도(Spartley 또는 南沙群島)가 있는데,
특히 쯔엉사 군도(南沙 群島)는 원유와 구리, 망간, 주석, 알루미늄등
많은 천연자원이 매장되어 있어
베트남, 중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주변 여러 나라들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음.
베트남은 11월과 4월까지는 겨울로 간주되는 건기이고
여름의 우기에는 우기입니다.
일년 평균기온은 21 and 28 °C이고
남쪽평야 지역이 북쪽 산악지역보다 높습니다.
북쪽산악고원지대는 기온은 12월과 1월에는 5 °C,
7월과 8월은 37 °C로 기온의 차이가 급격합니다.
하롱베이는 세계자연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면적은 한반도의 1.5배이며 인구는 9천5백만 정도이다.
국토의 70%가 산지 또는 늪지이다.
수도 하노이에는 약 7백50만, 호치민에는 8백만의 인구로
두 도시의 인구집중화가 두드러지고 있다.
베트남은 중국과의 국경에서 카마우곶(串)까지
남중국해(海)를 따라 남북으로 좁고 길게 뻗어 있으며,
국토의 3/4은 산지로 되어 있다.
북서부의 중국·라오스와의 국경 부근이 최고부를 이루며
이곳으로부터 라오스 국경을 따라
히말라야 조산대(造山帶)의 남동부에 해당하여 남쪽으로 뻗어 있다.
안남산맥은 동해안 쪽으로는 급경사를 이루나
서쪽 라오스·캄보디아 쪽으로는 완경사를 이루며,
특히 베트남 중부에서는 산맥이 바다에 급박하여 평지가 적다.
중국의 윈난성[雲南省]에서 발원하여
베트남 북부를 흐르는 송코이강[紅河]은 길이 1,200km이며
베트남 영내(領內)를 약 600km 흘러내리다가 통킹만(灣)으로 유입한다.
연간 160억t의 물과 8,000만t의 진흙이 운반되어
형성된 하류의 송코이 델타(삼각주)는
예로부터 베트남인의 역사 중심지를 이루었다.
송코이 델타에서 해안선을 따라 탄호아·빈 등 충적평야나
해안평야가 각처에 존재하는 한편
산맥이 해안에 급박한 곳에서는 사취(砂嘴)의 발달을 보이고 있다.
남부를 흐르는 메콩강은 인도차이나 반도 최대의 하천으로
길이 총연장 4,020km에 이른다.
이는 중국 시짱[西藏:티베트] 자치구에서 발원해
베트남 영내를 200km 흘러 광대한 메콩 델타를 형성하고 남중국해로 유입한다.
송코이 델타는 대부분 해발고도 3m 이내이며
델타 주변에서 25∼40m이나, 메콩 델타는 1∼2m로 매우 낮고 평평하다.
이들 비옥한 평야는 베트남의 2대 벼농사지대로
주민의 대다수가 이곳에 집중되어 있다.
기후는 북회귀선(北回歸線)의 남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고지를 제외한 전지역이 열대몬순기후를 이룬다.
대체로 5∼10월이 우기,
11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가 건기이다.
북부에서는 6∼7월,
중부와 남부에서는 8∼9월에 강우량이 많다.
연강수량은 하노이 1,761mm, 후에 3,860mm,
호치민시(구 사이공) 1,808mm로 우기에 84% 가량이 내리고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우기와 건기의 차가 크다.
베트남은 크게 3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노이를 중심으로한 북부지역과
다낭을 중심으로한 중부지역,
호치민을 중심으로한 남부지역이다.
북부지역은 하노이와 하이퐁이 중심 도시이며 홍강 델타주위로 농업이 발달했다.
중부지역은 훼를 시작으로 다낭, 퀴년, 나짱이 중심도시이다.
모두들 해변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도시들이다.
남부는 사이공시를 중심으로 거대한 메콩델타가 삶의 기반이다.
베트남은 지역별로 여러 가지 기후형태가 공존한다.
열대성기후에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덥고 습하나 지역별로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북부지방은 4계절이 있으나
사실상 봄, 가을은 아주 짧고 겨울은 한국 늦 가을날씨와 비슷하다.
더위는 5월부터 11까지 지속된다.
이기간 수도 하노이는 푹푹 찌는 더위가 연일 계속된다.
12월부터 날씨가 선선해지기 시작하며 비가 뿌리기 시작한다.
이런 습한 기후가 4월까지 계속된다.
중부지방으로 내려오면서 차츰 계절에 따라 온도차가 거의 없어진다.
다만 우기와 건기시즌이 뚜렷해진다.
중부지방은 11월부터 12월까지 우기시즌이다.
이때는 거의 매일 비가 내리며 비와 함께 태풍도 자주 닥쳐
훼나 다낭같은 도시는 심한 피해를 입기도 한다.
이 비는 크리스마스를 전후로 차츰 줄어들기 시작한다.
그리고 1월에서 2월까지는 시원한 날씨가 이어지다가 3월부터 더워지기 시작한다.
남부지방은 일년내내 온도변화가 거의 없으며 항상 30℃이상의 기온을 유지한다.
남부지방은 중부지방과 같이 우기와 건기시즌이 뚜렷이 구분된다.
그러나 남부지방 우기는 중부지방과 달리 낮 시간에 열대성 소나기가 잠시 내린다.
5월에서 10월까지 사이공시에는 매일 1시간 가량 천둥번개를 동반한 소나기가 내린다.
비가 내린 후에는 기온이 내려가 훨씬 시원해진다.
물론 건기에는 비 한 방울도 구경할 수가 없다.
베트남에는 고산도시가 많다.
유명한 고사도시가 북부에 사파(Sa Pa), 땀다오(Tam Dao),
중남부에 다랏(Dal Lat), 닥락(Dac Lac)같은 도시들이다.
