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정치·시담록

A life that revolves around the Blue House

이름없는풀뿌리 2015. 9. 30. 12:58

 

A life that revolves around the Blue House

‘I’ve decided to give up all my dreams of a free and easy life as an individual.’ - Park Geun-hye

 

 

 

1. Park as a student at Seongsim Girls’ Middle School 2. Park, left, greets U.S. President Jimmy Carter and his wife as acting first lady in July 1979. 3. Park meets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in Pyongyang in May 2002. 4. Park moves the signboard of the Grand National Party from the old office to a new makeshift tent headquarters in March 2004. 5. Park receives surgery at Severance Hospital in Sinchon, Seoul, after being attacked by a man with a box cutter in May 2006. 6. Park congratulates Lee Myung-bak after he wins the presidential primary in July 2007. [JoongAng Ilbo]

Park Geun-hye was a first-hand witness to some of the most dramatic moments in modern Korean history, from her father’s military coup in 1961 to his assassination in 1979.

After a reclusive 18 years, she entered politics in the aftermath of the foreign exchange crisis of the late 1990s. Now she’s made Korean history yesterday by becoming the first female presidential candidate to represent a major political party.

Born during the 1950-53 Korean War in Samdeok-dong, Daegu, on Feb. 2, 1952, Park was the first child of Park Chung Hee, then an army major and Yuk Young-soo, a daughter of a wealthy family from Okcheon, North Chungcheong. one year after their first daughter was born, the Park family moved to Seoul and settled down in Sindang-dong, eastern Seoul.

Recalling her childhood, Park said she was an enthusiastic reader of the Chinese historical novel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and admired Zhao Zilong in the book. “Come to think of it, he was my first love,” she once said. “Whenever he appeared in the book, my heart beat fast.”

One of the biggest changes in her life came when she was a fourth grader, when her father staged the coup of May 16, 1961. Two years later, he was elected the fifth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she became the eldest presidential daughter.

Her personality is largely influenced by her mother, sources who knew the family said. During her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Park was always ranked at the top of her class. Her IQ was recorded as 127, according to a test conducted when she was in the Sacred Heart Girls’ Middle School.

According to her high school records, teachers said she was “too cautious and mature,” and “quiet due to an overly cautious personality.”

Seo Im-jeong, a classmate of Park for six years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remembered her often bringing meagerly filled lunch boxes. “She didn’t use imported school supplies,” Seo recalled. “When her friends brought cute stationery from Japan, Park didn’t hide her envy.”

In 1971, Park entered Sogang University to major in electrical engineering. It was a new discipline, but Park said she chose the field “to contribute to the industrial advancement of the country.”

“The first lady, Yuk, wanted her to study history, but her conviction was so strong,” said Jeong Jae-hun, who served as the personal secretary to Yuk at the Blue House. “Yuk said many times that she didn’t think Geun-hye would walk the ordinary path of most women.”

When Park was in college, her father amended the Constitution in October 1972 to extend his rule and dramatically increase his power. University students protested. “I became obsessed with studying,” Park has said. “Because everyone knew who my father was, my college life was very limited.” She graduated from Sogang University’s department of science and engineering at the top of her class, recording an average 3.82 grade point average.

In 1974, she went to France to study to eventually become a university professor. only months after studying at the University of Grenoble, she was informed by the Korean Embassy in France that she must return home immediately. At the airport, Park spotted a headline on a newspaper that read “Madam Park, Assassinated.” That was how she learned of her mother’s death.

“It felt like a sharp knife stabbing into my heart deeply,” Park recalled. “I cried nonstop in the airplane on my way back home.”

At the age of 22, Park became the acting first lady of Korea by hosting a volleyball tournament in place of her mother only six days after the funeral. on Nov. 10, 1974, she wrote in her diary, “My most important duty at this moment is showing the nation that my father is not lonely. I decided to give up all my dreams of a free and easy life as an individual.”

