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아름다운 문학

<홍사용> 통발 / 나는 왕이로소이다

이름없는풀뿌리 2023. 9. 14. 07:59
통 발 - 홍사용 / <白潮> 1호, 1922년 1월 - 뒷동산의 왕대싸리 한 짐 베어서 달 든 봉당에 일서 잘하시는 어머님 옛이야기 속에서 뒷집 노마와 어울려 한 개의 통발을 만들었더니 자리에 누우면서 밤새도록 한 가지 꿈으로 돌모루[石隅] 냇가에서 통발을 털어 손잎 같은 붕어를 너 가지리 나 가지리 노마 몫 내 몫을 한창 시새워 나누다가 어머니 졸음에 단잠을 투정해 깨니 햇살은 화안하고 때는 벌써 늦었어 재재바른 노마는 벌써 오면서 통발 친 돌성(城)은 다­무너트리고 통발은 떼어서 장포밭에 던지고 밤새도록 든 고기를 다­털어 갔더라고 비죽비죽 우는 눈물을, 주먹으로 씻으며 나를 본다. 나는 왕이로소이다 - 홍사용 / <백조3호>(1923) - 나는 왕이로소이다. 나는 왕이로소이다. 어머님의 가장 어여쁜 아들 나는 왕이로소이다. 가 장 가난한 농군의 아들로서…. 그러나, 시왕전(十王殿)에서도 쫓기어 난 눈물의 왕이로소이다. 『맨 처음으로 내가 너에게 준 것이 무엇이냐』 이렇게 어머니께서 물으시며는 『맨 처음으로 어머니께 받은 것은 사랑이었지요마는 그것은 눈물이더이다』하겠나이다. 다 른것도 많지요마는…. 『맨 처음으로 네가 나에게 한 말이 무엇이냐』 이렇게 어머니께서 물으시며는 『맨 처음으로 어머니에게 드린 말씀은 “젖 주셔요”하는 그 소리였지요마는, 그것은 “으 아-”하는 울음이었나이다』 하겠나이다. 다른 말씀도 많지요마는…. 이것은 노상 왕에게 들리어 주신 어머니의 말씀인데요. 왕이 처음으로 이 세상에 올 때에는 어머니의 흘리신 피를 몸에다 휘감고 왔더랍니다. 그 날에 동내의 늙은이와 젊은이들은 모두 “무엇이냐”고 쓸데없는 물음질로 한창 바쁘게 오고 갈 때에도 어머니께서는 기꺼움보다는 아무 대답도 없이 속 아픈 눈물만 흘리셨답니다. 빨까숭이 어린 왕 나도 어머니의 눈물을 따라서 발버둥질치며 “으아-” 소리쳐 울더랍니다. 그날 밤도 이렇게 달 있는 밤인데요. 으스름 달이 무리스고 뒷동산에 부엉이 울음 울던 밤인데요. 어머니께서는 구슬픈 옛이야기를 하시다가요, 일없이 한숨을 길 게 쉬시며 웃으시는 듯한 얼굴을 얼른 숙이시더이다. 왕은 노상 버릇인 눈물이 나와서 그만 끝까지 섧게 울어 버렸소이다. 울음의 뜻은 도무지 모르면서도요. 어머니께서 조으실 때에는 왕만 혼자 울었소이다. 어머니께서 지우시는 눈물이 젖 먹는 왕의 뺨에 떨어질 때이면 왕도 따라서 시름없이 울었소이다. 열한 살 먹던 해 정월 열나흘 날 밤, 맨재텀이로 그림자를 보러 갔을 때인데요, 명이나 긴 가 짜른가 보랴고. 왕의 동무 장난꾼 아이들이 심술스럽게 놀리더이다. 모가지 없는 그림자라고요. 왕은 소리쳐 울었소이다. 어머니께서 들으시도록, 죽을까 겁이 나서요. 나무꾼의 산타령을 따라 가다가 건넛 산 산비탈로 지나가는 상두꾼의 구슬픈 노래를 처음 들었소이다. 그 길로 옹달 우물로 가자고 지름길로 들어서며는 찔레나무 가시덤불에서 처량히 우는 한 마리 파랑새를 보았소이다. 그래서 철없는 어린 왕 나는 동무라 하고 좇아가다가, 돌뿌리에 걸리어 넘어져서 무릎을 비 비며 울었소이다. 할머니 산소 앞에 꽃 심으로 가던 한식날 아침에 어머니께서는 왕에게 하얀 옷을 입히시더이다. 그리고 귀밑머리를 단단히 땋아 주시며, 『오늘부터는 아무쪼록 울지 말아라』 아아, 그때부터 눈물의 왕은 - 어머니 몰래 남 모르게 속 깊이 소리없이 혼자 우는 그것이 버릇이 되었소이다. 누우런 떡갈나무 우거진 산길로 허물어진 봉화 뚝 앞으로 쫓긴 이의 노래를 부르며 어슬렁 거릴 때에, 바위 밑에 돌부처는 모른 체하며 감중연(坎中連)하고 앉았더이다. 