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아름다운 문학

<김현승> 가을의기도/아버지의마음/눈물/파도/플라타너스

이름없는풀뿌리 2023. 10. 2. 07:53
가을의 기도 - 김현승 / <김현승 시초>(1957) - 가을에는 기도하게 하소서 … 낙엽들이 지는 때를 기다려 내게 주신 겸허한 모국어로 나를 채우소서. 가을에는 사랑하게 하소서 … 오직 한 사람을 택하게 하소서 가장 아름다운 열매를 위하여 이 비옥한 시간을 가꾸게 하소서. 가을에는 호올로 있게 하소서 … 나의 영혼, 굽이치는 바다와 백합(百合)의 골짜기를 지나, 마른 나뭇가지 위에 다다른 까마귀 같이. 아버지의 마음 - 김현승 / <절대 고독>(1970) - 바쁜 사람들도 굳센 사람들도 바람과 같던 사람들도 집에 돌아오면 아버지가 된다. 어린 것들을 위하여 난로에 불을 피우고 그네에 작은 못을 박는 아버지가 된다. 저녁 바람에 문을 닫고 낙엽을 줍는 아버지가 된다. 세상이 시끄러우면 줄에 앉은 참새의 마음으로 아버지는 어린 것들의 앞날을 생각한다. 어린 것들은 아버지의 나라다 아버지의 동포(同胞)다. 아버지의 눈에는 눈물이 보이지 않으나 아버지가 마시는 술에는 항상 보이지 않는 눈물이 절반이다. 아버지는 가장 외로운 사람이다. 아버지는 비록 영웅(英雄)이 될 수도 있지만……. 폭탄을 만드는 사람도 감옥을 지키던 사람도 술가게의 문을 닫는 사람도 집에 돌아오면 아버지가 된다. 아버지의 때는 항상 씻김을 받는다. 어린 것들이 간직한 그 깨끗한 피로……. 눈물 - 김현승 / <김현승 시초>(1957) - 더러는 옥토(沃土)에 떨어지는 작은 생명이고저……. 흠도 티도, 금가지 않은 나의 전체는 오직 이뿐! 더욱 값진 것으로 드리라 하올 제, 나의 가장 나아종 지닌 것도 오직 이뿐. 아름다운 나무의 꽃이 시듦을 보시고 열매를 맺게 하신 당신은 나의 웃음을 만드신 후에 새로이 눈물을 지어 주시다. 파도 - 김현승 / <견고한 고독>(1968) - 아, 여기 누가 술 위에 술을 부었나. 잇발로 깨무는 흰 거품 부글부글 넘치는 춤추는 땅 - 바다의 글라스여. 아, 여기 누가 가슴을 뿌렸나. 언어는 선박처럼 출렁이면서 생각에 꿈틀거리는 배암의 잔등으로부터 영원히 잠들 수 없는, 아, 여기 누가 가슴을 뿌렸나. 아, 여기 누가 성(性)보다 깨끗한 짐승들을 몰고 오나. 저무는 도시와 병든 땅엔 머언 수평선을 그어 두고 오오오오 기쁨에 사나운 짐승들을 누가 이리로 몰고 오나. 아, 여기 누가 죽음 위에 우리의 꽃들을 피게 하나. 얼음과 불꽃 사이 영원과 깜짝할 사이 죽음의 깊은 이랑과 이랑을 따라 물에 젖은 라일락의 향기 저 파도의 꽃 떨기를 7월의 한 때 누가 피게 하나. 플라타너스 - 김현승 / <초하호>(1953) - 꿈을 아느냐 네게 물으면 플라타너스 너의 머리는 어느덧 파아란 하늘에 젖어 있다. 너는 사모할 줄을 모르나 플라타너스 너는 네게 있는 것으로 그늘을 늘인다. 먼 길에 오를 제 홀로 되어 외로울 제 플라타너스 너는 그 길을 나와 같이 걸었다. 이제, 너의 뿌리 깊이 나의 영혼을 불어 넣고 가도 좋으련만 플라타너스 나는 너와 함께 신(神)이 아니다! 수고로운 우리의 길이 다하는 어느 날 플라타너스 너를 맞아 줄 검은 흙이 먼 곳에 따로이 있느냐? 나는 오직 너를 지켜 네 이웃이 되고 싶을 뿐 그곳은 아름다운 별과 나의 사랑하는 창이 열린 길이다. * 김현승(金顯承,1913~1975) 1913 광주 출생 1934 숭실전문 재학중 교지에 투고했던 시 <쓸쓸한 겨울 저녁이 올때 당신들>이 양주동의 추천으로 동아일보에 발표, 등단 1951 광주 조선문리대 졸업 1975 별세 〈가을의 기도〉를 비롯한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한 시를 많이 썼다. 호는 다형(茶兄)·남풍(南 風). 제주도와 광주에서 어린시절을 보내고 1926년 전남 광주의 숭실학교 초등과를 마쳤으며 평양 숭 실중학교를 거쳐 1932년 숭실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했다. 1934년 장시 〈쓸쓸한 겨울 저녁이 올 때 당 신들은〉·〈어린 새벽은 우리를 찾아온다 합니다〉를 양주동의 추천으로 〈동아일보〉에 발표하여 문단에 나왔다. 이어 1934년 〈동아일보〉에 암울한 일제시대 속에서도 민족의 희망을 노래한 〈새 벽〉·〈새벽은 당신을 부르고 있읍니다〉 등을 발표했다. 1936년 숭실학교에서 교사생활을 하다가 1937년 신사참배를 거부하여 투옥되기도 했다. 해방이 되자 〈내일〉(민성, 1949. 6)·〈창〉(경향신 문, 1946. 5) 등을 발표했고 1950년대에는 기독교적인 구원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전쟁 뒤에 오는 허 무·상실을 노래했다. 1955년 한국시인협회 제1회 시인상 수상자로 결정되었으나 수상을 거부했다. 1957년 첫 시집 〈김현승시초(詩抄)〉를 펴냈으며 한국문인협회 상임위원을 지냈다. 조선대학교·숭 실대학교 교수를 지냈으며 1961년 한국문인협회 이사로 뽑혔다. 두번째 시집 〈옹호자의 노래〉(1963)는 자연과 인생에 대한 종교적인 사색을 노래했는데 잘 알려진 〈가을의 기도〉 등 가을 연작시와 신적(神的) 세계질서에 대한 열망과 자유를 노래한 〈지상의 시〉 등을 실었다. 한국문인협회 시분과 위원장과 부이사장을 지냈다. 1968년 고독을 시의 주제로 삼은 〈견고한 고독〉과 1970년 〈절대고독〉 등의 시집을 펴냈다. 〈견고한 고독〉은 간결한 시 형식을 취한 데 비해 〈절대고독〉은 비유·상징과 어려운 말을 자주 쓴 것이 특징이다. 〈절대고독〉은 신 의 존재를 느낄 수 없을 만큼 개별화된 현대인의 삶의 고독감을 노래한 것이다. 1973년 서울특별시 문화상을 받았고 1974년 〈김현승 시전집〉을 펴냈다. 1975년 숭실대학교 채플 시간에 기도하다가 고 혈압으로 죽었다. 유고시집으로 〈마지막 지상에서〉(1975), 산문집으로 〈고독과 시〉(1977)·〈가 을에는 기도하게 하소서〉(1984), 저서로 〈한국 현대시 해설〉(1972)·〈세계문예사조사〉(1974) 등 이 있다. 가을의 기도 / 소프라노 김향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