이런 고산도시들은 일년내내 서늘하며 습기가 많은 기후이다.
이곳에서는 기온이 떨어지는 10월∼3월에는
털모자나 장갑을 착용한 사람들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렇듯 베트남에는 여러 기후대들이 산재해있다.
어느 기후가 좋다고 이야기 할 수는 없지만
대체적으로 기후변동이 심한 북부지방(하노이)보다는
덥지만 건우기가 구분되는 남부지방(사이공)이 생활하기에 좋은 편이다.
베트남 사람들은 선선한 고산기후를 좋아하지만
대부분 고산도시들은 불편한 교통으로 인해
소수민족(Dan Toc)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베트남에는 눈이 내리지 않아서인지 베트남인은 눈을 매우 동경한다.
또한 일년내내 더운 날씨 속에 살아서인지 추위에 많이 약하다.
날씨가 조금만 서늘해지면 겨울옷을 입고,
장갑을 끼고, 털모자를 쓰는 웃지 못할 광경들을 보게된다.
눈은 동경하지만 실제 눈이 오면 얼어죽는 사람들이 부지기수 일 것이다.
1986년 베트남 정부는 도이모이를 도입하여
산업과 상업과 농지를 개인소유 할 수 있게 된 이래로
2010년까지 년 7% 성장을 이루고 있고
외국인 투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세 번째 산유국(하루 400,000만 배럴 생산) 이며
오픈마켓정책으로 중국의 두 배의 경제 성장을 이루고 있는 나라입니다.
극심한 가난, 하루 1달러로 생활하는 극빈자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고
지금은 중국, 인도, 필리핀보다 그 수가 적습니다.
도오모이 정책은 간난한 사람들에게 교육과 의료비를 지원합니다.
베트남은 인구 9,700만의 평균연령이 27세라고 합니다.
그 이유는 잦은 전쟁으로 인해 노인인구층이 없습니다.
외세의 침입이 잦은 이유는 자원이 많아서 입니다.
우리나라의 석탄탄광은 땅속을 깊이 파서 채굴해야 하는데
반해 베트남의 석탄, 석회석탄광은 노천탄광이랍니다.
산 전체가 석회석광산인셈....
골드만 삭스의 경제예측보고서에 의하면
베트남은 2025년까지 세계 17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할 것으로 봅니다.
이것은 영국 영국 경제규모의 70%에 육박하는 수치입니다.
베트남은 캐슈넛 후추를 세계 시장에 30%를 수출하며,
쌀 수출은 태국에 이어 세계 2위 수출국입니다.
이외에 커피, 차, 고무와 수산품을 세계에 수출합니다.
2009년의 베트남의 실업률은 2.9%를 기록했습니다.
현대의 베트남 결혼은 풍습을 간직한 예전과 많이 다릅니다.
다른 것은 체면을 중시한 결혼비용과 결혼연령입니다.
예전에는 남성이 20대 여성이 18세이면 적정연령으로 생각했습니다.
여성이 사회생활이 자유로워지고
직업적인 경력을 쌓는 동안 결혼은 미루어 졌습니다.
전통적인 중매결혼은 빛을 잃고 있지만,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직도 중매결혼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서로 상대방이 잘 살 수 있는지
사주와 점을 보는 것은 젊은층에서도 아직도 선호합니다.
만일, 사주의 결과가 나쁘면 결혼을 하지 않기도 합니다.
베트남의 첫 번째 결혼순서는
신랑부모들이 자신의 아들과 결혼할 여성이
부부로서 잘 살 수 있을지를 점쟁이한테 문의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만일 사주가 좋다면 여성이 결혼을 결정해야 하는 절차를 남겨두게 됩니다.
결혼신청은 신랑의 부모가 신부의 부모를 찾아가 청혼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이때 신랑 부모는 베텔잎(betel leaves)이나
빈랑열매(areca nuts)를 준비하고 빨간 박스안에 신부 결혼예물을 준비 합니다.
그리고 신부가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물어보지만
대부분 결혼식 절차에 필요한 지참금을 지불하는 것으로 결혼은 진행됩니다.
다음절차는 결혼인데 대부분 수개월후로 미루지기도 합니다.
만일 배우자가 대학에 다니거나 외국에서 일을 한다면 더 늦추어 지기도 합니다.
베트남 사람들은 길일을 잡는데 민감합니다.
그러므로 결혼날짜를 잡는 것도 점쟁이한테 물어 길일을 선택합니다.
결혼식을 할 때 신부는 붉은 아오자이를 입습니다.
피로연을 하기 전에는 조상에게 예를 먼저 올립니다.
약혼식은 신부가족들이 미래의 시집사람들을 만나는 장소가 되기도 합니다.
결혼식전까지는 신랑 신부는 불운을 막기 위해 따로 지냅니다.
결혼식 전날밤에는 신부 어머니가 신부의 머리를 여러 개의 빚으로 빚어 줍니다.
빚마다 다 다른 의미가 있지만,
세 번째 빚은 신부는 새로운 집에서
행복한 결혼생활을 기원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결혼식 날 하객들은 신부의 집에 초청되고 신랑이 도착하기를 기다립니다.
신부는 전통 결혼의복으로 갈아입습니다.
결혼식 날의 예물은 베텔잎, 빈랑열매, 과일, 케이크, 전통술과 차를 준비합니다.
신부를 위해서는 결혼반지와 금귀걸이를 준비합니다.
빨간색은 베트남에서 전통적인 결혼예식에서
장미빛 결혼생활을 가져다주는 행운의 색깔로 여깁니다.
신랑이 도착하며 빨간 아오자이를 입은 신부의 친구들이 신랑을 맞이합니다.
