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역사의 뒤안길 150

이승만문학2) 이승만의 작시 활동과 한시세계 / 허경진

​ ▲ 제100회 이승만 포럼에서 발표하는 허경진 연세대 객원교수 이승만 시 '고목가'는 최남선 보다 10년 앞선 한국 최초의 신체시(新體詩) - 뉴데일리 / 허경진 교수 2019-06-24 / 제100회 이승만포럼 학술회의 발표문, 2019.6.18 - 이승만의 작시 활동과 한시세계 - 허 경 진 (연세대 객원교수) - 1. 머리말 : 전근대시대 세 가지의 문학 형태 우남(雩南) 이승만(李承晩, 1875~1965)은 타고난 시인이 아니라 정치인이었지만, 젊은 시 절부터 노년에 이르기까지 많은 한시를 지었다. 이승만의 작시(作詩) 활동을 이해하려면 조 선시대 사람들이 문학작품을 향유한 방법과 그 이유를 알아야 한다. 조선시대 사람들은 문 학을 일상생활에서 즐겼는데, 일부 예외는 있지만 대개 신분이나 직업..

이승만문학1) 이승만 작 <고목가>의 문학사적 연구 / 이복규

​ ▲ 제102회 이승만 포럼에서 발표하는 이복규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한국 최초의 '신체시 古木歌' -청년 이승만의 작품을 최초로 연구 발표 - 뉴데일리 / 이복규 서경대교수 2019-08-26 / 제102회 이승만 포럼 발표문 전문, 2019.8.20. - 이승만 작 의 문학사적 연구 - 이복규(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 Ⅰ. 머리말 이승만 작 한글 율문 의 문학사적 의의는 무엇일까? 오늘 강연의 주제이다. 이 작품에 대해서는 이미 몇몇 학자가 연구한 적이 있다. 견해 차이가 없는 것도 있고, 대 립되어 있는 것도 있다. 이 강연에서는, 의견이 일치하는 것에 대해서도 말하겠지만, 필자 가 이번에 새로 발견한 사실들에 더 비중을 두려고 한다. 기존에 밝혀진 사실도 필자의 관 점에서 적극 해석..

암각화는 고대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사진(Twilight At The River Side)

순광으로 촬영된 암각화. 탐블르이, 카자흐스탄, 2017 / 사진가 강운구 암각화는 고대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사진 창작의 순간 22. 강운구의 암각화 사진전 조선일보 조인원 기자 입력 2023.12.09. ‘암각화가 어디 보여?’ 암각화를 보러 울주군 반구대를 가보면 실망부터 한다. 사진으로는 바위에 새긴 고래와 동물들이 또렷이 보이지만 막상 현장에 바위 앞에선 그림을 찾기 어렵다. 사실 신석기시대 그림이 희미한 건 당연하다. 그래도 암각화를 보고 싶다면 햇빛이 비스듬히 비추는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강운구 사진가는 최근 전시 중인 자신의 암각화 사진전에서 암각화 사진을 어떻게 찍었는지 알려주었다. “ 기운 햇살은 색 온도가 낮아 붉은색이 두드러진다. 카메라 화이트밸런스를 데이라이트에 맞추고 암각화를 그..

신석정논문5) 1930년대 시에 나타난 ‘지도’ 표상과 세계의 상상 / 강호정

■ 저항적 목가시인 신석정(辛夕汀)에 관한 논문 5편 □ 신석정논문1) 신석정 초기 시편에서 본 참여의식과 저항의식 / 하재준 □ 신석정논문2) 어머니,산(山),대바람소리 ―신석정(辛夕汀)론 / 윤여탁 □ 신석정논문3) 신석정 시에서의 근대성과 노장적 자연인식 / 송기한 □ 신석정논문4) 신석정 초기시의 근대적 자연미와 공동체 의식 / 김옥성 -‘지구’ 이미지를 중심으로 □ 신석정논문5) 1930년대 시에 나타난 ‘지도’ 표상과 세계의 상상 ― 정지용, 임화, 김기림, 신석정의 시를 중심으로 / 강호정 □ 신석정논문5) 1930년대 시에 나타난 ‘지도’ 표상과 세계의 상상 ― 정지용, 임화, 김기림, 신석정의 시를 중심으로 강 호 정* *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연구교수(krusoe@hanmail.net..

신석정논문4) 신석정 초기시의 근대적 자연미와 공동체 의식   / 김옥성

■ 저항적 목가시인 신석정(辛夕汀)에 관한 논문 5편 □ 신석정논문1) 신석정 초기 시편에서 본 참여의식과 저항의식 / 하재준 □ 신석정논문2) 어머니,산(山),대바람소리 ―신석정(辛夕汀)론 / 윤여탁 □ 신석정논문3) 신석정 시에서의 근대성과 노장적 자연인식 / 송기한 □ 신석정논문4) 신석정 초기시의 근대적 자연미와 공동체 의식 / 김옥성 -‘지구’ 이미지를 중심으로 □ 신석정논문5) 1930년대 시에 나타난 ‘지도’ 표상과 세계의 상상 ― 정지용, 임화, 김기림, 신석정의 시를 중심으로 / 강호정 □ 신석정논문4) 신석정 초기시의 근대적 자연미와 공동체 의식 -‘지구’ 이미지를 중심으로 김옥성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국현대시 전공, hywriter@dankook.ac.kr Ⅰ. 머리말 Ⅱ...