아아, 뒷동산에 장군 바위에서 날마다 자고가는 뜬 구름은 얼마나 많이 왕의 눈물을 싣고 갔는지요. 나는 왕이로소이다. 어머니의 외아들 나는 이렇게 왕이로소이다. 그러나 그러나 눈물의 왕 - 이 세상 어느 곳에든지 설움이 있는 땅은 모두 왕의 나라로소이다. * 시왕전(十王殿) → 저승에 있다는 10명의 왕을 모셔놓은 법당 * 쓸데없는 물음질 → 남녀를 떠나 인간이 지닌 비극적 존재를 인식한 말 * 모가지 없는 그림자 → 죽을 운명을 지닌 존재. 식민지의 아들로 태어난 숙명적 삶 * 상두꾼 → 상여 메는 사람 * 소리없이 혼자 우는 버릇 → 마음껏 울 자유조차 박탈된 비극과 죽음뿐 아니라 모든 것이 울음의 원인이 되어 버린 상황 * 감중연 → 팔괘 중의 하나인 감괘, 여기서는 '태연히'의 뜻 * 돌부처는 감중연하고 앉았다 → 버림받은 슬픈 처지. 종교도 해결해주지 못하는 슬픈 운명 * 작품해설 : 이 시는 1920년대 낭만주의 문학의 감상적(感傷的) 성향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작품이 다. 삶의 고통과 비애를 주제로 하고 있는 이 작품의 감상적 경향은 『백조』의 실질적 주재자로 활 동한 홍사용의 타고난 감상벽이 그 한 원인이 되겠지만, 무엇보다도 3·1 운동의 좌절로 인한 민족적 패배감과 지식인으로서의 견딜 수 없는 무력감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병적이고 퇴폐적인 성향의 정서 저변에는 일종의 민족적 울분과 시적 서정성이 깔려 있다. 전 8연의 이 작품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연에서는 전생(前生)을, 2연에서는 출생의 슬 픔을, 3연부터 8연까지는 죽음에 대한 공포, 희망과 좌절, 내면적 슬픔 등 소년 시절의 슬픔을 나타 내고 있다. 이 작품의 시적 자아는 ‘가난한 농군의 아들’로 태어나 스스로를 ‘왕’으로 지칭하는 존재이다. 그러나 갈고 심을 땅을 일제에 빼앗긴 농군의 아들인 그러서는 비극적 운명의 주인공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그는 쫓겨난 왕으로 슬픔과 비애뿐인 ‘눈물의 왕’이 된다. 그가 갖게 된 삶 의 비극적 인식은 어머니의 산고(産苦)를 통해 태어났다는 것과 ‘으아!’ 하는 울음으로부터 삶이 시작되었다는 인간 존재의 숙명적 성격에서 기인하는 것이지만, 성장 과정에서 빚어지는 여러 가지 비애의 감정은 사회적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알게 해 준다. 이로한 고통과 슬픔을 안고 태어난 ‘왕’에게 동네 사람들은 단지 ‘무엇이냐?’는 세속정 관심만 나타낼 뿐이며, 그럴수록 ‘왕’은 삶이 고통스러워진다. 옛 이야기를 들려 주시면 한숨과 눈물을 짓던 어머니를 따라 허무 의식을 키우던 그는 동무들로부터 ‘모가지 없는 그림자’라는 놀림을 받으며 더욱 폐쇄적 성격의 아이로 성장한다. 남과 어울리지 못 하고 혼자 있기를 즐기면서 나무꾼의 산타령을 배우거나 상두꾼의 구슬픈 만가(輓歌)를 들으면서 ‘눈물의 왕’이 되어가던 중, 우연히 발견했던 ‘파랑새’를 놓치고 그느 거의 절망적 상태에 빠진 다. 한식날 성묘를 떠나기 앞서 ‘흰 옷’을 입혀 주시며 ‘오늘부터는 아무쪼록 울지 말아라.’ 하 신 어머니의 엄명 때문에 그는 ‘남모르게 속 깊이 소리 없이 혼자 우는 버릇’이 생긴다. 여기서 ‘모가지 없는 그림자’란 식민지 백성으로 태어난 비극적 숙명을 뜻하며, ‘파랑새’는 자신의 이상 또는 희망을 상징한다. 