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터리풀



단풍터리풀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
|
학명 |
|
Filipendula glaberrima |
분류 |
|
장미과 |
|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전체에 거의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서며 가늘고 길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손바닥 모양으로서 3∼7개로 날카롭게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바소꼴로서 끝이 날카로우며,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겹톱니가 있고 길이와 나비 약 20cm이다. 잎자루에는 크고 작은 깃꼴 작은잎이 서로 어긋나게 늘어선 것이 6쌍인데, 이것이 없거나 흔적만 남은 것도 있다. 턱잎은 바소 모양의 긴 타원형이다.
꽃은 6∼8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취산상(聚揀狀) 산방꽃차례로 줄기와 가지 끝에 달리며 여러 개의 작은 꽃이 모여난다. 꽃받침조각은 달걀 모양으로서 끝이 뭉뚝하며, 꽃잎은 4∼5개이고 둥근 모양이다. 수술은 여러 개이며 꽃잎보다 길게 난다. 꽃실은 실 모양이고 심피는 대개 5개이며 서로 떨어진다.
열매는 삭과(殼果)로서 달걀 모양 타원형이고 9∼10월에 익으며 가장자리에 털이 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어린 잎은 식용한다. 한국 특산종으로서 경상남도·경상북도·경기도·강원도 등지에 분포한다.
터리풀
김종태
배우는 것보다 청소하기가 더 즐거웠던 초등학교 시절
총채를 들고 먼지를 털면서 늘 궁금했다
풀풀 날리는 먼지가 결국은 도로 바닥에 앉을 텐데
총채를 닮아서 터리개란 뜻으로 이름이 붙은 터리풀
산들바람 불 때마다 너는 꿏술을 휘날리며
먼지가 아닌 네 향기를 털어내겠지만
나는 오늘 이 터리개로 너를 털어보고 싶다
자존심 우르르 똥고집 우르르 열등감 우르르
그러다가 문득 깨닫는다
나를 털면 무엇이 나올까?
자존심 우르르르 똥고집 우르르르 열등감 우르르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