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아름다운 문학

<김광규> 희미한옛사랑의그림자 / 대장간의유혹 / 나뭇잎하나

이름없는풀뿌리 2023. 10. 31. 07:43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 김광규 / 시집<우리를 적시는 마지막 꿈>(1979) - 4 · 19가 나던 해 세밑 우리는 오후 다섯 시에 만나 반갑게 악수를 나누고 불도 없는 차가운 방에 앉아 하얀 입김 뿜으며 열띤 토론을 벌였다. 어리석게도 우리는 무엇인가를 정치와는 전혀 관계없는 무엇인가를 위해서 살리라 믿었던 것이다. 결론 없는 모임을 끝낸 밤 혜화동 로우터리에서 대포를 마시며 사랑과 아르바이트와 병역 문제 때문에 우리는 때묻지 않은 고민을 했고 아무도 귀기울이지 않는 노래를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노래를 저마다 목청껏 불렀다. 돈을 받지 않고 부르는 노래는 겨울밤 하늘로 올라가 별똥별이 되어 떨어졌다. 그로부터 18년 오랜만에 우리는 모두 무엇인가가 되어 혁명이 두려운 기성세대가 되어 넥타이를 매고 다시 모였다. 회비를 만 원씩 걷고 처자식들의 안부를 나누고 월급이 얼마인가 서로 물었다. 치솟는 물가를 걱정하며 즐겁게 세상을 개탄하고 익숙하게 목소리를 낮추어 떠도는 이야기를 주고 받았다. 모두가 살기 위해 살고 있었다. 아무도 이젠 노래를 부르지 않았다. 적잖은 술과 비싼 안주를 남긴 채 우리는 달라진 전화번호를 적고 헤어졌다. 몇이서는 포우커를 하러 갔고 몇이서는 춤을 추러 갔고 몇이서는 허전하게 동숭동 길을 걸었다. 돌돌 말은 달력을 소중하게 옆에 끼고 오랜 방황 끝에 되돌아온 곳 우리의 옛사랑이 피 흘린 곳에 낯선 건물들 수상하게 들어섰고 플라타너스 가로수들은 여전히 제자리에 서서 아직도 남아 있는 몇 개의 마른 잎 흔들며 우리의 고개를 떨구게 했다. 부끄럽지 않은가 부끄럽지 않은가 바람의 속삭임 귓전으로 흘리며 우리는 짐짓 중년기의 건강을 이야기했고 또 한 발짝 깊숙이 늪으로 발을 옮겼다. 작품해설 : 김광규 시인의 시는 60년대의 난해하면서 현실과 유리된 관념시의 형태에서 벗어나 시적 세계와 현실 세계와의 단절을 메꾸면서 동시에 시의 언어에 살아 움직이는 현실적 생동감을 불어 넣 게 된다. 이로 말미암아 평이하고 구체적인 체험이 많이 담긴 탄력 있는 시들이 양산되는데, 이로 인 해 시세계와 현실과의 간격은 물론이고 시와 독자 사이의 거리도 많이 좁혀지게 된다. 김광규의 많은 작품들이 그렇듯이 이 시 역시 시간의 흐름에 닳고 타락하는 소시민들의 '늪' 같은 생활을 제재로 삼 고 있다. 즉, 가장 순수한 눈으로 세계와 자아에 대해 갖고 있던 진실한 모습들이 지금 보면 사라졌 거나 타락한 꼴로 바뀌어져 있음으로 해서 그들 중년의 소시민들은 이제 허망한 회오만을 가득 느끼 게 될 뿐이라는 것이 이 시의 주된 골격이다. 이 시는 18년 전 학창 시절의 순수했던 열정을 모두 잃 어 버린 중년기 지식인의 타락하고 무기력해진 소시민적 삶을 그려내고 있다. 일상적 삶에서 얻은 구 체적 체험을 바탕으로 학창시절과 현재를 대조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젊음의 열정과 순수의 이상을 잃 어 버리고 속화(俗化)된 자신을 발견해 가는 비감(悲感)을 드러내고 있다. 이 시를 4 · 19 세대가 겪는 에피소드나 시대 현실이라는 제한된 의미로만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순수와 젊음, 이상과 열정 을 상실해 가면서 무기력해진 현대인들에게 소시민적 의식 구조를 일깨우고 보편적인 상실감을 제기 해 주는 작품으로 읽어야 할 것이다. 대장간의 유혹 - 김광규 / 시집<대장간의 유혹>(1999) - 제 손으로 만들지 않아 한꺼번에 싸게 사서 마구 쓰다가 망가지면 내다버리는 플라스틱 물건처럼 느껴질 때 나는 당장 버스에서 뛰어내리고 싶다. 현대 아파트가 들어서며 홍은동 사거리에서 사라진 털보네 대장간을 찾아가고 싶다. 풀무질로 이글거리는 불 속에 시우쇠처럼 나를 달구고 모루 위에서 벼리고 숫돌에 갈아 시퍼런 무쇠낫으로 바꾸고 싶다. 