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나무류/단풍싹/관목류싹 08/03/28 계양산 참나무 08/4/16 고려산/산모퉁이 08/4/20 위도/별땅이 08/4/20 부산함박산/부산갈매기 08/4/23 포천 신로봉/청파윤도균 08/4/22 포천 신로봉 상수리/방랑자 08/4/13 토함산 단풍싹/문종수 08/5/17 바래봉/문종수 참나무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참나무목 참나무과 참나무속의 총칭. 학명 Quercu..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솜나물 08/03/22 청계산 하오고개 08/03/29 구례 간미봉 08/03/30 호남 존재산 08/4/20 화왕산/히어리 08/4/23 삼각산/솔낭구 08/4/24 창녕화왕산/느린공명 08/4/27 화순백아산/이근철 솜나물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Leibnitzia anandria 분류 국화과 분포지역 한국·일본·사할린섬·쿠릴..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매화꽃/매화말발도리/말발도리/산당화(명자)/개복사 08/03/28 삼각산 청매화 08/04/04 광교산 백매화 매실나무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소교목. 학명 Prunus mume 분류 장미과 원산지 중국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 크기 높이 5∼10m 매화나무라고도 한다. 꽃을 매화라고 하며 열매를 매실(梅實)이라고 한다. 높이 5∼10m이다. 나무껍질은 ..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벚꽃/겹왕벚꽃 08/04/03 화개 쌍계사 08/4/24 전주 천장봉/물안개 벚나무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 학명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분류 장미과 분포지역 한국·중국·일본 서식장소 산지 크기 높이 약 20m 산지에서 널리 자란다. 높이 20m에 달하고 나무껍질이 옆으로 벗겨지며 검은 자..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회양목/쥐똥나무 08/04/02 하동 관음봉 회양목 [黃楊, Korean box tree]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회양목과의 상록관목. 학명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분류 회양목과 분포지역 전북·평북 및 함북 이외의 전국 서식장소 산지의 석회암지대 크기 높이 7m 산지의 석회암지대에서 자란다. 상록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송악 08/03/26 남해 금산 고창 선운사 송악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상록 덩굴식물. 학명 Hedera rhombea 분류 두릅나무과 분포지역 한국·일본·타이완 자생지 해안과 도서지방의 숲속 담장나무라고도 한다. 해안과 도서지방의 숲속에서 자란다. 길이 10m 이상 자라고 가지와 원줄기에서 ..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동백[冬柏] 08/03/18 위도 망월봉 08/4/20 위도/별땅이 동백나무 [冬柏─]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차나무과의 상록교목. 학명 Camellia japonica 분류 차나무과 분포지역 한국(남부지방) ·중국 ·일본 동백나무는 밑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관목으로 되는 것이 많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겹눈은 선상 긴 타..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스크랩] 쥐손이풀과 이질풀 쥐손이풀 9월에 접어들면 억새와 스크렁이 춤을 추는데 그 옆에 보면 아주 작은 꽃잎을 달고 흥을 맞추고 있는 작은 꽃들이 간간이 보인다. 그것이 바로 이질풀과 쥐손이풀이다. 그런데 두 식물이 모습도 비슷하고 꽃과 잎이 닮았기 때문에 그냥 이질풀 이라고 한다. 얼핏 보면 진한 붉은.. 22[sr]들꽃세계 2015.07.27