또한 ‘흰 옷’은 성년(成年)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때부터 ‘죽음’에 대한 깊은 인식을 갖게 되었음을 뜻한다. 이렇게 아픔을 속으로 키우며 ‘쫓긴 이의 노래’ 같은 좌절감을 안고 생활하는 그에게 산천초목조차 무심하며, 세월은 허망하게 흐를 뿐이다 결국 그는 ‘돌부 터’-‘미륵불’에게도 구원받지 못하는 신세로, 철저한 고독과 비애 속에서 처절한 ‘눈물의 왕’이 되고 만다. 당시의 현실 상황과 연관지어 ‘왕’을 조국으로, ‘어머니를 식민지 이전의 조국인 대한 제국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면, 일제의 탄압으로 고통 받고 있는 ’왕‘이 어머니로부터 배운 것은 식민지 현실이라는 민족적 슬픔뿐이고, 식민지 백성으로서 ’모가지 없는 그림자‘를 가진 ’망국의 한(恨)‘을 안고 살아가는 ’눈물의 왕‘이 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성년이 된 후로 마음대로 울 자유마저도 박탈당하는 수모를 겪는 탓으로 ’왕‘이 다스리는 나라는 어디든지 설움만 존재하는 땅 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시인 홍사용은 이렇게 설움 속에 잠겨 있지만은 않았다. 그는 『백조』의 감상성을 헤치고 나 와 1928년 「조선은 메나리 나라」라는 글을 발표하면서 민요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다수의 민요시(민 요조 서정시) 작품을 창작하고, 한편으로는 소설과 희곡을 발표하면서 신극운동을 통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고자 노력하였다. 그가 관여한 극단인 ’화조회(火鳥會)‘라는 명칭이 ’불을 먹는 새‘의 의 미이고 여기에서 불이란 일장기(日章旗)의 태양을 상징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을 상기해 보면, 홍사용의 관심이 개인적인 감상에서 민족 전체의 문제로 확대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노 작 홍사용은 『백조』 간행을 위하여 가산을 탕진한 뒤, 뜻한 바의 신극운동도 제대로 펴지 못하게 되자 1930년 전후로 출가하여 방랑 생활을 하다가 돌아와 자하문 밖에서 한약 장사로 말년의 생계를 삼았다. 그는 8.15 해방과 더불어 근국청년단이라는 청년운동을 일으키려 하였으나, 지병인 폐결핵으 로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결국 1947년 짧은 생애를 마치게 된다. * 홍사용(洪思容, 1900 ~ 1947) 별칭 : 노작(露雀) 1900년 경기도 용인 출생 1919년 휘문의숙 졸업. 3.1운동에 참가하여 일경에 피검 1920년 박종화 등과 문예지 『문우』 창간 1922년 박종화, 현진건, 박영희 등과 『백조』 창간 1923년 극단 토월회(土月會) 참여 1927년 극단 산유화회(山有花會) 조직 1928년 극단 화조회(花鳥會) 참여 1930년 홍해성 등과 극단 신흥극장(新興劇場) 조직 1947년 사망 시집 : 『나는 왕이로소이다』(1976), 『홍사용전집』(1985) * 상세설명 : 본관은 남양(南陽). 호는 노작(露雀)·소아(笑啞)·백우(白牛) 등이 있지만 주로 ‘노 작’으로 작품 활동을 하였다. 경기도 용인 출생. 아버지는 대한제국 통정대부 육군헌병 부위를 지낸 홍철유(哲裕)이며, 어머니는 능성구씨(綾城具氏)이다. 1908년 9세 때 일찍 돌아가신 백부 홍승유의 양자로 들어갔다. 