For the next five years, she attended events and greeted foreign dignitaries. At the same time, she wanted to know what his critics said and felt.

“After the democratization uprising in Busan and Masan [South Gyeongsang] in 1979, Park played tennis with the members of the Blue House press corps, and the journalists gave no criticism,” Choi Phil-lip, who served as Park’s secretary at the Blue House, said. “She later expressed anger that they were just trying to please her. one week later, she had another session of private talks with them, and journalists gave sharp criticisms of her father. She typed out the issues and briefed her father.”

The darkest shadow for Park as acting first lady was the role of pastor Choi Tae-min. He asked for an interview to meet her shortly after Yuk’s assassination and gave various advice. In 1975, he established the Korea Salvation Mission Association, which became the center of her activities as acting first lady. Choi, however, abused his power through his ties with Park, according to the surveillance records conducted by the Korea Central Intelligence Agency, later reveled during her first presidential bid in the Grand National Party’s primary in 2007. After rumors of power abuse spread, President Park interrogated Choi directly at the Blue House in 1977. Kim Jae-kyu, who assassinated Park Chung Hee in 1979, argued during his appeal trial that the president’s inaction toward Choi’s abuse of power was one of the reasons for his crimes.

On Oct. 26, 1979, Park went to bed early. Around 1:30 a.m., Chief of Staff Kim Kye-won informed her that the president was dead. It is widely known that Park’s first response was, “Is everything okay in the frontline of the inter-Korean border?” Even still, she was extremely shocked by another tragic assassination of a parent.

In November 1979, she left the Blue House and returned to the family’s home in Sindang-dong. Chun Doo Hwan, then chief of army security command, gave 600 million won ($529,000 at today’s exchange rate) to her. It was the remains of her father’s private slush fund.

Little is known about Park’s life in the 1980s. In April 1980, she became head of the board of directors at the Yeungnam University, but stepped down after students protested. In 1982, she became head of the Yukyoung Foundation.

Getting a fair evaluation of her father’s rule was her most important task, especially after his immediate successors treated him as a dictator. After holding a memorial event for the 10th anniversary of her father’s death in 1989, Park wrote in her diary on Dec. 30, “It was a year that I can say all the resentments accumulated over many years were resolved.”

After a power struggle with her younger sister Park Geun-ryeong in 1990, she handed over the leadership of the foundation. “After leaving the foundation, I finally began to live my own life,” she said.

The 1997 foreign exchange crisis was the event that prompted her to enter politics. “After the crisis, one question lingered in my head,” Park said. “I wondered if I would be able to face my parents after I die because I was living a comfortable life while the country was shaken.”

Eight days before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December 1997, Park declared her support for Lee Hoi-chang, then-candidate of the Grand National Party. After the GNP’s presidential defeat, she ran in the legislative by-election in the Dalseong District of Daegu in April 1998 and won in a landslide victory.

She left the GNP and created her own party in February 2002 after conflicts with Lee. The following May, she visited the North and met with Kim Jong-il. At the time, Kim apologized to Park for the failed assassination attempt on Jan. 21, 1968 by North Korean commandos on her father.

She returned to the GNP in November 2002 to support Lee’s second attempt at the presidency. He lost again, and the conservative party faced a crisis over a massive bribery scandal. Park was elected as the party’s chairwoman in March 2004, weeks before legislative elections. She led dramatic reforms and toured the nation to appeal to voters. By winning 121 seats, the GNP managed to survive under Park’s leadership.

In August 2007, Park ran in the party’s presidential primary, but lost to Lee Myung-bak in a close match. Accepting her defeat, she supported Lee’s campaign.

Her relationship with President Lee, however, deteriorated after her loyalists faced brutal purge in the April 2008 legislative election nomination process. “I was fooled, and the nation was fooled,” she said at the time.

In 2009, Park also challenged the Lee administration’s attempt to scrap the Sejong City plan. At her resistance, the government gave up its effort.

