詠井中月(영정중월) 우물에 뜬 달 李奎報(이규보)
山僧貪月色(산승탐월색) 산승이 아름다운 달빛을 탐하여,
幷汲一甁中(병급일병중) 물동이에 물과 함께 길어 왔다네.
到寺方應覺(도사방응각) 산사에 도착하여 문득 깨달아,
甁傾月亦空(병경월역공) 물동이 기울이자 달 역시 비워졌네.
이규보(1168~1241) 고려중기의 대표적 문장가로서, 본관은 여주, 자는 춘경, 호는 백운거사. 시호가 문순공이다.
고려 중기 그 엄혹했던 무신집권시대를 산 대표적 문신으로, 여진, 거란, 몽고등 북방 이 민족의 계속되는 침탈에 우리민족 고유의 정신을 문학으로 정화시키고, 민족역사 정립에 힘 기울인 대 문장가이다.
그의 문집(동국이상국집)에 수록된 서사시“동명왕편”은 지금의 우리에게도 커다란 역사적 자부심과 문학작품으로 남아 우리 모두의 자긍심이 되고 있다.
주1)방응: 문득, 때 마침.
어찌 보면 대단히 유치하기까지 한 동시 같은 시이다.
산에서 수도하는 어느 산승이 밤중에 물 길러 우물에 갔다가 달빛이 하도 고아, 물동이 속에 달을 담아 와서는 , 산사에 도착하여 물동이의 물을 비웠더니 달 또한 사라졌더라.
하는 아이들 동시 같은 천진난만한 시 같지만 가만히 들이다 보면 그리 만만한 시가 아님이 감지된다.
달빛, 이는 불가(佛家)에서는 진리를 표상할 때 때때로 차용해 쓰는 표현이다.
물동이 병(甁), 호리병, 가끔씩은 어디에선가 누구가로부터 들어 봤음직한 호리병속의 새……. 깨우침, 구도의 완성을 의미 하곤 한다.
한데, 진리를 얻었다고, 득도를 했는 바라 생각 했는데, 산사로 돌아와 문득, 생각해보니 과연, 그랬는가 싶은 것이다. 진리가 사라지고 없는 것이다.
불가(佛家)에서 말하는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을 이 시에서는 각 구의 끝 자인 색중각공(色中覺空)으로 표현했다.
이쯤 되면 천진난만함이 곧 심오한 득도의 경지와 그리 먼 관계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챘다고 한다면 하여, 이 시가 의미 한 바를 어느 정도 이해했다고 한다면 이 또한 亦空인가?
감사합니다.
'12漫遊의漢詩紀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사(秋史)의 망부가(亡婦歌) (0) | 2015.08.13 |
---|---|
"두자미(杜子美)의 봄" 은 가고.... (0) | 2015.08.13 |
栗谷의 "浴沂辭" (0) | 2015.08.13 |
피 눈물로 쓴 시 (0) | 2015.08.13 |
닭 백숙 파티! (0) | 2015.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