신랑이 집으로 들어오면 신부의 부모에게 준비한 술을 조금 마시게 합니다.
이 술을 마시면 신랑을 받아들인다는 의미가 됩니다.
몇 년전에는 이때 불꽃을 터뜨리고 축하 했지만
많은 사고가 생겨 지금은 하지 않습니다.
신랑의 가족들은 각자 인사하고 신부와 결혼을 허락해 줄 것을 요청합니다.
그러면 주례가 신부의 부모에게 신부입장을 요청합니다.
그러면 신부는 결혼식장으로 들어옵니다.
전통적으로 신부는 빨간 아오자이를 입고
신랑은 검은 아오자이나 양복을 입습니다.
결혼식은 전통적인 재단 앞에서 진행됩니다.
신랑과 신부는 결혼식전에 촛불에 불을 밝힙니다.
그리고 재단 앞에 무릎을 끓어 앉아
그들의 조상에게 결혼할 수 있는 허락을 구하고
새로운 신혼가족에 축복을 내려 주길 기원합니다.
그리고 난후 신랑신부는 돌아서
신부의 부모에게 신부를 낳아 키워주신 것에 감사합니다.
그리고 신랑신부는 서로에게 절하며
신혼부부로서 서로 감사하고 존경을 표합니다.
이때 주례는 새로운 신혼부부가 새 가정을 만든 것에 대해 조언하며
결혼증명서에 서명을 하게 합니다.
다음 양가의 부모가 자신들의 경험을 이야기 하고 축복을 빌어 줍니다.
그런 다음 결혼예물을 교환하고 부모들은 금팔찌와 귀걸이등과 같은 예물을 선물합니다.
결혼 후 피로연에서는 점심이나 저녁을 준비합니다.
신랑 신부 양가의 부모는 다시한번 인사하고
하객들에게 축배를 듭니다.
피로연중 신랑신부는 각 테이블을 찾아가 인사하면
하객들은 봉투에 카드와 축하금을 넣어 줍니다.
피로연후 신부는 신혼살림을 할 신랑의 집으로 향합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중일전쟁(1937년~1945년)이 격화되면서,
일본 육군은 베트남으로부터 국민당 정부로의 물자수송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북부에 진주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편, 제2차 세계 대전의 유럽 전선에서는 1940년에 프랑스가 독일에게 무릎을 꿇었고,
나치 독일 점령하의 프랑스, 비시 정권이 임명한
장 드꾸(Jean Decoux) 장군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정부는
나치 독일의 동맹국인 일본과 협력하여
일본군의 베트남 주둔을 허용하는 조약에 서명하여
1940년에 일본군은 베트남 북부에 진출하고,
1941년에는 베트남 남부에도 진주하였다.
일본으로서는 버어마, 말레이 반도, 인도에 있던
영국령 인도차이나에 대한 군사 행동을 위하여 베트남의 천연 자원이 꼭 필요하였다.
이러한 이 지역의 전략적 입지와 천연 자원을 이용하고자 했던 일본은
자신들의 편의를 위해 프랑스 정부에게 일상적인 국정 운영을 맡겼다.
일본 점령에 항거하는 활동을 펼친 유일한 단체는
베트남 독립동맹(회)(비엣민 또는 베트민, 월맹(越盟))이었다.
1941년에 비엣민이 호찌민의 지도 아래 통합되었다.
호찌민은 프랑스와 일본의 지배로부터 독립을 추구하였다.
일본군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정부와 공존은
태평양전쟁 말기인 1945년 3월까지만 지속되었다.
비엣민의 공격이 계속되고 드쿠 정부가 일본에 맞설 계획을 세우던 1945년 3월,
프랑스의 비시 정권이 몰락하자,
일본은 프랑스와의 공동통치 체제를 전복시키기 위해
반프랑스 쿠데타를 일으켜 프랑스의 군대 및 관리 모두를 감금했던 것이다.
즉, 일본군이 명호작전(明号作戰)을 실행하여 프랑스군을 제압하여
프랑스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한 것이다.
일본은 대동아공영권의 기치를 내세우고,
아예 드쿠 정부로부터 베트남을 독립시켜 자신의 꼭두각시 정부로 만들려고 했고,
바오다이 황제는 프랑스와 적대하는 일본군에 협력했다.
이에 따라 1945년 3월 일본의 지원을 받는 일본의 영향력하에 있고
명목상에 불과한 꼭두각시 정부인 베트남 제국이 수립되고,
바오다이가 황제의 자리에 앉았다.
당시의 일본 군인 중에는 일본에 망명 중인
기외후(畿外侯)를 베트남 제국 황제를 세우려고 했지만,
남방군(南方軍)이나 제38군은
베트남의 새로운 정권에게 불간섭의 방침으로 군정의 실시나,
친일 정권 건설을 배제하는 걸로 결정하고 있었기 때문에
바오다이는 독립한 베트남의 최초의 원수의 지위를 손에 넣게 된 것이었다.
그는 안남과 통킹을 프랑스 보호구역으로 내준 1883년 조약을 폐지했다.
이 때 일본에 의한 미곡수탈과 산업용 작물 생산을 강요한
정책, 홍수, 제방 파손으로 인해 심각한 기근이 발생했고,
그 결과 북부 베트남 1천만 인구 중 2백만 명이 기아로 사망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했고, 베트남 제국도 1945년 8월 무너졌다.
비엣민은 베트남 8월 혁명으로 빠르게 권력을 탈취하고
임시 베트남 민주공화국 정부를 설립하였다.
일본은 베트남의 행정권을 비엣민에게 넘겼다.
비엣민은 하노이를 점령하고 임시정부를 선언하였다.
