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렴정 명의 후설[景濂亭銘後說]
겸부(謙夫) 탁(卓) 선생 탁광무(卓光茂) 이 광주(光州) 별장에 못을 파서 연꽃을 심고, 못 가운데에 흙을 쌓아 작은 섬을 만들어 그 위에 정자를 짓고 날마다 오르는 것으로 즐거움을 삼았다. 익재(益齋) 이 문충공(李文忠公 이제현(李齊賢)을 말함)이 그 정자를 경렴(景濂)이라고 이름하였는데, 이는 대개 염계(濂溪)주돈이(周敦頤)의 호 의 연꽃을 사랑하는 뜻을 취하여 그를 경앙(景仰)하고 사모하고자 한 것이리라.
대저 그 물건을 보면 그 사람을 생각하고, 그 사람을 생각하면 반드시 그 물건에 마음을 쓰게 된다. 이것은 느낌이 깊고 후하기가 지극한 것이다.
일찍이 말하기를, ‘옛사람에게는 각기 사랑하는 화초가 있었다.’ 한다. 굴원(屈原)의 난초와, 도연명(陶淵明)의 국화와 염계의 연꽃이 그것으로 각각 그 마음에 있는 것을 물건에 붙였으니, 그 뜻이 은미하다 하겠다. 그러나 난초에는 향기로운 덕이 있고, 국화에는 은일(隱逸)의 높은 것이 있으니 그 두 사람의 뜻을 볼 수가 있다. 또 염계의 말에, ‘연꽃은 꽃 중의 군자다.’ 하고 또 이르기를, ‘연꽃을 나처럼 사랑하는 이가 어떤 사람인가?’ 했다. 대개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남과 함께 하는 것은 성현의 용심이며, 당시 사람들이 알아주는 이가 없는 것을 탄식하고 뒤에 오는 무궁한 세상을 기다렸으니, 진실로 연꽃의 군자됨을 알면 염계의 즐거움을 거의 얻게 될 것이다. 그러나 물건을 인하여 성현의 낙을 아는 것이 어찌 쉬운 일이겠는가?
황노직(黃魯直)이 이르기를, ‘주무숙(周茂叔 염계의 자)의 흉중은 쇄락(灑落)하여서 맑은 바람과 갠 달 같다.’고 하였다.
정자(程子)는 이르기를, ‘주무숙을 본 뒤로, 매양 중니(仲尼)와 안자(顔子)의 즐거운 곳과 즐거워하는 것이 무슨 일인가를 찾게 되었다. 그 뒤로부터는 풍월(風月)을 읊으며 돌아오는 것이 「나는 증점(曾點)을 허여한다.」는 뜻이 있었다.’고 하였다.
여기에서 도전은 혼자 생각하건대, 염계를 경앙하는 방법이 있으니 모름지기 쇄락한 기상을 알아 얻고, ‘증점을 허여한다.’ 하는 뜻이 있은 연후에야 그 경지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문충공(文忠公)이 명(銘)하기를,
발 걷고 꿇어앉으니 / 鉤簾危坐
풍월이 가이없네 / 風月無邊
라고 하였으니, 이 한 구절은 옛사람이 단정한 공적인 안문(案文)이다. 어떻게 해야 그 정자에 한 번 올라 겸부(謙夫)와 같이 참여할 것인지 모르겠다.
景濂亭銘後說
謙夫卓先生 光茂 於光州別墅。鑿池種蓮。築土池中爲小島。構亭其上。日登以樂。益齋李文忠公命其亭曰景濂。蓋取濂溪愛蓮之義。欲其景慕之也。未見其物則思其人。思其人則必於其物致意焉。感之深而厚之至也。嘗謂古人之於花草。各有所愛。屈平之蘭。陶潛之菊。濂溪之於蓮是也。各以其中之所存。而寓之於物。其意微矣。然蘭有馨香之德。菊有隱逸之高。則二子之意可見。且濂溪之言曰。蓮。花之君子也。又曰。蓮之愛。同予者何人。夫以其所樂。與人共之。聖賢之用心也。而嘆時人之莫己知。以俟後來於無窮。苟知蓮之爲君子。則濂溪之樂。庶乎得矣。然因物而得聖賢之樂。亦豈易言哉。黃魯直曰。周茂叔胸中灑落。如光風霽月。程子曰。自見周茂叔。每令尋仲尼顏子樂處所樂何事。自是唫風詠月。以歸有吾與點也之意。道傳私竊以爲景濂有道。須要識得灑落氣象。有與點之意。然後可以言至。文忠公之銘曰。鉤簾危坐。風月無邊一句。截斷古人公案。安得一登其亭。與謙夫同參。
'09 정도전 三峯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7)정도전 삼봉집 제4권 / 설(說)/금남 야인(錦南野人) (0) | 2018.01.24 |
---|---|
276)정도전 삼봉집 제4권 / 설(說)/농부에 답함[答田夫] (0) | 2018.01.24 |
274)정도전 삼봉집 제4권 / 설(說)/무열산인 극복루기 후설(無說山人克復樓記後說) (0) | 2018.01.24 |
273)정도전 삼봉집 제4권 / 설(說)/이호연의 명자 후설[李浩然名字後說] (0) | 2018.01.24 |
272)정도전 삼봉집 제4권 / 기(記) /청석동 연음기(靑石洞宴飮記) (0) | 2018.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