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정도전 삼봉집 제13권 조선경국전 상(朝鮮經國典 上)/부전(賦典) /국용(國用) 국용(國用) 우리 나라에서는 풍저창(豊儲倉)을 설치하여 무릇 제사ㆍ빈객ㆍ사냥ㆍ상장(喪葬) 및 흉년에 필요한 비용은 모두 여기에서 지출하는데, 이를 국용이라고 부른다. 국용의 출납과 회계에 관한 일은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ㆍ삼사(三司) 사헌부(司憲府)가 각각 직책에 따라 관장한.. 09 정도전 三峯集 2018.01.27
426)정도전 삼봉집 제13권 조선경국전 상(朝鮮經國典 上)/부전(賦典) /상공(上供) 상공(上供) 인군은 광대한 토지와 많은 인민을 전유하니, 그 소출의 부(賦)는 무엇이든 자기의 소유가 아닌 게 없고, 무릇 나라의 경비도 무엇이든 자기의 소용이 아닌 게 없다. 그러므로 인군에게는 사유 재산이 없는 것이다. 이 책에서 상공(上供)과 국용(國用)을 나누어서 이야기하는 것.. 09 정도전 三峯集 2018.01.27
425)정도전 삼봉집 제13권 조선경국전 상(朝鮮經國典 上)/부전(賦典) /선세(船稅) 선세(船稅) 우리 나라는 바다에 접근해 있으므로 어염(魚鹽)의 이득이 많을 뿐 아니라, 공ㆍ사의 조운(漕運)이 동ㆍ서의 강에 폭주하고 있다. 그래서 사수감(司水監)을 설치하여 이 일을 맡게 하고 선세를 징수하여 국가 재정에 보태고 있는데, 그 이득이 또한 적지 않다. 船稅 本朝濱海以.. 09 정도전 三峯集 2018.01.27
424)정도전 삼봉집 제13권 조선경국전 상(朝鮮經國典 上)/부전(賦典) /공상세(工商稅) 공상세(工商稅) 선왕이 공상세(工商稅)를 제정한 것은 말작(末作 공ㆍ상업(工商業)을 말함)을 억제하여 본실(本實 농업)에 돌아가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이전에는 공(工)ㆍ상(商)에 관한 제도가 없어서 백성들 가운데서 게으르고 놀기 좋아하는 자들이 모두 공과 상에 종.. 09 정도전 三峯集 2018.01.27
423)정도전 삼봉집 제13권 조선경국전 상(朝鮮經國典 上)/부전(賦典) /금ㆍ은ㆍ주옥ㆍ동ㆍ철(金銀珠玉銅鐵) 금ㆍ은ㆍ주옥ㆍ동ㆍ철(金銀珠玉銅鐵) 속미(粟米)와 포백(布帛)은 백성들이 생활하는 데 재료가 되는 것이지만, 금ㆍ은ㆍ주옥은 백성들의 생활에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니니, 정치하는 데 있어서 급무로 삼아야 할 것은 아니다. 그러나 종묘(宗廟)는 지극히 경건한 곳이므로 거기에서 쓰는 .. 09 정도전 三峯集 2018.01.27
422)정도전 삼봉집 제13권 조선경국전 상(朝鮮經國典 上)/부전(賦典) /산장과 수량[山場水梁] 산장과 수량[山場水梁] 옛날에는 망이 총총한 그물을 못에 넣지 못하게 하였고, 초목의 잎이 다 떨어진 뒤에야 도끼를 들고 산에 들어가게 하였다. 이것은 천지 자연의 이익을 아껴서 쓰고, 사랑하고 기르기 위한 것이다. 이야말로 산장과 수량을 이용하는 근본이 되는 것이다. 전조에서는.. 09 정도전 三峯集 2018.01.27
421)정도전 삼봉집 제13권 조선경국전 상(朝鮮經國典 上)/부전(賦典) / 염법(鹽法) 염법(鹽法) 소금은 바다에서 나는 것으로 백성들이 이를 사용하니, 없어서는 안 될 물건이다. 전조에서는 충선왕(忠宣王) 때부터 염법을 마련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베[布]를 바치고 소금을 받아가게 하여, 그 베를 국가 재정에 보탰던 것이다. 그러나 염법이 문란해지면서 베만 관에 흡수.. 09 정도전 三峯集 2018.01.27
420)정도전 삼봉집 제13권 조선경국전 상(朝鮮經國典 上)/부전(賦典) / 조운(漕運) 조운(漕運) 옛날에 천자와 제후들은 모두 기내(畿內)에서 나오는 부(賦)로써 생활하였다. 그러므로 조운으로 운반하는 거리가 멀어도 5백 리를 넘지 않았고, 가까우면 50리를 넘지 않았으니, 백성들의 힘이 피곤한 지경에 이르지 않았다. 진(秦)ㆍ한(漢) 이래로는 천하를 군현(郡縣)으로 편.. 09 정도전 三峯集 2018.01.27
419)정도전 삼봉집 제13권 조선경국전 상(朝鮮經國典 上)/부전(賦典) / 부세(賦稅) 부세(賦稅) 《맹자》 등문공상(滕文公上)에, “야인(野人)이 없으면 군자를 봉양할 수 없고, 군자가 없으면 야인을 다스릴 수가 없다.” 하였다. 그러나 옛날 성인이 부세법(賦稅法)을 만든 것은 다만 백성으로부터 수취하여 자기를 봉양하자는 것은 아니었다. 백성들이 서로 모여 살게.. 09 정도전 三峯集 2018.01.27
418)정도전 삼봉집 제13권 조선경국전 상(朝鮮經國典 上)/부전(賦典) / 농상(農桑) 농상(農桑) 농사와 양잠은 의식의 근본이니, 왕도 정치(王道政治)의 우선이 되는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중앙에 사농관(司農官)을, 지방에 권농관(勸農官)을 두어 백성들의 부지런함과 게으름을 조사하여, 부지런한 사람은 장려하고, 게으른 사람은 징계하게 하였으며, 풍기를 맡은 관리.. 09 정도전 三峯集 2018.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