8월 30일에 후에의 궁전에서 베트남 제국의 꼭두각시 황제 바오다이는 퇴위하였다.
9월 2일, 일본이 도쿄 만의 정박중이던
미주리 호 선상에서 항복문서에 조인하여 전쟁이 종결됨과 함께,
비엣민은 하노이에서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독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포츠담 회담의 결과와 연합군 일반명령 제1호에 따라
베트남은 중국과 영국에 의해 다시 분할점령의 운명에 놓이게 되었다.
같은 시기 베트남에 있는 프랑스인과 일본군의 포로가 된
프랑스 군인들이 주축이 되어 사이공에서 식민군을 재결성하여
비엣민 세력과 충돌이 일어났다.
1945년 프랑스임시정부(the Provisional French Republic)는
원래 일본의 점령에 대항하기 위하여 조직된
프랑스 극동 원정군(the French Far East Expeditionary Corps)을 베트남에 보냈다.
이는 베트남의 독립 운동을 진압하고 프랑스의 지배를 재건하기 위함이었다.
이후 영국과 중국은 이전의 지배자였던
프랑스의 설득에 따라 군대를 철수시켰지만,
프랑스는 식민지에서 호락호락하게 물러서지 않았다.
프랑스는 바오 다이를 내세워 사이공에 괴뢰정권인 베트남국을 수립하였다.
이에 맞서 비엣민은 북부의 하노이에 동남아시아 최초의
공산주의 나라인 베트남민주공화국(월맹, 북베트남)을 수립하였다.
이로써 1945년에 이 성립하고 북부는 비엣민이 장악하고 남부는 프랑스가 장악했다.
곧 비엣민과 프랑스군은 치열한 전투를 개시하였다.
1946년 11월 20일 하이퐁 사건으로 촉발된
베트남의 프랑스에 대한 독립 전쟁인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비엣민과 프랑스 군 사이에 발발하여 1954년 7월 20일까지 지속되었다.
그 와중인 1950년 소비에트 연방과 중화인민공화국은 북베트남을 국가 승인하였다.
미국을 배후로 하는 프랑스 극동 원정군과
베트남 국군(베트남어: Quân đội Quốc gia Việt Nam)은 전쟁으로 인한
피해가 덜하였으나 - 프랑스 극동 원정군 측 사상자는
중국과 소련을 배후로 한 비엣민 측 사상자의 1/3에 불과하였다
- 디엔비엔푸 전투에서의 결정적 패배를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1954년 제네바 협정에서
호찌민은 유리한 조건에서 휴전 협상을 하게 된다.
프랑스의 식민 정책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해체로 끝맺었고,
제네바 협정에 따라 베트남은 17도선에서 남북이 분단하고,
이로써 북위 17 도선 (군사분계선, DMZ) 이북은 호찌민의 북베트남이,
이남은 바오 다이 황제의 베트남국(베트남어: Quốc gia Việt Nam)이 통치했다.
이러한 남북 분단은 임시 조치였고,
1956년에 선거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열리지 않았다.
1954년 10월, 베트남에 있던 프랑스군이 철수했다.
1955년 베트남국의 총리 고 딘 지엠(Ngo Dinh Diem)은
그의 형인 고 딘 누(Ngo Dinh Nhu)가 주도한
부정한 국민투표를 통해 황제 바오 다이를 축출하고
스스로 베트남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선언하였다.
이로써 공산주의의 베트남민주공화국(북베트남)과
미국이 지원하는 베트남공화국(월남, 남베트남)이 대치하는 양상을 띠게 된다.
1959년 베트남인민공화국은 민족해방전선 이라는 새로운 군사조직을 만들었다.(베트콩)
1963년 6월 11일 베트남공화국에서 틱쾅둑 승려의 분신 (독재 시위)
고 딘 디엠
응오딘지엠(베트남어: Ngô Ðình Diệm/ 吳廷琰 오정염, 1901년 1월 3일 ~ 1963년 11월 2일)
또는 고 딘 디엠은 응우옌 왕조와 남베트남의 정치인이다.
남베트남(베트남 공화국)의 초대 총통으로
1954년 제네바 협정 이후 프랑스군이 철수하자 미국의 지원으로 수상이 되었고,
1955년 4월 30일 베트남 공화국 국장 권한대행을 거쳐
같은 해 10월 26일 베트남 공화국 초대 총통에 취임하였다.
1953년 9월에는 대한민국으로부터 건국훈장 중장을 받았다.
안남왕국의 명문 출신으로 베트남의 프랑스 식민 시절
25세의 나이에 프랑스 식민 지방군의 대장을 맡았으며,
약 300여곳의 마을을 관리하는 고위 관료를 지낸 바 있기 때문에
베트남에선 민족 반역자로 분류된다. 그 후 황제 바오다이 밑에서 이부상서가 되었으나,
친(親)프랑스적인 정책에 반대하여 사임하였고, 이후 일본의 괴뢰화가 되자
제정에 대항하여 약소한 독립운동을 벌였다. 1945년 호찌민(胡志明)의 공산군에 체포되었으며
호찌민으로부터 북베트남의 사회주의 정부에 입각, 참여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나 거절하고 출국,
미국, 프랑스, 벨기에 등지에서 망명생활을 하였다. 그 뒤 1954년 6월 귀국하여
미국의 지원으로 베트남국의 수상을 지내다가 쿠데타를 일으켜 공화정을 선언,
1956년 국민투표로 공화국을 선포하고 총통이 되었다.
그러나 독재와 주변 측근 인사들의 부패 등으로 민심을 잃고, 여러 번의 군부 쿠데타를 겪었다.
1956년 11월부터 독재 정치를 하였으며
또한 응오딘지엠 자신과 지주들이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였기 때문에,
로마 가톨릭교회를 옹호하고 불교를 탄압하였다.
