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조선] '조조 무덤' 진짜는 수중에 있다? [주간조선] '조조 무덤' 진짜는 수중에 있다? 이동훈 기자 flatron2@chosun.com 입력 : 2010.01.12 14:16 / 수정 : 2010.01.12 20:39 두 여인과 함께 발굴된 ‘허난성 무덤’ 진위 논란 속 장하 수장설 제기 <이 기사는 주간조선 2089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지난해 12월 27일 중국 허난(河南)성 안양(安陽).. 17[sr]역사,종교 2015.08.21
[e칼럼] 네안데르탈인, 왜 인류 조상이 아닌가? [e칼럼] 인류의 조상 ‘루시’를 찾아서(3) [조인스] 2010년03월03일(수) 오전 9:32 아프리카 서북부를 포함하는 광대한 땅에서 살아가고 있는 부시먼의 직계 조상이며 6만년 전 이후로 아프리카를 떠나 유라시아와 호주로 이동해갔다는 것을 추적해냈다.그렇다면 루시의 자식도 있을 것이다. .. 20[sr]인류진화 2015.08.21
[스크랩] 우리나라 역대 여왕현황 우리나라 역대 여왕현황 (1) 선덕여왕 선덕여왕(善德女王, ?~647년, 재위: 632년~647년)은 신라의 제27대 여왕이다. 성은 김(金), 휘는 덕만(德曼)이다. 진평왕과 마야부인(摩耶夫人)의 장녀이며 태종무열왕과 의자왕의 큰이모이다. 1) 생애 진평왕이 아들이 없이 죽자 화백회의에서 그녀를 신라.. 17[sr]역사,종교 2015.08.21
[스크랩] 세계最古성서 일부 이집트 수도원서 발견 세계最古성서 일부 이집트 수도원서 발견 연합뉴스 | 입력 2009.09.02 11:39 | 수정 2009.09.02 11:41 여호수아 1장 10절 부분..추가 발견 가능성도 (서울=연합뉴스) 최인영 기자 = 4세기에 만들어진 그리스어 성서사본 '코덱스 시나이티쿠스(Codex Sinaiticus)'의 일부분이 이집트의 한 수도원에서 우연히 .. 17[sr]역사,종교 2015.08.21
수행법 다른 한·일 불교, 부처 아래 믿음은 하나 [중앙일보] 수행법 다른 한·일 불교, 부처 아래 믿음은 하나 [중앙일보] 2009.08.27 01:12 입력 / 2009.08.27 01:17 수정 조계종단 일본 사찰방문 동행기일본에는 1000년 전부터 ‘사찰순례’ 문화가 있었다. 대표적인 게 ‘관음 성지순례’다. 불자들이 관세음보살을 모신 33개 사찰을 순례하며 기도를 하는 식.. 17[sr]역사,종교 2015.08.21
"현대 일본어는 백제어에서 출발" 이한수 기자 hslee@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입력 : 2009.07.22 03:11 '천황은 백제어로 말한다' 책 내는 김용운 교수 숫자·종결어미 등 비슷 한국어는 신라어가 모태원로 수학자 김용운(金容雲·82) 단국대 석좌교수가 8월 중순 '현대일본어의 기원은 백제어(百濟語)'라는 분석을 담은 책 .. 17[sr]역사,종교 2015.08.21
[만물상] '세계 유산' 조선 왕릉 [만물상] '세계 유산' 조선 왕릉 김태익 논설위원 tikim@chosun.com 입력 : 2009.06.30 03:10 / 수정 : 2009.06.30 09:51 '나이 일흔에 능참봉 되니 거동이 한 달에 스물아홉 번'이란 속담이 있다. 능참봉은 조선시대 왕족 능묘(陵墓)를 관리하던 벼슬로, 종9품 미관말직이다. 그것도 벼슬이라고 하나 맡았더.. 17[sr]역사,종교 2015.08.21
백범(白凡)에 대한 오해와 진실 ▲ 신용하 백범(白凡)에 대한 오해와 진실 이화여대 석좌교수·백범학술원장 입력 : 2009.06.16 03:22 백범 김구 선생에 대해 오해가 많은 것 같다. 우선 백범을 '좌파'로 생각하는 이들이 있는데,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 백범은 독립운동 시기나 광복 후 건국 시기나 시종일관하여 민족주의.. 17[sr]역사,종교 2015.08.21
[스크랩] ‘한민족 시조’ 단군, 언제부터 한반도 '산신의 시조'가 됐을까? ‘한민족 시조’ 단군, 언제부터 한반도 '산신의 시조'가 됐을까? 박정원 박정원 님의 블로그 더보기 입력 : 2009.06.15 09:27 ‘한국 산신의 시조인 단군이 언제부터 한반도 시조가 됐을까’라는 의문이 어느 날 문득 들었다. ‘한반도의 시조인 단군이 언제부터 한반도 산신의 시조가 됐을까.. 17[sr]역사,종교 2015.08.21
[스크랩] 세종대왕, 뚱뚱한 세자에게 `항상 궁궐에서 걸어라` 세종대왕, 뚱뚱한 세자에게 `항상 궁궐에서 걸어라` [조인스] “세종께서 항상 신하들에게 말씀하시기를, ‘세자는 뚱뚱하니 항상 궁궐에서 걸음을 걷게 하고, 후원에서 말을 타게 하며, 매를 놓아 사냥하는데 참여하도록 하여 혈기를 통하게 하라’고 하셨습니다. 이제 성상께서 항상 깊.. 17[sr]역사,종교 2015.08.21