신석정논문3) 신석정 시에서의 근대성과 노장적 자연인식 / 송기한

■ 저항적 목가시인 신석정(辛夕汀)에 관한 논문 5편 □ 신석정논문1) 신석정 초기 시편에서 본 참여의식과 저항의식 / 하재준 □ 신석정논문2) 어머니,산(山),대바람소리 ―신석정(辛夕汀)론 / 윤여탁 □ 신석정논문3) 신석정 시에서의 근대성과 노장적 자연인식 / 송기한 □ 신석정논문4) 신석정 초기시의 근대적 자연미와 공동체 의식 / 김옥성 -‘지구’ 이미지를 중심으로 □ 신석정논문5) 1930년대 시에 나타난 ‘지도’ 표상과 세계의 상상 ― 정지용, 임화, 김기림, 신석정의 시를 중심으로 / 강호정 □ 신석정논문3) 신석정 시에서의 근대성과 노장적 자연인식 송기한(대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차 례∥ 1. 근대성과 자연미 2. ‘촛불’의 인위적 세계와 ‘밤’의 통합적 세계 3. 절대적 관점의 상실..

신석정논문2) 어머니,산(山),대바람소리 ―신석정(辛夕汀)론 / 윤여탁

■ 저항적 목가시인 신석정(辛夕汀)에 관한 논문 5편 □ 신석정논문1) 신석정 초기 시편에서 본 참여의식과 저항의식 / 하재준 □ 신석정논문2) 어머니,산(山),대바람소리 ―신석정(辛夕汀)론 / 윤여탁 □ 신석정논문3) 신석정 시에서의 근대성과 노장적 자연인식 / 송기한 □ 신석정논문4) 신석정 초기시의 근대적 자연미와 공동체 의식 / 김옥성 -‘지구’ 이미지를 중심으로 □ 신석정논문5) 1930년대 시에 나타난 ‘지도’ 표상과 세계의 상상 ― 정지용, 임화, 김기림, 신석정의 시를 중심으로 / 강호정 □ 신석정논문2) 어머니, 산(山), 대바람소리 - 신석정(辛夕汀)론 윤여탁(서울대 교수) Ⅰ. 일제 시대에 지은 붉은 벽돌로 지은 교실의 화단 옆에서 깨끼발로 서서 건물 안을 들여다보는 조무래 기 중학생..

신석정논문1) 신석정 초기 시편에서 본 참여의식과 저항의식 / 하재준

■ 저항적 목가시인 신석정(辛夕汀)에 관한 논문 5편 □ 신석정논문1) 신석정 초기 시편에서 본 참여의식과 저항의식 / 하재준 □ 신석정논문2) 어머니,산(山),대바람소리 ―신석정(辛夕汀)론 / 윤여탁 □ 신석정논문3) 신석정 시에서의 근대성과 노장적 자연인식 / 송기한 □ 신석정논문4) 신석정 초기시의 근대적 자연미와 공동체 의식 / 김옥성 -‘지구’ 이미지를 중심으로 □ 신석정논문5) 1930년대 시에 나타난 ‘지도’ 표상과 세계의 상상 ― 정지용, 임화, 김기림, 신석정의 시를 중심으로 / 강호정 □ 신석정논문1) 신석정 초기 시편에서 본 참여의식과 저항의식 - ‘기존 목가적 서정시인’ 다시 평가 되어야 / 하 재 준 - 1. 머리말 신석정은 1924년 4월 19일 ‘조선일보’에 『기우는 해』시를 ..

목가시인부록9) 신석정(辛夕汀) 세부 연보와 바로알기

■ 부록9) 신석정(辛夕汀) 세부 연보와 바로알기 □ 부록9-1) 신석정(辛夕汀) 시인 세부 연보(年譜) □ 부록9-2) 신석정(辛夕汀) 시인 탄생과 시집 소개 □ 부록9-3) 신석정(辛夕汀) 주요 작품 감상 □ 부록9-4) 석정(夕汀)의 지조와 사랑 그리고 미당의 처신 □ 부록9-1) 신석정(辛夕汀) 시인 세부 연보(年譜) 한국 시 문학사의 거목 신석정 선생님 바로알기(上) 2018.03.17 석정문학관, 강사: 기세원 시인 부안인터넷신문승인 2019.01.07 17 (편집자 주: 석정문학관 연간 사업계획 '석정이야기 들려주기' 에 기세원 시인(부안농협 백산지점장)이 2018.3.17 특강한 내용을 3회로 나눠 소개합니다.) - 1964년생. 전북 부안군 하서면 출생. - 상서초등학교.하서중학교.부안고..

목가시인부록8) 신석정(辛夕汀)을 왜 저항시인이라 하는가?

■ 부록8) 신석정(辛夕汀)을 왜 저항시인이라 하는가? □ 부록8-1) 신석정(辛夕汀) 시인은 누구인가? □ 부록8-2) 신석정(辛夕汀)-“韓醫와 佛典 버리고 詩의 길 열어” □ 부록8-3) 친일에 빠진 서정주, 그를 걱정한 선배 시인 신석정 □ 부록8-1) 신석정(辛夕汀) 시인은 누구인가? 신석정(1907-1974) 시인의 본명은 석정錫正, 관향은 영월寧越이고, 아호는 석정夕汀을 주로 썼다. 구 한말 간재艮齋 전우田愚문하에서 유학을 닦으신 신기온辛基溫과 이윤옥李允玉의 차남으로 1907년 7월 7일 전라북도 부안군 동중리에서 태어났다. 부안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향리에서 한문을 수학하였다. 일찍이 망국의 한에 젖은 시인은 명리보다 시문의 길을 걸었다. 1924년 조선·동아·중앙의 지상에 시를 발표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