이러한 억압정책에 맞서는 농민을 중심으로 한 게릴라 저항운동이 시작되었으며,
1963년 6월에는 불교 승려 틱꽝득(Thich Quang Duc)의 분신 자살은 쿠데타의 도화선이 되었다.
1963년 11월 즈엉반민 장군이 일으킨 군사 쿠데타에 의하여 정권은 무너지고
피습 후, 병원으로 이송 도중 아우 응오딘누(Ngô Ðình Nhu, 呉廷柔)와 함께 처형되었다.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은 1964년 통킹만 사건을 구실로
미국이 북 베트남에 폭격하면서 시작된 전쟁으로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이라고도 한다.
학자에 따라서는 미국이 베트남에 개입하기 시작한 1959년을 기점으로 잡기도 한다.
1975년까지 계속된 이 전쟁은 민족적인 공산주의자들인 베트남민주공화국(북베트남)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이 베트남공화국(남베트남)과 싸운
내전의 성격이 있는 반면,
미국과 한국을 비롯한 미국의 동맹국들이 남베트남을 지원하기 위해 개입하고,
이에 맞서 중국과 북한도 비공식적으로 각각 전투원을 파견하여
북베트남을 지원함으로써 국제전의 양상을 띠게 되었다.
이 전쟁은 한국전쟁과 더불어 냉전 기간의 대표적인 전쟁이다.
결국 반전 여론과 불투명한 전세에 미국은
휴전 협정을 맺고 베트남 전역에서 퇴각하지만,
남베트남과 북베트남, 베트남 해방전선은 전쟁을 재개하여
사이공을 북베트남군이 점령하고 남
베트남 정부 대신 남베트남 임시혁명정부가 세워지면서 끝이났다.
대한민국에서는 한자를 한국어식으로 음차한 월남 전쟁이라고도 부른다.
이 전쟁으로 인해 민간인을 포함한 베트남인 150만 명이 사망했고,
미군은 사망자 6만여 명,
대한민국에서 참전한 군인도 5천여 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쟁 이후에도 미군이 사용한 무기와 화학약품으로 인해
피해자 본인과 그 자녀들이 장애를 갖게 되는 사례가 속속 집계되고 있고,
한국군의 베트남 민간인 학살사건이 보도되기도 하였다.
베트남 전쟁 이후의 역사
전쟁의 종결을 향한 움직임이 시작된
1969년의 9 월 2일 상오 9시47분,
호찌민이 갑작스런 심장 발작으로 79세의 생애를 마지막으로 사망하였다.
1973년 1월 미국과 베트남인민공화국에서 파리협정이 조인.
1975년 4월 30일 사이공 함락으로 베트남 전쟁 종결.
북베트남은 남베트남에 괴뢰 정권인 남베트남 공화국을 수립시켰고,
1976년 이를 흡수하여 남북통일하고,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이 성립되었다.
1979년 중국-베트남 전쟁
1986년 도이머이(베트남어: đổi mới ❲쇄신❳)정책의 개시
1995년 30년 통상금지를 해제하고,
외교를 정상화 하여 같은 해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에 가입했다.
베트남의 54개 소수민족
베트남은 54개의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이다.
그 중 인구의 약 87%를 차지하는 베트남인(킨족, Kinh)은
수천 년 전에 화남지방(華南地方)으로부터 북부 베트남으로 이동했다고 알려졌으나,
최근의 고고학적 발굴에 의하면 그 기원은
훨씬 오래된 수십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
북부 베트남으로 이동한 킨족은 주로
송코이강 델타를 중심으로 문명을 이루었으며
중부와 남부베트남은 참파족의 지배하고 있었다.
베트남인의 부분적으로 남진하기 시작한 것은 1070년대 이후의 일인데
이때 북위 17° 이남으로의 남하가 이루어진 것이다.
레왕조의 타인똥(聖宗) 왕이 참파국을 정벌하여 복속시켰으며,
이후 해안평야를 따라 남하하여 1650년경에 빈투언에 이르는데,
17세기 말에 사이공을 주변의 메콩 델타에까지 진출하였다.
이와 같은 베트남의 남진으로 17세기경 멸망한 참파족은
소수민족으로 남아 지금은 베트남 남부와 판랑(Phan Rang)지방에 거주하고 있으며,
17세기에 복속된 메콩강일대의 크메르 족(캄보디아인)의 상당수가
오늘날의 캄보디아 국경에 가까운 메콩 델타 서부에 거주하고 있어
캄보디아와의 분쟁원인이 되고 있다.
전형적인 베트남인은 대체로 단두형(短頭形)이며
손발이 짧고, 키는 평균 158cm, 몸무게는 약 50kg, 눈은 몽골형,
피부색은 중국인과 거의 비슷하다.
복장은 남녀가 다함께 폭이 넓고 품이 넉넉한 상하복을 입으며
색은 흰색, 검은색 또는 밤색을 주로 사용한다.
신발은 가죽이나 목제의 샌들을 신는 것이 전통적인 풍속이다.
베트남은 일찍이 1,000년 동안이나
고대 및 중세 중국 제왕조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독자적인 문화를 유지하는 한편 중국문화의 영향도 받아왔다.
베트남에는 킨족을 제외한 800만 명에 달하는 54개의 소수민족이 있다.
주된 민족인 베트남인(킨족)이
델타나 평야지대에 거주하면서 벼농사에 종사하는 것과 반대로
이들 소수민족의 대부분은 산악 또는 고원지대에 산재하며
유목이나 화전경작을 영위해 왔다.
특히 서부고원지대에는 약 30여개의 소수민족이 살고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6대 소수민족은
바나족, 쟈 라이족, 에데족, 꺼호 족, 세당 족, 므농 족으로
이들을 합치면 약 90만에 이른다.