[스크랩] 인류의 조상? 긴 꼬리 달린 영장류 화석 이다/간레아 메가카니나 인류의 조상? 긴 꼬리 달린 영장류 화석 입력 : 2009.05.21 03:11 / 수정 : 2009.05.21 04:25 인간과 유인원의 먼 조상으로 추정되는 4700만년 전 화석이 19일 미국 뉴욕의 자연사박물관에서 공개됐다. '이다(Ida)'라는 별명의 이 화석을 2년간 조사해온 노르웨이 고고학자 요른 후름(Hurum)은 "코끝부터 꼬.. 20[sr]인류진화 2015.08.21
[스크랩] 네안데르탈인 멸종원인, 인간이 먹었기때문? / 3만5천년전 '비너스' 조각상 네안데르탈인 멸종원인, 인간이 먹었기때문? 서울신문 | 입력 2009.05.18 09:31 [서울신문 나우뉴스]3만년전 네안데르탈인이 지구상에서 사라진 원인은 무엇일까? 과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되어 왔던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원인 학설 중 유력설은 좀더 지능이 발달하고 발달된 도구를 사용한 현.. 20[sr]인류진화 2015.08.21
[스크랩] 13세기 건설된 라퀼라 지진으로 폐허 이탈리아 ‘중세도시’ 잿더미로 13세기 건설된 라퀼라 지진으로 폐허… 르네상스-바로크 양식 건물 ‘와르르’ 중세의 비밀을 간직한 이탈리아 고산 도시 라퀼라가 6일 발생한 지진으로 폐허로 변했다. 라퀼라는 아펜니노 산맥에 있는데 이 산맥 서쪽은 유럽 대륙판, 남쪽은 아프리카 .. 17[sr]역사,종교 2015.08.21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선조- [이덕일의 事思史: 조선 왕을 말하다] 불투명한 후계자 계승, 정통성 콤플렉스를 낳다 국란을 겪은 임금들 선조① 방계 승통 절차의 투명성은 결과 못지않게 중요하다. 특히 대통(大統)처럼 최고 권력을 잇는 절차는 나라 안의 모든 사람이 납득할 수 있는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 그 절.. 17[sr]역사,종교 2015.08.21
[스크랩] 중국 고비사막에 로마군단의 후예들 [e칼럼] 중국 고비사막에 로마군단의 후예들-상 [조인스] DNA로 풀어보는 고대 미스터리 <9> “딸이 태어나서 조금 지나자 금발이었어요. 노랑머리를 자르고 나면 검은 머리가 날것이라고 기대했죠. 그런데 3개월이 지났는데도 다시 금발이었어요. 다시 한번 더 잘랐지요. 그러나 역시 .. 17[sr]역사,종교 2015.08.21
[스크랩] 국권침탈 막으려 썼던 '고종황제 국새' 찾았다 ▲ 고종 황제의 국새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사라졌던 고종 황제의 국새(國璽)를 100년 만에 되찾았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정종수)은 17일 "고종이 1903년 이후 러시아·이탈리아 황제 등에게 도움을 청하기 위해 보낸 친서(親書)에 사용한 '황제어새(皇帝御璽)'를 지난해 12월 재미.. 17[sr]역사,종교 2015.08.21
문선명“91년 김일성 주석 처음 본 순간 서로 얼싸안아” “91년 김일성 주석 처음 본 순간 서로 얼싸안아” [중앙일보] 문선명 통일교 총재, 자서전『평화를 사랑하는 세계인』펴내 김 주석 “백두산으로 사냥 갑시다” 문 총재 “알래스카 바다낚시 가죠” 1991년 방북한 문선명 통일교 총재(左)와 부인 한학자 여사(右)가 김일성 주석을 만났다... 17[sr]역사,종교 2015.08.21
[스크랩] 최초로 발견된 정몽주의 과거시험 문제 답안지 < < 최초로 발견된 정몽주의 과거시험 문제 답안지 > > 도현철 연세대 교수 발견..'홍건적 퇴치법'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고려 말기의 충신 포은 정몽주(1337~1392)가 과거시험 때 제출한 답안지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연세대 사학과 도현철 교수는 정몽주의 대책문(對策文) .. 17[sr]역사,종교 2015.08.21
[스크랩] 김일성과 周恩來<저우언라이>는 국경을 어떻게 나눴을까? [Why] [유석재의 레이더스] 김일성과 周恩來<저우언라이>는 국경을 어떻게 나눴을까? 1962년 평양서 만나 비밀 조약 45.09㎞ 국경선에 푯말 28개 세워 압록강 상류~천지~두만강 상류 자로 댄 듯 직선으로 금 그어 학계 "北 영토 280㎢ 넓어졌다" "천지·간도 내줬다"는 비판도 유석재 karma@chos.. 17[sr]역사,종교 2015.08.21
