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 성안길18(頌壽塔송수탑) –
一生의 明과 暗이 묻어서 없어질까?
파내어 드러내면 알아서 할터인데
감추고 비틀으라고 목숨을 걸었던가?
배달9222/개천5923/단기4358/서기2025/04/13 이름없는풀뿌리 라강하
* 頌壽塔송수탑 : 수어장대 서편에 있는 대통령 이승만(李承晩, 1875~1965) 박사의 만수무강을 기원
하는 塔址. 송수탑은 이 대통령의 80회 탄신을 기념하여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로 1955년에 세워졌는
데 높이 8m의 석탑으로 대통령의 상징인 서조봉황으로 장식되어 있고 탑신에는 세로로 "대통령 리승
만 박사 송수탑"이라고 쓰여 있었다. 1955.6.15 당시 경기도지사 이익홍 주관하에 수어장대 앞에서
각계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대통령의 80번째 생일을 축하하는 대통령 이승만 박사 송수탑 제막식이
거행된바 있다. 송수탑의 위치는 청량산 정상부의 서쪽에 있는 성곽이 옹성처럼 둥글게 굽어 있는 언
덕이며 높은 시멘트 계단이 있어 쉬이 확인된다. 현재 계단을 올라서면 둘레에 경계석이 있고 그 중
앙에 탑이 올려져 있던 원형의 하부석이 있다. 1960년 4.19혁명이 나면서 송수탑은 철거되어 탑신은
바로 옆의 공터에 묻혔고 봉황청동상은 따로 분리되어 공원 측에서 보관하고 있다가 분실하였다.
덧붙임)
성안길18(수어장대 頌壽塔송수탑)
(1)그의 明과 暗
이승만(1875-1965) 대통령!
미국 귀화 거부 그리고 독립운동,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반공주의 국가 건국,
농지개혁 및 산림녹화 정책,
평화선 설정, 대마도 독도 영유권주장등 대일 자주외교,
한미 상호방위조약으로 경제부흥 및 안보에 기여,
인하공대 설립등 교육 확산,
공업화 노력, 영암선철도 개통 및 광업부흥, 원자력 기초, 종합경제부흥계획...
장기집권 독재체재구축,
측근들의 지나친 개인 숭배 정책,
지나친 친미,
친일인사 미정리로 인한 부정부패 심화...
(2)頌壽塔송수탑
누구든 일생에 明과 暗이 있겠지만
건국대통령으로서 혁혁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80세 老대통령으로서
생신기념 마스게임, 마라톤대화등
전체주의 국가에서나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이 있었던 흔적은
4.19 이후 쓰러트리고 땅 속에 묻어버렸다니 그나마 다행이라고 하여야 하나?
다시 복구하고자 하는 논의는 그래서 아둔한 일일까?
하지만 송수탑 자리에 설명문이라도 설치하여 두면 좋으련만...
아무런 설명도 하지않는 빈 터일뿐.
옹색한 이 나라의 상처받은 국민들인 방문객들은
송수탑 자리인지 아는지 모르는지
城下의 동네 사람들 체력단련장으로
줄넘기와 청소용 빗자루 몇 개
송수탑 좌대에 숨겨져 있는 서글픔이 있을 뿐이다.
배달9222/개천5923/단기4358/서기2025/04/13 이름없는풀뿌리 라강하
1) 송수탑 위치도
2) 진달래와 춘설이 어우러진 남문(06:40)
3) 서암문(제6암문)과 송수탑 오르는 계단(07:00)
4) 수원에서 송수탑까지 이승만박사 탄신기념 75.6km마라톤 종점인 송수탑 계단
5) 옛 사진 대조 결과 ②③이 원 좌대이며 인근 땅에 묻힌 탑신을 제거하고
① 탁자형 테이블을 올려 놓았다고 추론해 본다(전문가 고증 필요)
5_1) 1955.6.15. 건립하고 4.19이후 1961.2 탑신이 철거되어 수어장대 인근에 묻히고 좌대만 남아있
다.좌대 아래 잘 살펴보면 빗자루 몇 개가 숨겨져 있다.
6) 송수탑지에서 내려다 본 하산길
7) 송수탑지의 전나무(수어장대 옆 이박사 기념식수와 수령이 같게 보임)
7_1) 1912년 개교, 해공 신익희 母校인 유서 깊은 남한산초등학교 정문의 전나무(23/07/20 촬영)
8) 전나무가 지켜주는 송수탑지 원경
9_1) 남한산성 서장대에 세워졌던 '이승만 송수탑'.
꼭대기에 청동으로 만든 봉황새를 올린 것으로 조각가 윤효중이 제작했다.
9_2) 이승만 대통령 송수탑. (사진=국가기록원 소장)
9_3) 남한산성 이승만 대통령 송수탑. (사진=국가기록원 소장)
10) 청량당 향나무
11) 守禦將臺수어장대(07:10)
12) 守禦西臺수어서대 각인명 매바위(이회 장군 전설)
13) 이승만박사 기념식수 전나무가 호위하는 영조作 무망루閣
14) 4월의 춘설에 쌓인 청량산
15) 행궁(07:40)
16) 흰색(25/04/11, 행궁-침괘정-수어장대-서문-북문-행궁) 청색(25/04/13, 행궁-송수탑-국청사-행궁)
L'orphelin / T. S N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