그 밖의 베트남의 다른 소수민족들은
북서쪽에서 남북으로 내려오는 안남산맥을 따라서
몽족이나 먀오족[苗族]처럼 산지에 고립적으로 부족을 이루면서 살고 있다.
베트남의 화교는 현재 약 90만명 정도로써
베트남에서 네 번째로 규모가 큰 민족에 해당하며 베트남 전체인구의 1.3%에 해당한다.
공용어는 로마자 위에 특수한 부호를 넣어
80여 개의 자모(字母)로 구성한 베트남어이다.
13세기 이래 한자의 음과 뜻을 차용하여 만든 쯔놈이라는 민족문자가 사용되었으나
전도를 위해 베트남에 온 예수회 사제들이
이를 라틴문자로 옮기면서 사용한 것이 오늘날의 베트남어가 되었다.
현대의 베트남어 단어의 상당부분이 한자에서 기원하였으며,
1910년대에까지 치르던 한학유학시험이 폐지됨으로서
한자와 쯔놈이 더이상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현재에는 베트남어가 사용되고 있다.
그밖에 4종의 소수민족 언어를 법률상 허용하고 있다.
베트남은 중국과 인도 두 고대문명의 영향을 받아 베트남 고유의 문화를 형성하였다.
고고학적으로 베트남인은 북부•동부 아시아에서 흔히 발견되는
전 세계의 주요 인종 중 하나인 몽골인종으로 구분된다.
54개의 베트남 종족은 언어 군에 따라 다음과 같은 8가지 부류로 나뉠 수 있다.
•비엣-므엉어족(The Viet - Muong Group, 4개 종족)
쯧(Chut), 낑(Kinh), 므엉(Muong), 터(Tho).
•떠이-타이어족(The Tay - Thai Group, 8개 종족)
보이(Bo Y), 져이(Giay), 라오(Lao), 루(Lu), 눙(Nung),
산 짜이(San Chay), 떠이(Tay), 타이(Thai)
•몬-크메르어족(The Mon - Khmer Group, 21개 종족)
바 나(Ba Na), 브라우(Brau), 브루-반 끼에우(Bru-Van Kieu),
쩌로(Cho Ro), 꼬(Co), 꺼 호(Co Ho), 꺼 뚜(Co Tu),
지에 트리엥(Gie Trieng), 흐레(Hre), 끄항(Khang), 크메르(Khmer),
커 무(Kho Mu), 마(Ma), 망(Mang), 므농(M'nong), 오 두(O Du),
로 맘(Ro Mam), 따오이(Ta Oi), 씬 문(Xinh Mun), 써 당(Xo Dang), 쓰띠엥(Xtieng)
•몽-자오어족(The Mong - Dao Group, 3개 종족)
자오(Dao), 몽(Mong), 빠텐(Pa Then)
•까다이어족(The Kadai Group, 4개 종족)
꺼 라오(Co Lao), 라 찌(La Chi), 라 하(La Ha), 뿌 뻬오(Pu Peo)
•남자오어족(The Nam Dao Group, 5개 종족)
짬(Cham), 쭈 루(Chu Ru), 에데(Ede), 쟈 라이(Gia Rai), 라그라이(Raglai)
•한어족 또는 중국어계(The Han Group, 3종족)
호아(Hoa), 응아이(Ngai), 산 지우(San Diu)
•땅어족(The Tang Group, 6개 종족)
꽁(Cong), 하 니(Ha Nhi), 라 후(La Hu),
로 로(Lo Lo), 푸 라(Phu La), 시 라(Si La).
베트남 국가의 발전사를 보면 모든 종족이 함께 뭉쳐
외부 침입자로부터 영토를 지키고 국가의 독립과 자주권을 얻기 위해 대항해왔다.
더불어 각 종족은 그들 고유의 언어와 정체성을 지키면서
오랜 세월 동안 다양한 종류의 문화가 잘 어우러지는
다양성으로 대변되는 베트남 문화를 이루어 왔다.
베트남 인사말 정리
안녕하세요 xin chao toi la ....본인 소개할때입니다. toi 는 1인칭 씬짜오 또이 라 ....
어서오세요 xin moi 씬 머이
환영합니다 don또는 chaomung던 또는 짜오 뭉
만나서 반갑습니다:Rat vui duoc gap (럭 부이 득 갑)
제 이름은 '형준' 입니다 :Toiten la '형준' (또이 떤 라 '형준')
당신의 이름은 무엇 입니까? : Ban ten gi? (방 떤 지)
당신의 집은 어디입니까? : Nha ban o dau? (냐 방 어 더우)
당신은 무슨 음식을 좋아합니까? : Ban thich an mon gi? (방 팃 안 몽 지)
당신은 어떤 음료를 좋아합니까? : Ban thich uong gi? (방 팃 웅 지)
감사합니다 :Cam on (깜언)
식사하세요 : Moi an com (머이 앙 껌)
피곤하지 않으세요? : Co met khong? (꼬 멋 컴)
같이 식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Cam on ban da di an com voi toi (깜언 방 다 디 앙껌 버이 또이)
다시 만나요 : Hen gap lai (행 갑 라이)
안녕하세요 : 신 짜오(Xin chao) 어린사람에게는 짜오(Xin은 존칭어)
감사합니다 : 깜언(Cam on), 어른한테는 신(Xin) 깜언
미안합니다 : 신 로이(Xin loi) → I'm sorry
실례합니다 : 신 호이(Xin hoi) → Excuse me
- 본인 자신보다 어린사람에겐 보통 엠(em)이라 하고,
나이 많은 분에겐 안(Anh)이라고 합니다.
아기는 엠베(em be)라고 합니다.
