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내가본야생화

풀솜대(22/05/10, In dreams / Joseph Mc Manners)

이름없는풀뿌리 2022. 5. 13. 06:36
요즈음 – 풀솜대 – 꺾어다 죽쒀먹던 밥풀이 그리워서 간절한 정성 모아 보살께 빌어보면 흰 이밥 한 사발 정도 나올듯한 기대감 배달9219/개천5920/단기4355/서기2022/05/10 이름없는풀뿌리 라강하 덧붙임) 풀솜대 (1) 박새의 잎처럼 파란 잎에 가려 돋아나다 밥풀때기 붙듯 차례차례 피어난 모습이 먹고살기가 전부이던 때 이밥 한 사발 튀어나올 것 같은 기대감이다. (2) 들풀로 죽쒀먹던 시대 지장보살에 빌어보면 흰 이밥 한사발 나올 것 같은 희망으로 노루귀와 벌깨덩굴이 나온 자리의 여기저기 풀솜대가 밥 한 사발씩 터트리고 있었다. 배달9219/개천5920/단기4355/서기2022/05/10 이름없는풀뿌리 라강하 풀솜대(솜때, 솜죽대, 지장보살, 이밥나물, 偏頭七) 분류 : 식물>단자엽식물>백합과(Liliaceae) 학명 : Smilacina japonica A. Gray var. japonica 북한명칭 : 솜대, 솜죽대, 본초명 : 녹약(鹿藥, Lu-Yao), 편두칠(偏頭七, Pian-Tou-Qi) 풀솜대라는 이름의 유래를 알려면 벼과 왕대속 식물인 솜대(粉竹)를 알아야 한다. 솜대는 새싹이 돋을 때 하얀 가루로 덮여 있어 이를 솜에 비유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풀솜대는 줄기에 흰털이 많이 나 있는 '풀'이 '솜대'를 닮았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다. 풀솜대를 솜때, 솜죽대, 지장보살(地藏菩薩)이라고도 한다. 옛날 기근이 들어 양식이 부족할 때, 특히 절에서는 풀솜대를 뜯어다가 죽을 끓여먹고 배고픔을 이겨냈다고 한다. 그래서 중생들을 구제하는 풀이라는 뜻으로 풀솜대를 지장보살이라고도 불렀다. 지장보살은 모든 중생을 구제하기 전에는 성불하지 않겠다는 서원을 세운 보살이다. 풀솜대로서는 최고의 별칭이라고 할 수 있겠다. 풀솜대의 꽃말은 '나는 당신을 믿습니다'이다. 생육과정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의 그늘 밑에서 자란다. 옆으로 벋는 근경은 지름 4~8mm 정도이고 비스듬히 자라는 줄기는 길이 25~50cm 정도로 위로 갈수록 털이 많아진다. 어긋나는 잎은 5~7개가 2줄로 배열되고 길이 6~15cm, 너비 2~5cm 정도로 긴 타원형이다.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있으나 올라갈수록 없어지며 양면에 털이 있고 특히 뒷면에 많다. 6~7월에 개화하며 복총상꽃차례로 피는 양성화는 백색이고 꽃잎은 길이 4mm, 너비 1.5mm 정도의 긴 타원형이다. ‘민솜대’와 달리 잎에 잎자루가 있다. 봄에 어린순을 삶아 나물로 먹거나 데쳐서 쌈으로 먹는다. 다른 산나물과 섞어 무쳐 먹기도 하며 튀김, 볶음으로 먹기도 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목초나 녹비로 이용하기도 한다. ‘솜대’ 또는 ‘지장나물’이라고 하기도 한다. 유사종으로 왕솜대는 잎의 길이가 15cm정도이고 폭이 6-10cm이다. 특성 단자엽식물(monocotyledon), 다년생초본(perennial herb), 포복형식물과 직립형식물(creeping and erect type), 야생(wild), 약용(medicinal), 식용(edible), 관상용(ornamental), 사료(forage), 녹비식물(green manure plant) 적용증상 및 효능 根莖(근경) 및 根(근)을 鹿藥(녹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 약효 : 補氣(보기), 益腎(익신), 祛風(거풍), 除濕(제습), 活血(활혈), 調經(조경)의 효능. 노상, 偏(편), 正頭痛(정두통), 風濕(풍습)에 의한 疼痛(동통), 타박상, 乳癰(유옹-화농성 유선염), 월경불순을 치료한다. ③ 용법/용량 : 9-15g을 달이거나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즙으로 바른다. 