The GNP faced another crisis after its Seoul mayoral by-election defeat last year. Park took control over the conservative ruling party once again as an emergency chairwoman. Changing the party’s name to Saenuri Party, she pushed forward vigorous reform measures, and the party managed to win 152 seats in last April’s legislative elections.

Park has never married and lives alone.

By Kim Jung-ha, Ser Myo-ja [myoja@joongang.co.kr]
 
 

관련 한글기사


박근혜, 父사망 듣자마자 한 질문이…놀라워


'18년 은둔' 박근혜 "돌이켜보면 내첫사랑은…"

박근혜 60년 라이프 스토리
교수 꿈꾸다 22세에 퍼스트레이디 … 천막당사 리더십으로 대선주자 대열에


대통령의 큰딸에서 20대 퍼스트레이디. 이어진 18년간의 은둔과 정계 입문. 그의 개인사는 대한민국 정치사와 얽혀 흘러왔다. 1961년 5·16과 63년 박정희 대통령 취임, 74년 8월 15일 육영수 여사 피살, 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서거. 그리고 오랜 공백 뒤 그는 97년 외환위기를 계기로 정치의 한복판으로 들어섰다. 그로부터 15년 뒤 여당의 첫 여성 대통령 후보로 당선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삶은 파란만장한 굴곡을 담고 있다.

◆큰 영애(令愛) 박근혜=박근혜는 6·25전쟁 중인 1952년 2월 2일 대구시 삼덕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박정희는 당시 육군본부 정보국 제1정보과장(소령)이었고 어머니 육영수는 ‘옥천 갑부’로 소문난 육종관의 둘째 딸이었다. 대구에서 태어났으나 두 살 때부터 서울에서 자란 박근혜는 서울 장충초등학교를 다녔다. 새누리당 정몽준 의원도 당시 같은 초등학교를 다녔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삼국지를 탐독했고, 조자룡을 좋아했다. “돌이켜 보건대 나의 첫사랑은 조자룡이 아니었나 싶을 정도로 그가 등장할 때마다 가슴이 두근두근 설렜다”고 했다.

초등학교 4학년 때 5·16을 일으킨 박정희가 2년 뒤 5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박근혜는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큰 영애’로 불리게 됐다. 영애 시절 박근혜의 퍼스낼리티는 검소한 육영수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박근혜와 중·고 6년을 함께 다녔던 친구 서임정은 “근혜는 보리밥에 감자조림 반찬을 자주 싸왔고 외제 학용품이 없었다. 친구들이 일제 학용품을 갖고 오면 ‘예쁘다’며 부러워했다”고 기억했다.

 성심여중·고 시절 박근혜는 줄곧 반에서 1등을 놓치지 않았다. 중2 때 실시한 IQ 검사 결과는 127이었다. 고교 생활기록부엔 호평이 많지만 “지나치게 어른스러움이 흠” “지나친 신중성 때문에 과묵한 편”이란 평가도 있다.

 그는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며 71년 서강대 전자공학과에 입학했다. 청와대 2부속실 비서관을 지낸 정재훈(전 개포중 교장)은 “육 여사는 큰 영애가 사학과에 가길 바랐지만 전자공학을 하겠다는 신념이 워낙 확고했다”며 “육 여사가 ‘근혜가 보통 여인들이 가는 평범한 길을 가지는 않을 것 같다’는 말을 여러 번 했다”고 회상했다. 박근혜는 서강대 이공학부를 수석으로 졸업했고, 4년 평균 학점이 4점 만점에 3.82였다.