어린 사람에게 인사할 때 Chao em(짜오 엠).
Xin(신)은 존칭어(격어)니 어린 사람에겐 불필요합니다.
천만에요 : 컴 꼬찌(Khong co gi) → your welcome 정도의 뜻
괜찮습니다 : 컴 사오(Khong sao) → Don't your mind 정도의 뜻
예(Yes) : 야(Da)-호치민 사람, 벙(vang)-하노이 사람
아니오(No) : 컴 파~이(Khong phai)
알았어요(이해했어요) : 히에우 로이(Hieu roi)
모르겠어요 : 컴 히에우(Khong hieu) - 이해를 못한다는 뜻
몰라요 : 컴 비엣(Khong biet)
안녕하세요 (Xin chào 신 짜오),
고맙습니다(Cám ơn 깜 언),
죄송합니다( Xin lỗi 신 로이),
안녕히가세요 (Tạm biệt 땀 비엣),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Anh tên là gì? 안 뗀 라 지? -남자에게 물을 때),
Chị tên là gì? ( 찌 뗀 라 지?-여자에게 물을 때),
제 이름은 Chi 입니다 (Tên tôi là Chi 또이 뗀 라 찌),
만나서 반갑습니다
(Rất vui được gặp anh 럿 부이 드억 갑 안-남자에게 물을 때),
Rất vui được gặp chị (럿 부이 드억 갑 찌-여자에게 물을 때),
당신은 어디서 왔어요?
(Anh là người nước nào? 안 라 응어이 느억 나오?-남자에게)
Chị là người nước nào? (찌 라 응어이 느억 나오?–여자에게),
선물이예요
Đây là món quà. 다이 라 멍 와. <-- 남부발음이고 참고용임.
만나서 반갑습니다.
Rất vui được gặp bạn. 럭 유이 드억 갑 방 <-- 남부발음이고 참고용임.
정말이냐? : 짝짠(Chac chan), 텃 컴(That Khong)
맞아요(그래요) : Dung roi (둥 로이) or Dung vay (둥 붜이)
솔직히 말해서 : 노이 텃(noi that)
듣기로는 : 응에 노이(Nghe noi)
어제 : 홈 꽈(hom qua)
오늘 : 홈 나이(hom nai)
내일 : 냐이 마이(Ngay mai)
내일 아침: 상 마이(Sang mai)
모레 : 응아이 끼어(Ngay kia)
이번주 : 뚜언 나이(Tuan nay)
다음주 : 뚜언 사우(Tuan sau),
지난주 : 뚜언 쯔억(Tuan Truoc)
내년 : 상남(Sang nam)
올해 : 남 나이(Nam nay)
작년 : 남 응오아이(Nam ngoai)
이름이 뭐예요 : 엠 떤 라 지(em ten la gi)
나는 huong 이예요 : 뗀 또이라 흐엉(ten toila huong)
이 사람은 제 와이프(집사람입니다) :
더이 라 냐 또이(붜) 또이(Day la nha(vo‘) toi)
* 집사람(Nha toi), 붜(Vo‘): 부인
나는 너를 사랑해 : 또이 이에우 엠(Toi yeu em)
나는 너를 그리워해 : 또이 녀 ~ 엠(Toi nho em)
사랑하다 : 이에우(Yeu), 좋아하다 : 틱(Thich)
싫어하다 : 컴 틱(khong thich) 호치민 발음은 틱보다는 특에 가깝다
나는 지금 너와 함께있어 행복하다
: 버이저 또이 한푹 버이 엠(Bay gio toi hanh phuc voi em)
너를 만나서 매우 기쁘다 : 또이 렅 무응 갑 엠(Toi rat mung gap em)
※ 참고 : Toi(또이-나), rat(렅-매우), 드(엠-너, 연하), ahn(안-당신, 연상)
너 참 미인이다 : 엠 뎁 꽈~(em dep qua),
미인 : 뎁 가이(gai), 미남 : 뎁 짜이(trai)
얼마나 머무를 것인가요? :
안(엠) 세어 라이 바오 러우(Anh(em) se o‘ lai bao lau?) o' lai (어 라이, 머무르다)
언제 한국에 가나요? : 키나오(룩나오) 안(엠)
디 붸 한 꾸억(Khi nao(Luc nao) anh(em) di ve Han Quoc?)
몇 살이니? : 바우 니에우 뚜오이(bao nhieu tuoi?)
20살 이에요 : 또이 라 하이무오이 뚜오이(toi la haimuioi(20) tuoi)
건배 : 머~이(moi)
원샷 : 뫁 짬 펀짬(mot tram phan tram)
건강을 위하여 : 축 쑥 퀘에~(chuc suc khoe)
- 이 표현은 나이든 사람들이나 시골에서 많이 사용
한국어 : 띠응 한꿔억(tieng han quoc), 영어 : 띠응 안, 일어 : 띠응 반
너 영어좀 할줄 아니?
: 엠 꼬 노이 드억 띠응 안 컴?(em co noi duoc tieng anh khong?)
못해요 : 컴(khong) 또는 컴드억(khong douc)
조금 해요 : 쭡 시우(chut xiu) 또는 뫁 쭡(mot chut)
이것은 무엇입니까? 까이 나이 라 까이 지(Cai nay la cai gi?)
- 까이 나이 보다는 줄여서 “깨나이”로 많이 발음한다
이거 베트남 말로 뭐라 해요?
까이 나이 띠응 비엣 노이 라 지?(Cai nay tieng viet noi la gi?)
이거 얼마에요? : 까이 나이 바오 니우 띠엔?(cai nai bao nhieu tien?)
