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비보다 앞선 3세기 고구려碑 공개 (서울신문 임창용기자 sdragon@seoul.co.kr 기사일자 : 2005-04-12) | ||||
그동안 한국 고대사 연구의 공백기로 남아 있는 3세기 고구려의 역사적 내용을 기술하고 있는 벽비(壁碑)가 나와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문제의 벽비는 1930년대 평양 인근에서 출토된 것을 한 개인이 소장해온 유물로, 한국토지공사 설립 30주년을 기념해 토지박물관이 14일부터 개최하는 특별전에 선보이는 ‘동천왕 11년명’비다. 네모 모양의 점토판 표면에 290여자의 글씨를 새긴 후 구리 가루를 홈에 채워넣고 불에 구운 것으로, 벽에 걸 수 있도록 구멍을 뚫어 놓았다.
고어체 한자와 지금은 쓰이지 않는 한자가 포함되어 있고, 문장 구성이 한문과 달라 판독에 어려움이 있지만 도판 내용은 대체로 동천왕 11년(237년)을 전후한 시기의 역사적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이는 414년 세워진 광개토왕비보다도 1세기 반 이상이나 앞선다. 특히 고구려와 위나라의 관계와, 동천왕 사후 관구검이 침입하는 사건의 배경과 전쟁의 추이를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등 벽비의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는 게 박물관측의 설명이다. 또 비에 등장하는 졸본(卒本)을 비롯한 부내성(不耐城), 위나암성(尉那巖城) 등의 지명이 관구검의 기공비(紀功碑)에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앞으로 이 벽비의 연구결과에 따라 관구검의 고구려 침입에 대한 부족한 내용을 보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벽비는 이두(吏頭), 백수(百殊)와 같은 고유명칭 등 3세기 고구려시대의 문자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당시의 문자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고대사 연구 획기적 사료 박물관측은 “한국 고대사 분야 및 고고학·한학 등 각 분야별 전문가 20여명의 자문을 받고, 연대 측정과 3D 스캔 등 각종 과학적 분석을 병행한 결과 이 벽비는 고구려 시기에 제작된 진품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서울대 국사학과 노태돈 교수는 “너무나 충격적인 유물이기 때문에 진위 여부 판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며 “만약 진품으로 밝혀질 경우 한국 고대사 학계에 엄청난 파장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
'11과학적인韓國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하교수 역사 강의실] (0) | 2015.08.13 |
---|---|
신라 주령구 (0) | 2015.08.13 |
(71) 한국인의 얼굴 형태 변화에 대한 고찰 (0) | 2015.08.13 |
(70) 조선시대의 과학적인 수사와 인권 (0) | 2015.08.13 |
(69) 한국풀 순장바둑의 고찰 (0) | 2015.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