베르니니(1598-1680) Gian Lorenzo Bernini Italian Baroque sculptor, restorer, draftsman, painter, architect, designer & playwright born 1598 - died 1680 Born in: Naples (Napoli, Campania, Italy). Died in: Rome (Lazio, Italy). Apollo and Daphne Marble, 1622-1625 95 5/8 x 0 inches (243 x 00 cm) Galleria Borghese, Rome Apollo and Daphne [detail] Marble, 1622-1625 Galleria Borghese, Rome The Ecstasy of.. 21[sr]그림,詩畵 2015.08.21
[스크랩] 정조, 적대파로 알려진 노론 심환지와 밀서 교환 200년 만에 열린 블랙박스 … 다시 써야 할 정조 시대 역사 [중앙일보] 적대파로 알려진 노론 심환지와 밀서 교환 군왕의 ‘비밀 편지’는 아침 녘에만 세 차례나 전해졌다. 하루에 네 번 보낸 일도 있었다. 서찰은 은밀하게 오갔다. 관복을 입지 않은 승정원 심부름꾼은 자유롭게 궁을 출.. 카테고리 없음 2015.08.21
[스크랩] '여걸' 趙大妃 초상화가 처음 나왔다고? [Why] '여걸' 趙大妃 초상화가 처음 나왔다고? 부산지역 개인의 소장품 문화재청 도록집에 수록 翼宗 妃이자 헌종 어머니 고종 즉위에 결정적 역할 유석재 기자 ▲ 문화재청의 도록과 이태호 교수의 책을 통해 세상에 공개된‘전(傳) 조 대비 초상’. 조선시대 문신(文臣) 초상화의 격식을 .. 카테고리 없음 2015.08.21
백제지역 최대의 고고학적 성과 / 미륵사 금동사리항아리 백제 무왕-신라 선화공주의 사랑은 전설로만 남나 헤럴드경제 | 기사입력 2009.01.19 09:13 | 최종수정 2009.01.19 11:29 40대 남성, 전라지역 인기기사 익산 미륵사는 백제 서동왕자가 신라 진평왕의 딸인 선화공주를 아내로 맞아들인 후 왕비를 위해 용화산(龍華山) 아래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카테고리 없음 2015.08.21
고려왕실의 근친상간혼 / 강조의 목종폐립 '천추태후'를 보다 보면 참 요즘과 다르고, 조선시대와도 또 다른 사회상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드라마의 위험성 - 굳이 천추태후가 역사의 주역으로 나서야 하는가 - 등에 대해서는 심히 공감하고 있고, 대체 왜 그래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분들이 지적을 했지만 차후.. 17[sr]역사,종교 2015.08.21
아브라함은 유대민족의 시조가 아니다 (유대민족의 기원) 아브라함은 유대민족의 시조가 아니다 (유대민족의 기원) 여러분은 늘상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에 대한 목사의 설교를 들으면서 그가 유대민족의 시조라고 알고들있다. 그러나 정작 신학교에서 아브라함이 신화적 인물이라고 가르친다는 것을 알고나 있는가? 역사적으로 히브리민족의 .. 17[sr]역사,종교 2015.08.21
[weekly chosun] "한민족은 단일민족 아니다!" [weekly chosun] "한민족은 단일민족 아니다!" 특집 | '종의 기원' 150년 유전자로 본 한국인 “북방계·남방계 등 두 가지 이상 유전자가 섞인 집단” ‘북방계 남성·남방계 여성이 결합’ 가설도 급부상 <이 기사는 weekly chosun 2039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이종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 17[sr]역사,종교 2015.08.21
[스크랩] 조선초 박석명은 '충직의 화신' 증손자 박원종은 '반정의 주역' [Why][이한우의 역사속의 WHY] 조선초 박석명은 '충직의 화신' 증손자 박원종은 '반정의 주역' 태종 최측근으로 주요 정사 깊이 관여 아들 작명 때 "낮추며 살라"는 뜻 담아 박원종, 반정 이후 영의정까지 올라 조선에는 왕실의 든든한 버팀목이 돼준 집안이 여럿 있다. 그중 조선 초에 가장 .. 17[sr]역사,종교 2015.08.21
[스크랩] 백제 의자왕 증손녀 부여태비 묘비석 中서 발견 백제 의자왕 증손녀 부여태비 묘비석 中서 발견 기사입력 2008-11-14 03:00 17[sr]역사,종교 2015.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