자목련 (2008/04/18) 08/03/29 구례 간미봉 08/04/04 광교산 자목련 [紫木蓮]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목련과의 낙엽교목. 학명 Magnolia liliflora DESR. 분류 목련과 원산지 중국 크기 높이 약 15m 중국에서 들어온 귀화식물이다. 관목상인 것이 많으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높이 15m에 달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개암나무 08/03/22 도봉산 / 개암나무 암, 수꽃 08/03/28 계양산 개암나무 암꽃 08/04/02 하동 관음봉 개암나무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자작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 학명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분류 자작나무과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헤이룽강 서식장소 산기슭의 양지쪽 크기 높이 2∼3m 산백과..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올괴불나무 08/03/22 내변산 08/03/22 선운사 08/03/29 외나로도 봉래산 갈마가지나무 올괴불나무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낙엽관목. 학명 Lonicera praeflorens 분류 인동과 분포지역 한국·중국(만주)·우수리강 자생지 산지의 숲속 크기 높이 약 1m 올아귀꽃나무라고도 한다.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히어리 08/03/25 서산 팔봉산 08/03/30 팔영산 / saiba 히어리 [Korean winter hazel] 쌍떡잎식물 장미목 조록나무과의 낙엽관목. 학명 Corylopsis coreana 분류 조록나무과 원산지 한국 분포지역 지리산 서식장소 산기슭 크기 높이 1∼2m 송광납판화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높이 1∼2m이고 작은가지는 황갈색 또는 암..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보춘화 08/03/18 위도 망월봉 08/03/22 선운사 08/03/29 구례 간미봉 08/03/30 호남 존재산 08/04/06 조계산/ 이근철 보춘화 [報春花]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학명 Cymbidium goeringii 분류 난초과 분포지역 한국(제주·전남·전북·경남·울릉도)·중국·일본 서식장소 산지 숲 속의 건..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산자고 08/03/17 외나로도 봉래산 08/03/18 위도 망월봉 08/03/20 내변산 08/03/22 내변산 08/03/22 섬진강 08/03/29 나로도 봉래산 08/03/30 해남 주작산 08/03/31 전주 묵방산 08/4/6 선유도/북천고월 산자고 [山慈姑]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Tulipa edulis 분류 백합과 분포지역 한국(제주·무..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생강나무/산수유 08/03/23/ 문경 뇌정산 08/03/26 검단산 08/03/29 구례 간미봉 08/03/29 구례 간미봉 산수유 [山茱萸] 층층나무과 산수유(山茱萸)나무의 열매. 학명 Cornus officinalis 분류 층층나무과 원산지 한국, 중국 분포지역 한국 중부 이남 자생지 전남 구례 산동면, 경기 이천시 백사면 등 층층나무과의 낙엽교목..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앉은부채 08/03/24 포천 천마산 앉은부채 08/04/01 포펀 천마산 앉은부채 앉은부채 [skunk cabbage]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Symplocarpus renifolius 분류 천남성과 분포지역 한국(전남·강원·경기·함남)·일본·아무르·우수리·사할린 등지 서식장소 산지의 응달 산지의 응달에..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얼레지/처녀치마 3월 25일 : 언제 벌써 봉오리가 저렇게.... 날씨가 좀 싸늘해서 그런지 어제 보니 생각보다 늦게 조금씩 열리기 시작하고 있었다. 하루 사이에.... 곁을 떠나기가 아쉽도록 아름다운 색과 모습이다. 얼레지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가재무릇이라고도 한다. 알뿌리는 비늘줄기[鱗莖(인..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현호색 08/04/26 문경 백화산 / 문종수 08/03/17 외나로도 봉래산 08/04/22 포천신로봉 / 방랑자 08/3/17 외나로도/봉래산 08/03/22 내변산 08/03/28 삼각산 08/03/22/ 마니산 08/03/23 포천 천마산 08/03/25/ 선운사 08/04/13 운달산 / 만주벌판 08/04/20 대둔산 / 물안개 08/04/20 주흘산 / 정암 08/04/23 포천신로봉 / 청파윤도균 0..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박원의 제비꽃 제비꽃을 찾는 봄은 너무 짧습니다. 