또는 뜨겁게 하여 환부에 댄다. 풀솜대의 유사종에는 왕솜대(Large false solomon's seal), 민솜대(Smooth solomon's seal), 자주솜대(Purple-flower solomon's seal) 등이 있다. 왕솜대(Smilacina japonica var. mandshurica Maxim.)는 잎의 길이가 15cm 정도이고, 폭이 6~10cm이다. 풀솜대보다 잎이 더 넓적하다. 민솜대(Smilacina dahurica Turcz. ex Fisch. & C.A.Mey.)는 강원도 이북에 분포한다. 잎은 길이 10cm, 폭 2.5~6cm로서 양끝이 좁으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진다. 잎 표면은 털이 없으며, 뒷면은 맥 위와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다. 자주솜대(Smilacina bicolor Nakai)는 지리산 반야봉 정상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강원도, 전북, 경남북, 경기도 광릉, 북한 지역 등에 분포한다. 풀솜대에 비해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잎은 길이 6~11cm, 폭 2.5~5cm이다. 멸종 위기 식물이다. 풀솜대(지장보살, 이밥나물) 효능 지장보살 또는 이밥나물로도 불리우는 풀솜대를 만나러 갔다. 풀솜대는 북향 그늘진 곳에 잘자라는 식물인데 보통 군락을 있는 경우가 많아서 한곳을 알아두면 두고두고 채취할 수 있다. 풀솜대는 먹고 살기 어려웠던 시절 보릿고개를 넘기게 도와준 나물이어서 서민을 구했다고 해 지장보살과 같은 풀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는 봄나물이다. 풀솜대는 꽃이 올라오지 않는 어린 잎 전체를 채취하여 식용하는데 줄기나 잎을 끓는 물에 살짝 데쳐 찬물에 씻어 무쳐 먹는다. 풀솜대의 꽃봉우리는 둥굴레와 닮았지만 꽃을 보면 둥굴레가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몸에 잔털이 많다. 품솜대를 하얀 꽃이 피는데 꽃이 필 때 그 모습이 마치 이밥(쌀밥)이 달린 것 같아 보인다고해서 이밥나물이라고도 불린다. 멀리서 보면 둥글레와 같은 모습이다. 이렇게 꽃이 피지않 은 풀솜대를 톡톡 뽑아 채취한 다음 나물로 이용하는데 독특한 향과 담백한 맛을 즐길 수 있는데 살짝 쓰지만 씹을수록 단맛이 올라오는 맛있는 나물이다. 무친후 마지막엔 참기름을 넣어주면 더 맛있게 먹을 수 있다. 풀솜대는 여성 질환에 좋은 효능을 내는데 대표적으로 생리 불순과 같은 여성 질환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몸이 허약한 사람에게 신진대사 기능을 회복시켜 주기 때문에 자양강장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풀솜대이다. 뿌리를 약으로 사용하는데 뿌리는 둥글레와도 비슷하다. 풀솜의 뿌리 옆의 풀솜대와 뿌리가 연결 되어 있다. 뿌리는 둥굴레와 비슷한데 1년에 한마디씩 자라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녹약이라 하여 늦여름, 가을에 채취 후 양지에서 건조하여 탕제로 복용하는데 주로 진통, 사지마비, 생리불순, 활혈 등의 질환 치료제로 사용한다. 외용제로 사용할 때는 짓찧어 환부에 붙이면 종기, 타박상에 좋은 효과가 좋다고 한다. 또한 염증 반응을 억제 하는 효과가 있음이 근래에 밝혀져 있는 만큼 풀솜대는 산화적 스트레스가 감소시켜 염증 반응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풀솜대 무침 팁 풀소대를 살짝 데친후 1.독특한 향과 단맛을 즐길 수 있게 일체의 양념을 넣지 않고 소금으로 만 간하여 먹는다. 2.취향에 따라 들기름이나 참기름을 더 하여 먹습니다. In dreams, For You 20070117 / Joseph Mc Man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