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漫遊의漢詩紀行

가을 농가

이름없는풀뿌리 2015. 8. 13. 10:28

田家(전가)                           가을 농가            朴趾源(박지원)



老翁守雀坐南陂(노옹수작좌남피)             노인네는 참새 지킨다고 언덕에 앉아있고,

粟拖狗尾黃雀垂(속타구미황작수)             개꼬리 조 이삭엔 참새 매달렸다.

長男中男皆出田(장남중남개출전)             큰아들 작은아들 모두 밭에 나가고,

田家盡日晝掩扉(전가진일주엄비)             농가의 사립은 온 종일 닫혀있다.

鳶蹴鷄兒획不得(연축계아획부득)             소리개는 병아리를 채려다 못 챘는지,

群鷄亂啼匏花籬(군계난제포화리)             박꽃 핀 울타리 아래 놀란 닭들 요란하다.

小婦疑渡溪(소부대권의도계)             함지인 며느리는 조심조심 내 건너고,

赤子黃犬相追隨(적자황견상추수)             벌거숭이 아이와 누렁이 그 뒤를 따른다.



박지원(1737~1805):조선후기의 실학자, 소설가, 시인. 서울출신. 본관은 반남. 자는 중미(仲美)이고 호가 연암(燕巖)이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조부 슬하에서 생장했다. 과거에 뜻을 두었으나 실패하고 더구나 서인 벽파에 속했던 연암인지라 정조 초(1777년) 권신 홍국영이 득세하면서 벽파에 대한 대대적 숙청작업을 피해 황해도 금천(金川) 연암협(燕巖陜)으로 피신 독서로 소일했다.

정조 4년(1780년) 친족 형인 박명원이 진하사 겸 사은사로 청나라에 갈 때 동행하여 그 때본 청나라의 신문물과 기술이 자신의 안목을 넓히는 계기가 됐고, 귀국하여  기행문 열하일기(熱河日記)를 통해 청나라의 신문물과 기술, 문화를 소개하면서 당시의 조선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 걸친 광범위한 비판과 개혁을 논 하였다.

그 후 연암은 실질적인 북학파의 영수로 이덕무, 박제가, 유득공, 이서구 등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정신적 지주가 되면서 이용후생의 실질적 학문과 당시의 양반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을 그의 자유기발한 문체로 구사하여 여러 편의 한문소설을 발표 오늘날까지 읽혀지는 스테디 셀러가 되었다.

저서로 연암집(燕巖集) 등이 있다.

*획: 잡을 획(手+艸+隻).
권: 나무그릇, 함지 권(木+卷)

주1)속타: 늘어진 조 이삭.

2)계아: 병아리.

3)포화: 박꽃.

4)소부: 며느리.

5)적자: 벌거숭이 어린아이.


재기발랄한 연암의 문체와 가을 농가의 평화스러움이 한꺼번에 눈앞에 나타나 우리를 더없는 행복으로 끌고 가는 아름다운 시이다.

첫머리에 그 시골 농가의 좌장인 노인네는 이제 일할 기력은 다하여 부지깽이도 거든다면 도움을 받겠다는 가을의 농가에서 햇빛 따사로이 쏟아지는 남녘 텃밭 옆 나무그늘에 앉아 조 이삭 쪼으로 오는 참새 지킨답시고 앉아 있으나 산들 한 가을 바람에 그만 깜박 깜박 잠들어 누렁이 개꼬리 같은 조 이삭은 참새들의 찬치 상이 되어있고,

큰아들 작은아들 모두 할 것 없이 논밭에 나가 추수에 여념이 없는지라 농가의 사립은 진종일 닫혀 있다.

쪽빛 가을하늘 높이 날던 솔개는 뒤 담 박꽃 올망졸망 피어있는 울타리 밑의 병아리를 발견하곤 창공을 가르면서 낚아챘으나 그만 실패 하였는지 어미닭 구구소리가 인적 없는 농가의 적막을 깬다.

고개를 돌려 집 앞을 흐르는 맑은 개울을 보니 이집의 주부 며느리는 새참을 내가는지 큼직한 함지를 머리에 이고 조심조심 시내를 건너고 있고, 그 뒤를 천둥벌거숭이 어린 아들놈이 고추를 딸랑이며 누렁이와 같이 그 뒤를 쫒는 것이 한눈에 보인다.

너무 아름다운 광경이라 눈 앞이 아득해 온다.

감사합니다.

'12漫遊의漢詩紀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떠나가는 杜甫  (0) 2015.08.13
산촌의 가을 저녁  (0) 2015.08.13
시냇가에 살며  (0) 2015.08.13
낚시 드리운 소년  (0) 2015.08.13
두보의 여름  (0) 2015.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