5만동입니다 : 남무오이 냥동(nam muoi nhan dong)
너무 비싸요 : 막 꽈(mac qua) 또는 닥 꽈(dac qua)
깍아 주세요 : 쟘쟈 디(giam gia di) 또는 벝 쟈 디(bot gia di)
1달러가 베트남 동으로 얼마에요?
: 뫁 돌라 바오 니우 띠엔?(Mot do-la bao nhieu tien?)
은행 : Ngan hang(응언 항)
배가 고프다 : 또이 도이붕(toi doi bung)
밥먹고 싶다 : 또이 무온 안 컴(toi muon an com)
식사 했어요? : 안 껌 쯔어?(an com chua?)
-an(먹다), com(껌)은 밥, chua(쯔어)는 아직 ~하지 안했냐는 뜻
아직 안 먹었어요 : Chua an(쯔어 안),
네 먹었어요 : 안 껌 로이(An com roi)
- 흔히 물으면 쯔어나 로이로 간단하게 대답한다
-호치민는 "로이“, 하노이는 ”조이“로 발음
밥먹으러 가자 : 안 껌 디(an com di)
아침: 안 상(an sang),
점심: 안 쯔어(an trua),
저녁: 안 또이(antoi)
뭐 마실래요? : 안(엠) 우엉~ 지?(Anh(em) uong gi?)
술 마셔요? : 안(엠) 꼬 우엉 드억 르어우 컴?(Anh(em) co uong duoc ruou khong?)
- ruou(호치민에선 “르어우”로, 하노이는 “즈어우”로 발음)
(음식이)맛있어요 : 응온 람(ngon lam)
(음식이) 맛없어요 : 컴 응온 람(Khong ngon lam)
(음식이) 맵다 : Cay(까이)
(음식)이 싱겁다 : Nhat(냣) - 하노이 사람,lat (랏) - 호치민 사람
(음식)이 짜다 : Man (만)
(음식)이 시다 : Chua(추아) Sua chua(스어 추아, 요구르트)
(음식)이 달다 : Ngot(응옷)
(음식)이 쓰다 : dang(당)
소금: muoi (무오이),
간장: xi dau(시 저우),
설탕 : Duong(드엉),
맥주 : bia(비아),
물 : 느억(nu'oc'),
오랜지쥬스 : Nuoc cam(느억 깜)
커피: ca phe(카페),
블랙커피(ca phe den, 카페 덴),
얼음 : 다(da)
- 얼음이 들어간 것은 다 "다(da)"를 붙이면 됩니다
안녕(bye) : 땀 비엣(tam biet)
또 만납시다 : 헨 갑 라이(Hen gap lai)
“신짜오”가 만날 때 인사 이기도 하지만 헤어질때도 사용하는 인사입니다
식당:냐항(nha hang),
호텔:칵산(khachsan),
남성:꼰꾸(con cu),
여성:꼰 찜(con chim)
병원 : Ben vien(벤 비엔),
의사 : Bac sy(박 시~),
간호사: 이 따(y ta')
나 매우 피곤해 : 또이 멧 꽈(toi met qua)
○ 오늘 날씨가 좋다 : 홈나이 쩌이 뎁(Hom nay troi dep)
○ 매우 덥다! : 농 꽈~(No‘ng qua) , 춥다 : 란 꽈~(lanh qua)
- 공항 : san bay(선 바이) 택시타고 공항가실 때 간단히 “선 바이”라고 하시면 됩니다.
- 비행기 : may bay(마이 바이)
※ 숫자
1: 뫁,
2:하이,
3:바,
4:본,
5:남,
6:사우,
7:바이,
8:땀,
9:찐,
10:무오이,
11:무오이 뫁,
12:무오이 하이
20:하이무오이,
30:바무오이,
40:본무오이,
50:남무오이,
100:뫁뫁짬,
1,000: 뫁엥,
10,000:무오이 엥,
100,000: 뫁 짬엥,
1백만: 뫁 찌에우
o
o
o
When I Dream(내가 꿈을 꿀 때) / Carol kidd
o
o
o
I could build the mansion that is higher than the dreams
난 꿈에서 꾼 것보다 더 높은 집을 지을 수도 있습니다
I could have all the gifts I want and never ask please
요구하지 않아도 원하는 모든 선물들을 받을수 있어요
I could fly to Paris.
난 파리로 날아갈 수도 있어요.
It's at my beck and call,
그건 내가 맘만 먹으면 할 수 있어요.
Why do I live my life alone with nothing at all
하지만 왜 난 아무것도 없이 외롭게 삶을 살아야 하는지요?
But when I dream, I dream of you,
내가 꿈꿀 때, 난 당신을 꿈꿔요.
Maybe someday you will come true.
아마 언젠가 당신은 현실로 내게 오겠죠
When I dream, I dream of you
내가 꿈꿀 때, 난 당신을 꿈꿔요.
Maybe someday you will come true
아마 언젠가 당신은 현실로 내게 올거예요
~~~~~~~~~~
I can be the singer or the clown in any role
난 가수도 될 수가 있고 광대가 되어 어떤 역할도 할 수도 있죠
I can call up someone to take me to the moon
날 달나라로 데려다 줄 누군가를 불러낼 수도 있어요
I can put my makeup on and drive the man insane
화장을 하고 그 사람의 혼을 빼놓을 수도 있죠
I can go to bed alone and never know his name
하지만,난 혼자 잠자리에 들고 그의 이름도 모릅니다
But when I dream, I dream of you,
내가 꿈꿀 때, 난 당신을 꿈꿔요.
Maybe someday you will come true.
아마 언젠가 당신은 현실로 내게 오겠죠
When I dream, I dream of you
내가 꿈꿀 때, 난 당신을 꿈꿔요.
Maybe someday you will come true
아마 언젠가 당신은 현실로 내게 올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