◆비운의 퍼스트레이디=74년 대학 졸업 후엔 프랑스 유학길에 올랐다. 교수가 되려는 꿈이었다. 그해 8월 박근혜는 친구들과 여행 도중 대사관 측으로부터 급히 귀국해야 한다는 연락을 받았다. 영문도 모른 채 짐을 챙겨 공항에 갔다가 가판대에 꽂힌 신문 제목을 봤다. ‘Madam Park, Assassinated’(육 여사 암살되다). 어머니의 죽음을 그렇게 알게 됐다. 당시 상황에 대해 박근혜는 “날카로운 칼이 심장 깊숙이 꽂힌 듯한 통증이 몰려왔다”고 했다. 22살의 박근혜는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엿새 뒤부터 퍼스트레이디가 됐다. 그 무렵 그의 일기엔 이런 글이 적혀 있다.

 “지금 나의 가장 큰 의무, 그것은 아버지로 하여금, 국민으로 하여금 아버지가 외롭지 않으시다는 것을 보여드리는 것이다. 소탈한 생활, 한 인간으로서의 나의 꿈, 이 모든 것을 집어던지기로 했다.”(1974년 11월 10일)

그는 유신 정권에서 5년간 퍼스트레이디로서 각종 행사에 참석했고 외국사절을 맞이했다. 이 무렵 그의 어두운 그림자가 최태민(1912~94) 목사다. 최태민은 74년 육영수 여사 사망 직후 박근혜에게 면담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고, 75년 청와대에서 박근혜를 만나 여러 조언을 한 뒤 측근이 됐다. 최태민은 그해 ‘대한구국선교단’(76년 구국봉사단, 78년 새마음봉사단으로 개칭)을 발족했는데, 이게 박근혜 대외 활동의 본산이 됐다.

2007년 한나라당 경선 당시 공개된 중앙정보부의 ‘최태민 수사자료’에 따르면 최태민은 박근혜를 등에 업고 여러 분야에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각종 이권에 개입했고 권력형 비리를 저지른 것으로 돼 있다. 김재규는 10·26 항소이유서에서 자신이 최태민 문제를 대통령에게 보고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은 게 10·26을 일으킨 한 요인이 됐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은둔의 대통령 딸=79년 10월 27일 새벽 1시30분쯤 박근혜는 김계원 대통령 비서실장에게 “각하께서 돌아가셨습니다”라는 말을 들었다. 이때 박근혜가 “전방에는 이상이 없습니까”라고 물었다는 건 잘 알려진 얘기다. 박근혜는 동생들을 데리고 79년 11월 청와대를 나와 신당동 자택으로 돌아갔다. 보안사령관이었던 전두환은 박근혜에게 대통령 유자녀 생계비 명목으로 6억원을 전달했다. 박정희가 쓰다 남은 통치자금이었다.

 여동생 박근령은 “언니는 신당동 거실 한쪽의 아버지가 쓰던 낡은 책상에 앉아 추모 편지에 일일이 답장하는 일로 소일했다. 외출에서 돌아와보면 언니 혼자 ‘TV문학관’ 같은 프로그램을 보면서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고 당시를 기억했다.

 박근혜는 야인 시절 서울시내 한 호텔의 엘리베이터 안에서 박정희 대통령 시절 장관을 지낸 A씨와 마주친 적이 있다. 반가운 마음에 “안녕하셨어요?”라고 인사를 건넸지만 A씨는 대꾸는커녕 엘리베이터에서 내릴 때까지 눈길 한 번 안 주고 있다가 가버렸다. 당시 일기의 한 토막이다.

 “지금 상냥하고 친절했던 사람이 나중에 보니 이(利)에 기가 막히게 밝은 사람이 아니라고 누가 장담할 수 있을까. 덧없는 인간사이다.”(1981년 3월 2일)

80년대 박근혜의 대외 행적은 드러난 게 많지 않다. 주로 육영재단·영남재단·정수장학회 일을 맡았다 놓았다 했다. 80년 4월 박근혜는 박정희가 설립한 영남대 이사장으로 취임했지만 학생들이 반발하자 물러났다. 81년엔 장신대 기독교교육학 대학원을 한 학기 다녔다. 82년 경남기업 신기수 회장의 도움으로 성북동에 집을 얻어 이사했고 그해 육영재단 이사장에 취임했다. 최태민도 이때 육영재단에 다시 합류했다. 그 무렵 사촌오빠 박재홍(11~14대 의원)은 박근혜에게 결혼을 권했으나 박근혜는 “오빠. 이제 그 소린 하지도 마세요”라고 펄쩍 뛰었다.