땀 흘리며 두들겨 하나씩 만들어 낸 꼬부랑 호미가 되어 소나무 자루에서 송진을 흘리면서 대장간 벽에 걸리고 싶다. 지금까지 살아온 인생이 온통 부끄러워지고 직지사 해우소 아득한 나락으로 떨어져 내리는 똥덩이처럼 느껴질 때 나는 가던 길을 멈추고 문득 어딘가 걸려 있고 싶다. * 작품해설 : 화자는 자신이 '플라스틱 물건'이나 '해우소 똥덩이'처럼 무의미하고 무기력하고 비주 체적이며 쓸모 없는 존재로 여겨져 '지금까지 살아온 인생이 온통 부끄러워' 질 때면 지금은 사라진 털보네 대장간을 찾아가고 싶어한다. 그곳에서 그는 자신을 '시우쇠처럼 달구고 / 모루 위에서 벼리’ 는 담금질과 단련을 통해 새로운 존재로 거듭태어나고 싶어 한다. 아니면 대장장이가 '땀 흘리며 두 들겨 하나씩 만들어낸 / 꼬부랑 호미가 되어 / 소나무 자루에서 송진을 흐리면서 / 대장간 벽에' 쓸 모 있는 물건이 되어 걸리고 싶어 한다. '지금처럼 살아온 인생이 / 온통 부끄러워지고 / 직지사 해 우소 / 아득한 나락으로 떨어져 내리는 / 똥덩이처럼' 자신이 가치 없는 존재라고 느껴질 때, 가던 길을 멈추고 문득 대장간의 벽에 걸린 호미처럼 가치 있는 존재가 되어 쓰일 날을 기다리며 어딘가 걸려 있고 싶어한다. 삶을 살아가면서 바쁘게 살다보면 삶의 목적도 잊어 버린 채 어느 순간 내가 사 람답게 살고 있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갑자기 이 세상에서 사라져도 세상에는 아무런 변화도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단지 내가 단순한 물건처럼, 대량 생산된 물건의 하나가 되어 쓰이다가 아무렇지도 않게 버려지는 존재가 된 것이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든다. 또는 화장실에 떨어지는 똥덩이처럼 정말 가치 없는 존재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지금까지 살아온 인생이 온통 부끄러워지고 가치 없이 느낄 때가 있다. 그러나 내가 내 삶을 살아가는 한 가치 없는 존재가 되어 살기는 싫다. 이런 때는 하던 일을 멈추고 자신의 가치를 되찾아야 한다. 쇠가 대장간에서 풀무질로 이글거리는 불 속에 달궈져서 불순물이 하나 없는 시우쇠가 되어 모루 위에서 망치에 두들겨지고 숫 돌에 갈리어 날이 잘 드는 시퍼런 무쇠낫이 되는 것처럼 나를 바꾸고 싶은 마음이 들 때가 있다. 낫 이 못 되도 꼬부랑 호미라도 되고 싶은 때가 있다. 이렇게 나를 바꾸려면 이글거리는 불처럼 고통 속 에 나를 넣어야 한다. 나를 두들겨 쓸모 있는 사람으로 만들어 주는 스승이나 좋은 친구가 있어야 하 는 것이다. 스스로는 날을 갈아야 하는 것이다. 땀 흘리며 나를 두들겨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제 손 으로 만들지 않고 한꺼번에 싸게 사서 마구 쓰다가 망가지면 내다 버리는 현실에서는 현대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사라진 털보네 대장간이 없는 상황에서는 나를 쓸모 있게 바꿀 곳은 찾기가 힘들다. 어디 에 가면 털보네 대장간을 찾을 수 있을까? 가던 길을 멈추고 한번 자신을 돌아봐야겠다. 이 시는 자 신이 살아온 인생에 대한 치열한 반성을 통해 자신을 새롭게 하고자 하는 의지와 함께 현대 산업 문 명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담긴 작품이다. 나뭇잎 하나 - 김광규 / 시집<좀팽이처럼>(1988) - 크낙산 골짜기가 온통 연록색으로 부풀어 올랐을 때 그러니까 신록이 우거졌을 때 그곳을 지나가면서 나는 미처 몰랐었다. 뒷절로 가는 길이 온통 주황색 단풍으로 물들고 나뭇잎들 무더기로 바람에 떨어지던 때 그러니까 낙엽이 지던 때도 그곳을 거닐면서 나는 느끼지 못했었다. 이렇게 한 해가 다 가고 눈발이 드문드문 흩날리던 날 앙상한 대추나무 가지 끝에 매달려 있던 나뭇잎 하나 문득 혼자서 떨어졌다. 저마다 한 개씩 돋아나 여럿이 모여서 한여름 살고 마침내 저마다 한 개씩 떨어져 그 많은 나뭇잎들 사라지는 것을 보여주면서 * 작품해설 : 이 시는 계절의 흐름 따라 시상이 전개된다. 