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455

방사선동위원소 연대측정법 / 문화재분석정보센터 개소(210418)

방사선동위원소 연대측정법 간단하게 그나마 가장 친숙한 탄소를 이용해서 원리를 요약드리면 14C(탄소14)라는 물질이 모든 생명체에는 일정량 존재합니다. 대기중에도 일정량 존재하고요. 모든 생물(식물/동물)이 살아있을 때는 대기와 14C를 상호교류(주고받고) 합니다(결론적으로 일정한 14c 비율을 유지하게되지요). 그러다 생물이 죽게 되면 대기와의 교류가 끊어지게되고(이 때부터 생물체 안의 14C의 양은 고정되게 되고) 여기서부터 일정한 속도로 14C가 붕괴되어 14N(질소)으로 바뀌게 됩니다.) 따라서 14C의 남아있는 양을 측정하게 되면 이 생물이 언제 죽었는지 예측이 가능하다는 이론입니다. (실제 지구의 나이를 측정할 때는 반감기(14C가 최초상태에서 절반으로 줄어드는 기간)가 수천년대인 14C보다는..

19[sr]우주,지구 2015.09.21

6600만년전 사람의 조상은 어떤 모습? / 공룡 시대_포유류의 조상

6600만년전 사람의 조상은 어떤 모습? 긴꼬리에 회색털… 쥐와 비슷 [동아일보] 입력 2013.02.08 회색 털로 뒤덮여 쥐보다 조금 크고, 원숭이처럼 긴 꼬리를 가진 짐승. 몸무게는 6∼245g 정도로 추정되고, 주식은 곤충. 어떤 동물일까? 약 6600만 년 전 지구에 처음 등장한 '태반포유류' 공통 조상의 모습이다. 태반포유류는 새끼를 태반 속에서 길러 낳는 젖먹이동물로, 포유류 중에서도 캥거루처럼 주머니에 넣어 기르는 유대류 나 알을 낳는 난생류를 제외한 종이다. 사람도 태반포유류다. 쥐부터 코끼리, 고래, 사람까지 포함하는 태반포유류의 공통 조상을 그린 상상도. 연구진은 이 생물이 곤충을 먹고 살았던 작은 짐승으로 추정했다. 사이언스 제공 미국 스토니브룩대, 미국자연사박물관, 카네기자연사박물..

20[sr]인류진화 2015.09.18

인류 최초의 조상 찾았다. 리키 교수 모녀 ‘호모 루돌펜시스’ 발굴

인류 최초의 조상 찾았다 리키 교수 모녀 ‘호모 루돌펜시스’ 발굴… 네이처에 발표 경향신문 | 목정민 기자 | 입력 2012.08.23 21:27 인간의 최초 조상은 누굴까. 일단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곳은 아프리카라는 이론이 가장 지지를 받고 있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그 최초 조상이 정작 누구냐..

20[sr]인류진화 2015.09.18

'인간과 공룡이 함께…'공존설 믿을만한가 / 美강바닥에 드러난 세 발가락 자국

'인간과 공룡이 함께..'공존설 믿을만한가 변태섭기자 입력 2012. 07. 01. 21:07 수정 2012. 07. 02. 15:13 댓글 418개 ■창조과학자들의 주장과 반박 이론 모사사우르스 등 고대 유물 속 그림을 근거로 내세워 공룡 멸종 시기와 원시 인류 등장은 6000만년 차이 '괴리' 일반 과학자들 "과학은 종교와 달리 객관적으로 증명돼야" 최근 교과서진화론개정추진위원회(교진추)가 고교 과학 교과서에 실린 시조새 등 진화론 관련 내용을 삭제, 수정해 줄 것을 교육과학기술부에 요구하면서 창조과학자들의 주장이 새삼 주목을 끌고 있다. 교진추는 한국창조과학회 교과서위원회와 한국진화론실상연구회가 통합, 2009년 출범한 단체다. 인간과 공룡이 한데 어울려 살았다는 '인간-공룡 공존설' 도 그 중 하..

19[sr]우주,지구 2015.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