양모는 한산이씨(韓山李氏)이다. 그는 생후 100일 만에 서울 재동(齋洞)으로 옮겨 자랐으나, 아버지의 사망과 함께 경기도 화성으로 이사하여 휘문의숙(徽文義塾)에 입학하기 전까지, 그곳의 서당에서 한학을 공부하였다. 1919년 휘문 의숙을 졸업, 기미독립운동 당시 학생운동에 가담하였다가 체포된 바 있다. 얼마 뒤 풀려나 귀향하여 정백(鄭栢)과 함께 수필 「청산백운(靑山白雲)」과 시「푸른 언덕 가으로」를 썼는데, 이 두 작품은 유고로 전해지다가 근래에 공개된 것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그의 최초의 작품이 되고 있다. 문단 활동 으로는 박종화(朴鍾和)·정백 등 휘문 교우와 함께 유인물 「피는 꽃」과 서광사(曙光社)에서 『문우 (文友)』를 창간한 것을 비롯하여, 재종형 사중(思仲)을 설득하여 문화사(文化社)를 설립, 문예지 『백조(白潮)』와 사상지 『흑조(黑潮)』를 기획하였으나, 『백조』만 3호까지 간행되었다. 그의 시작 활동은 『백조』 창간과 함께 본격화되어 『개벽』·『동명(東明)』·『여시(如是)』· 『불교』·『삼천리』·『매일신보(每日申報)』 등에 많은 시·소설·희곡 작품을 발표하였다. 『백 조』 창간호의 권두시 「백조는 흐르는데 별 하나 나 하나」를 비롯하여 「나는 왕(王)이로소이다」· 「묘장(墓場)」·「그것은 모두 꿈이었지마는」 등 20여 편과 민요시 「각시풀」·「붉은 시름」 등 수편이 있다. 소설로 「저승길」·「뺑덕이네」·「봉화가 켜질 때」, 희곡 「할미꽃」·「출가(出 家)」·「제석(除夕)」 외에도 수필 및 평문이 있다. 극단 활동으로는 1923년 토월회(土月會)에 가담 하여 문예부장을 맡은 것을 비롯하여 1927년 박진(朴珍)·이소연(李素然)과 함께 산유화회(山有花會) 를 조직하였다. 또 1930년 홍해성(洪海星)·최승일(崔承一)과 함께 신흥극장을 조직하기도 하였다. 그는 자신이 손수 희곡작품을 써서 직접 출연하는 등 연극 활동에 정열을 쏟기도 하였다. 1929년경부 터 친구 박진의 집에서 기거하는 등 한동안 방랑생활을 하다가 돌아와 자하문 밖 세검정 근처에서 한 약방을 경영하였다. 그 뒤 8·15광복을 맞아 근국청년단(槿國靑年團)운동에 가담하였으나, 그 뜻을 펴지 못하고 지병인 폐환으로 사망하였다. 그의 시세계는 감정의 과잉으로 표출되는 비애의 눈물과 허망감을 형상화한 초기의 사설적(辭說的)인 장시(長詩)와 민요의 율조를 바탕으로 하여 민족관념을 노래한 민요시로 구분된다. 대표작 「나는 왕 이로소이다」와 「그것은 모두 꿈이었지마는」 등 일련의 시작들은 장시를, 그리고 「봄은 가더이 다」·「해저문 나라에서」 등은 민요시를 대표하는 작품들이다. 시문학사적 위치로 볼 때 1920년대 초 낭만주의운동의 선두에 섰던 그의 공적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나는 왕이로소이다」에서 보 인 ‘어머니’와 동심적 비애, 향토적 서정, 자전적 전기 등의 감상적 색채는 그의 시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이러한 비애의식을 민족적 차원으로 끌어올린 시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유해는 유년시 절을 보낸 경기도 화성시 노작로(구 동탄면 석우리) 노작홍사용문학관 뒤 노작공원에 안장되어 있다. 생존시에는 작품집이 나오지 않았고 1976년 유족들이 시와 산문을 모아 『나는 왕(王)이로소이다』를 간행하였다. 나는 왕이로소이다 / 낭송 윤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