한 여름의 무성한 나뭇잎도, 화려한 색깔 로 바뀐 단풍과 바람에 무더기로 떨어지는 나뭇잎도 화자의 주위를 끌지 못했다. 그러나 겨울이 되어 나뭇가지에 오직 하나 남았던 잎이 떨어지는 순간에 화자는 그것을 인간들의 삶과 연관짓고 있다. 시 상의 중심은 '앙상한 대추나무 가지 끝에 매달려 있던 나뭇잎 하나의 떨어짐'이다. 이 시의 시상은 시적 대상의 존재를 깨닫게 되는 단계까지에 이르는 과정을 노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시적 화자는 신록이 우거졌을 때(젊은 시절) 그 대추나무 옆을 지나갔지만 그 존재를 미처 깨닫지 못했다. 나뭇잎이 주황색 단풍으로 물들고 무더기로 바람에 떨어질 때(중년 시절)에도 그것을 느끼지 못했다. 그러다가 눈발이 드문드문 흩날리던 날, 앙상한 대추나무 가지 끝에 매달려 있던 나뭇잎 하나가 문득 혼자서 떨어질 때(죽음), 바로 그것을 느낀다. 도대체 그것이란 무엇일까? 그것은 자연의 섭리이다. 이 세상에 한번 태어나면 언젠가는 시들고 결국은 사라져 간다는 것, 생장과 사멸이라는 자연의 섭리 말이다. 이 시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모든 인간은 결국 사멸 또는 죽음의 길을 가게 되지만, 살아서는 그것 을 경험할 수 없다. 자신의 주변에서 하루도 끊이지 않고 죽음을 경험하면서도 말이다. 마치 무더기 로 떨어지는 낙엽에서 '소멸'을 경험하지 못하는 것처럼 말이다. 다만 외롭게 혼자 사멸하는 죽음을 통해서만 그것의 의미를 체험할 수 있다. 인간에서 있어서 죽음이란, 늘 있어 왔고 누구에게나 있는 것이지만, 동시에 그것은 항상 나만의 개별적인 죽음일 뿐이다. 각 인간에게 있어 죽음이란 일반화할 수 있는 어떤 추상적인 죽음이 아니다. 오로지 단 한 번뿐인 죽음인 것이다. 시인은 그것을 '저마다 한 개씩 떨어지는' 것이라고 노래한다. 모든 존재는 하나의 나뭇잎처럼 홀로 태어나 무리를 이루고 살다가 다시 홀로 죽는다는 평범한 진리 를 뒤늦게 발견한다는 내용이다. 저마다 한 잎씩 돋아나고 떨어지지만 그 개체는 세상과 화합할 수밖 에 없는 유의미의 존재임을 인식한다. 가까운 것에서 먼 것을 알아가듯 '나뭇잎 하나'에서 인간의 삶 을 이해하고, 나아가 '나뭇잎 하나'가 우주며, 그 생몰이 곧 삶의 그것임을 일깨운다. 하지만 신록이 우거졌을 '젊은 시절'에는 그 존재를 미처 깨닫지 못했다. 나뭇잎이 단풍으로 물드는 '중년'에도 몰 랐다. '무더기로 바람에 떨어질' 때도 못 느꼈던 것을 '가지 끝에 매달려 있던 나뭇잎 하나가 문득 혼자서 떨어질' 때 비로소 비장한 자연의 섭리를 느낀다. 쉬운 일상의 언어와 명료한 구문의 시에서 깊은 삶의 사유를 담고 있는 김광규 시인 특유의 분위기가 잘 드러난 잔잔하고도 사색적인 시다. 김광규(金光圭, 1941-) 1941년 1월 7일 생(80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통인동에서 출생했다. 서울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문리 과대학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75년 '문학과 지성'에 등단했고 2007년 제19회 이산문학상을 수상했다. 현재는 한양대학교 명예교수이다. 김광규의 시는 그 생각에 비뚤음이 없으며 그 어조에 격 렬한 부르짖음이 없으며 그 은유에 현란한 모호성이 없고 그 관심이 소박한 일상을 넘어서지 아니한 다. 그래서 그의 시는 뜻이 분명하고 건강하며 읽는 이들에게 쉽고 친밀한 느낌을 준다. 주요 작품으로는 「묘비명」[2],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어린 게의 죽음」, 「아니리」, 「도다리를 먹으며」, 「상행」, 「서울꿩」 등이 있다.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김광규) / 시낭송 봉경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