올해도 작년에 찾은 제비꽃에 비해 몇 종류를 더 찾았습니다만 좀더 많이 찾아내지 못한게 아쉽습니다. 제비꽃을 찾다보면 길가에 흩어진 돌멩이 하나, 풀숲에 자라는 잡초하나 지나쳐 보지 않게되더군요. 제비꽃은 여름에 보면 잎이 비슷해져서 구별..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노루귀/노루발 08/3/20/내변산 08/3/21/의성 비봉 08/03/22 내변산 08/3/22/사량도 08/3/29/나로도 봉래산 08/04/03 북한산 숨은벽 08/4/11 도봉산/솔낭구 08/4/19 한계령/운해 08/4/21 구례깃대봉/문종수 노루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Hepatica asiatica 분류 미나리아재비과 분포지..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복수초 (2008/04/17) 08/3/17/외나로도/봉래산 08/3/29/외나로도/봉래산 08/04/01 천마산 08/04/19 한계령/운해 복수초 [福壽草]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Adonis amurensis 분류 미나리아재비과 분포지역 한국 ·일본 ·중국 서식장소 산지 숲 속 크기 높이 10∼30cm 원일초..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진달래/철쭉 (2008/04/06) 산행과 야생화 산행을 하다 보면 수 많은 草木과 바위와 흙을 만나고 새소리와 바람소리를 만나게 된다. 여기서는 주로 다른 분들이 산행하면서 만나게되는 다른 분들이 본 야생화를 소개하려한다. 또한 그 야생화에 대한 해설도 곁들이고 나의 공부도 되고자 한다. 주로 "한국의 산하"란..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남이 본 천리포 수목원(2) -본문- 남이 본 천리포 수목원 (1)밀러의 熱情 1945년, 파란 눈의 미국인 칼 페리스 밀러는 미군의 정보장교로서 한국에 입국하게 된다. 그는 정보장교의 직책 덕분에 한국의 여러 모습을 보게 되고, 한국에 매료되어 이곳에 정착하기로 마음을 먹게 된다. 이후 출국하였다가 다시 한국을 찾은 밀.. 04남이본야생화 2015.07.27
성정공원에서 생각해 본 老年에 가야할 곳 (2015/04/25, The Power of love) 성정공원에서 생각해 본 老年에 가야할 곳 (1) 그동안 나에게도 이제 노년이 얼마 남지 않았다. 老年에 가야 할 곳을 그동안 꽤 오랫동안 알아 보았다. 닭용뫼 윗칡골 전망좋은 곳에 땅도 장만하기도 하였지만 한양으로 올라오는 바람에 처리하고 말았다. 참 좋은 터전이었는데... 조금 아.. 03내가본야생화 2015.07.27
불효의 반성 (2015/5월) 불효의 반성 (1) 아버지 아버지 ∼ 아버지 ∼ 아버지 ∼ 이렇게 아무리 불러봐도 이제는 뵈올 수 없는 아버지. 생전에 허리가 그리 좋지 않으셨는데... 어버이날도 다가오고 하여 아픈 허리를 무릅쓰고 고향으로 내려갔다. 하지만 내려가는 도중 다시 아려오는 허리. 父傳子傳인가? 아내의 .. 03내가본야생화 2015.07.27
아버지 別世와 천리포 수목원 (2014/11/04) 아버지 別世와 천리포 수목원 (1) 아버지 새 회사 2014. 11. 3(월) 출근 2014. 11. 4(음 9.11) 13시 32분 아버지 別世 향년 85세. 칠전리 합전 先山에 안장. 내가 잊었던 많은 분들이 弔問과 慰勞를 表하다. 암울했던 일제강점기인 1930년 서천에서 태어나 그 당시 보통 시골집들이 그러했듯 집안은 찢.. 03내가본야생화 2015.07.27
다시 보아도 좋은 서울숲 걔들 (2014/9월) 다시 보아도 좋은 서울숲 걔들 (1) 걔들 사람보다도 걔들을 좋아하는 나는 어쩌면 다른 행성에서 떨어져 나온 혜성 부스러기 인지도 모르겠다. (2) 얘들 막상 걔들을 만나니 자기들이 다른 행성에서 왔다면서 더욱 문명의 색깔과 동떨어진 빛깔로 나를 얘들 취급하여 영낙없이 얘가 되고 .. 03내가본야생화 2015.07.27
지난 가을 북악과 남산에서 본 노박덩굴(목마와 숙녀) ***덩굴*** ***숫꽃*** ***암꽃***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노박덩굴과의 낙엽활엽 덩굴식물이다. 산과 들의 숲속에서 자란다. 길이 약 10m이다. 가지는 갈색 또는 잿빛을 띤 갈색이다. 잎은 타원형이거나 둥근 모양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은 둥글고 톱니가 있다.. 03내가본야생화 2015.07.27
천변의 백일홍과 서울숲의 낭아초와 어수리 (2013/08/08 까미2) 천변의 백일홍과 서울숲의 낭아초와 어수리 (1) 장독대 할머니가 가꾸신 거기 뒤로 어김없이 맨드라미와 채송화와 과꽃 그리고 칸나와 해바라기 무엇보다도 누이 같은 백일홍이 앉아 있었다. (2) 뒷동산 살가지(살쾡이, 삵)가 스며들어 키우던 오리를 집어간 다음날 우린 간을 빼먹고 버린.. 03내가본야생화 2015.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