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남한산성(황동혁 감독, 김훈 원작, 제작비155억, 관객385만, 2017년)에서 - □ 병자호란(丙子胡亂)을 통해 본 주화(主和)와 척화(斥和)의 논리 병자호란(丙子胡亂)을 통해 본 주화(主和)와 척화(斥和)의 논리 지 교 헌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대학원 명예교수) 차 례 1. 머리말 2. 병자호란의 경과와 귀추 3. 주화의 논리(최명길) 4. 척화의 논리(홍익한 윤집 오달제 김상헌) 5. 맺는 말 1. 머리말 잘 알려지고 있는 바와 같이 중국의 명(明)나라와 청(淸)나라는 조선시대의 중요한 국제적 외교문제를 야기하게 하였으며 전쟁이 발발하기에 이르기도 하였다. 중국의 북방에 활거하던 여진족 누루하치(奴爾兒赤)가 건국한 후금(後金)의 태종(太宗,皇太極)은 1627년(인조5년)에 조선을 침입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