90년엔 육영재단 이사장직을 동생인 근령에게 넘겼다. 근령을 지지하는 ‘숭모회’가 “최태민 목사가 박근혜 이사장을 배후에서 조종한다”며 분규를 일으키면서다. 박근혜는 “육영재단 운영을 그만둔 뒤부터 비로소 나는 나의 인생을 살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94년엔 정수장학회를 물려받아 운영했다가 2005년 물러났다.

◆정치인 박근혜=박근혜가 정계에 발을 들여놓은 계기는 97년 외환위기였다. 그는 “일련의 사태를 지켜보면서 나 혼자만 편하게 산다면 죽어서 부모님을 떳떳하게 뵐 수 없을 것”이라고 이유를 들었다. 97년 12월 10일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면서 정계에 들어갔다. 이듬해 4·2 재·보선에서 대구 달성에 투입돼 국회의원이 됐다.

 그러나 총재직 폐지, 당권·대권 분리 등을 요구하며 당 총재이던 이회창과 마찰을 빚어 2002년 2월 탈당을 결행하고 한국미래연합을 창당했다. 그해 5월 북한을 방문해 김정일과 단독 면담했다. 당시 김정일은 박근혜에게 북한 특수부대가 청와대를 습격했던 68년의 1·21사태를 거론하며 “극단주의자들이 일을 잘못 저질렀다. 미안하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박근혜는 2002년 11월 한나라당에 9개월 만에 재합류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대선에서 패배했고 뒤이어 차떼기 사건 수사에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 역풍까지 겹쳐 2004년 4월 총선을 목전에 두고 그로기 상태에 빠졌다. 박근혜는 그해 3월 23일 전당대회에서 새 당 대표로 뽑혀 구원투수로 나섰다. 그는 대표 취임 직후 여의도 중소기업전시장 부지에 천막을 치고 당사로 삼았다. 그러곤 전국을 누비며 “진심으로 뉘우치고 반성하겠다”고 호소해 121석을 얻으며 당을 기사회생시켰다. 천막당사는 한나라당 상징물로 기억됐고 박근혜는 차기 대권주자로 부상했다.

그는 3년여 동안 야당 대표를 지내면서 각종 재·보선에서 승리했다. 2006년 5월 20일 박근혜는 서울 신촌로터리 지방선거 유세 도중 오른쪽 뺨이 커터칼에 의해 11㎝나 찢기는 테러를 당하면서도 병원에서 “대전은요?”라고 선거 판세를 물어 지지층을 단결시켰다.

유례없는 대혈전이었던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에서 그는 이명박에게 패했다. 그러나 패배에 승복하고 대선에서 이명박 지원유세에 나섰다. 하지만 둘은 2008년 총선을 앞두고 정면충돌했다. 공천에서 측근들이 대거 낙천하자 정당 사상 유례가 없는, 개인의 이름을 사용한 ‘친박연대’가 등장했다. 이때 박근혜는 “나도 속고 국민도 속았다” “살아서 돌아오라”며 이들을 간접 후원했다. 2011년엔 한나라당이 서울시장 보선 패배로 또다시 수세에 몰리자 박근혜는 당 비상대책위원장을 맡고 당명을 새누리당으로 바꿨다. 비대위와 2012년 총선 공천을 거치면서 당권은 박근혜계로 넘어왔고, 이명박계는 사실상 와해됐다. 정계 입문 15년 동안 그는 과거 3김(金)과 맞먹는 열성 지지층을 가진 ‘정당의 오너’가 됐다. 동시에 비토 그룹의 거부감도 그만큼 강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