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지혜를 마음대로 부리지 않는다[不自任其知]
임괘(臨卦)의 육오(六五) 효사에, ‘지혜 구본(舊本)에는 지(知)자가 빠짐. 로 임한다. 대군의 마땅함이니 길하니라.’ 하였다.
대체로 한 사람의 몸으로 넓은 천하에 임하여 만약 구구하게 스스로 도맡아 하려고 한다면, 어찌 온갖 일에 두루 미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그 지혜대로만 하려고 하면 지혜롭지 못하게 되기 알맞고, 오직 천하의 선(善)을 취하고 천하의 총명한 사람을 임용하여야만 두루 되지 않는 바가 없는 것이니, 이래서 그의 지혜대로 하려고 하지 않으면 그 지혜가 커지는 것이다.
육오(六五)는 강단지고 중정한 어진 이를 순응하며 임용하여 아랫사람들에게 임하게 하는 것이, 곧 자신이 밝은 지혜로 천하에 임하는 것으로 대군(大君)의 마땅히 할 일이니, 그 길한 것을 알 수 있다.
不自任其知
臨六五。知 舊本脫知字 臨。大君之宜。吉。夫以一人之身。臨乎天下之廣。若區區自任。豈能周於萬事。故自任其知者。適足爲不知。惟能取天下之善。任天下之聰明。則無所不周。是不自任其知。則其知大矣。五順應剛中之賢。任之以臨下。乃己以明知臨天下。大君之所宜也。其吉可知。
'09 정도전 三峯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393)정도전 삼봉집 제12권/경제문감 별집 하/의논(議論/사람들이 자신을 봉양하여 주는 것을 힘입어 (0) | 2018.01.26 |
---|---|
392)정도전 삼봉집 제12권/경제문감 별집 하/의논(議論/악을 방지하는 도리는 그 근본을 알고 (0) | 2018.01.26 |
390)정도전 삼봉집 제12권/경제문감 별집 하/의논(議論)/위엄과 덕이 아울러 드러나야 한다[威德並著] (0) | 2018.01.26 |
389)정도전 삼봉집 제12권/경제문감 별집 하/의논(議論)/인군은 믿음으로써 아랫사람을 접하고 (0) | 2018.01.26 |
388)정도전 삼봉집 제12권/경제문감 별집 하/의논(議論)/천하의 비색을 휴지한다[休息天下之否] (0) | 2018.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