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0년 전의 절대자유인 이백! 友人會宿(우인회숙) 하늘과 땅이 이불이요 베개로다! 李白(이백) 滌蕩千古愁(척탕천고수) 천고의 시름 씻어 내고저, 留連百壺飮(유연백호음) 연하여 일백 병의 술을 마신다. 良宵宜淸談(양소의청담) 이렇게 좋은 밤 더불어 청담을 나누고, 皓月未能寢(호월미능침) 휘영청 밝은 달에 잠을 .. 12漫遊의漢詩紀行 2015.08.13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옥에 흙이 묻어 길가 버렸으니 오는 이 가는 이 다 흙만 여기도다. 두어라! 흙이라 한들 흙일 수가 있으랴. 많은 사람들이 익히 들어 본 바 있는 시조인데- 작자가 누구인지는 잘 모르겠다 ― 한데, 이 시에서 유학, 또는 선비…….뭐 이런 이미지가 연상 되.. 12漫遊의漢詩紀行 2015.08.13
靑年! 두보를 소개합니다. 望嶽(망악) 태산을 바라보며 杜甫(두보) 岱宗夫如何(대종부여하) 태산은 과연 어떠한가? 齊魯靑未了(제노청미료) 제와 노나라에 걸친 그 푸르름 끝이 없구나. 造化鍾紳秀(조화종신수) 천지간에 신령스럽고 빼어난 것 모두 모았고, 陰陽割昏曉(음양할혼효) 산의 밝음과 어두움을 밤과 새벽.. 12漫遊의漢詩紀行 2015.08.13
굶어 죽기 좋은 詩 答人(답인) 사람들에게 대답하다 -太上隱者(태상은자)- 偶來松樹下(우래송수하) 우연히 오게 된 소나무 아래, 高枕石頭眠(고침석두면) 돌베개 높이 베고 잠이 들었거니, 山中無曆日(산중무력일) 산중이라 달력도 없어, 寒盡不知年(한진부지년) 겨울이 지나긴 지났는데, 금년이 무슨 해더라.. 12漫遊의漢詩紀行 2015.08.13
어! 우리 초면....아니죠? 長干行(장간행) 장간의 노래 崔顥(최호) 君家何處住(군가하처주) 당신 집이 어디세요? 妾住在璜塘(첩주재황당) 소첩의 집은 황당입니다. 停船暫借問(정선잠차문) 여쭤볼 말이있는데, 잠시만 배를 멈추실래요. 或恐是同鄕(혹공시동향) 혹, 우리 동향사람 아니 던가요? 家臨九江水(가임구강.. 12漫遊의漢詩紀行 2015.08.13
나야! 나! 나 모르겠어? 偶書(회향우서) 고향으로 돌아와서 賀知章(하지장) 少小離家老大回(소소이가노대회) 어려서 고향 떠나 늙어서야 돌아오니, 鄕音無改빈毛衰(향음무개빈모최) 사투리는 그대로인데 귀밑머리는 다 빠졌구나. 兒童相見不相識(아동상견불상식) 아이들은 나를 보고도 알아보질 못하고, 笑問.. 12漫遊의漢詩紀行 2015.08.13
요절한 천재의 연애시 蘇小小墓(소소소묘) 소소소의 무덤가에서 이하(李賀) 幽蘭露(유란로) 그윽한 난초에 맺힌 이슬은, 如啼眼(여제안) 눈물 머금은 눈망울 같다. 無物結同心(무물결동심) 마음 맺어줄 마스코트는 없어도 煙花不堪剪(연화부감전) 아련한 봄꽃은 꺾을 수 없네. 草如茵(초여인) 잔디론 깔개 삼고, .. 12漫遊의漢詩紀行 2015.08.13
요절한 천재,이하(李賀)를 아시나요? 將進酒(장진주) 술을 권하며 李賀(이하) 琉璃鍾(유리종) 맑은 크리스탈 빛 유리잔. 琥珀濃(호박농) 황갈색 호박 빛 진한 술. 小槽酒滴眞珠紅(소조주적진주홍) 술통으론 붉은 진주 빛 술이 방울방울 내리고, 烹龍포鳳玉脂泣(팽용포봉옥지읍) 용 삶고 봉황 구우니 옥 같은 기름이 지글거리고.. 12漫遊의漢詩紀行 2015.08.13
일본! 일본은 과연 우리에게 어떤 나라인가? -그럴 때 읽어보는 詩- 聞安重根報國讐事(문안중근보국수사) 안중근 의사 의거를 듣고 -金澤榮(김택영)- 萬里飄然一粟身(만리표연일속신) 만리를 표표히 떠도는 좁쌀 같은 이 몸, 舟中皆敵有誰親(주중개적유수친) 주위 모두 적이니 누구를 가까이할 것인가? 今日腐心潛水客(금일부심잠수객) 오늘은 절치부심 잠.. 12漫遊의漢詩紀行 2015.08.13
詩를 말 하다. 詩를 말 하다. 논어 위정편 제 2장에서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시(시경) 삼백 편의 뜻을 한마디로 말한다면 생각에 간사한 것이 없다는 것이다”(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 思無邪)라 하였다. 우리는 詩를 말할 때 받듯이 이 말 사무사(思無邪)라는 말을 빼 놓지 않고 인용하곤 한다. .. 12漫遊의漢詩紀行 2015.08.13
[신용하교수 역사 강의실] 1. 신용하의 새로쓰는 한국문화 http://www.donga.com/fbin/moeum?n=books$j_486&a=l [신용하의 새로 쓰는 한국문화]<10·끝>백범김구의 어머니 동서고금 모든 어머니의 사랑과 은혜는 모두 훌륭하지만, 그 중 19세기 말 20세기 전반기 곽낙원(郭樂園) 여사의 일생은 한국 어머니의 표상이라 할 것이다..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3
광개토대왕비보다 앞선 3세기 고구려碑 공개 광개토대왕비보다 앞선 3세기 고구려碑 공개 (서울신문 임창용기자 sdragon@seoul.co.kr 기사일자 : 2005-04-12) 그동안 한국 고대사 연구의 공백기로 남아 있는 3세기 고구려의 역사적 내용을 기술하고 있는 벽비(壁碑)가 나와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문제의 벽비는 1930년대 평양 인근..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3
신라 주령구 며칠 전 kbs 역사 스페셜 '제26편 발굴유물 3만점! 안압지는 신라의 생활사박물관이었다'에 나온 14면체 주사위 주령구(木製酒令具)를 보고 그 용도도 재미있거니와 그 시대에 어떻게 그런 용구를 구상하고 제작하였는지 여간 흥미롭지가 않았다. 안압지는 발굴결과 5개의 건물지가 노출되..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3
(71) 한국인의 얼굴 형태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인 얼굴형 남방계 · 북방계 · 귀화계 3개 형태 빠른 속도로 혼합…얼굴 모습 급격히 변화 세계의 인종을 일반적으로 아시아인, 유럽인, 아프리카인으로 나누는데 이들의 차이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우선 피부색이 완연히 다르다. 그런데 이들의 차이는 피부색이 아니더라..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3
(70) 조선시대의 과학적인 수사와 인권 '부모 죽인 원수'에 복수땐 사형 대신 유배형 조선시대, 과학수사와 인권 중시는 기본(1) 소설 장르 중에서 가장 많이 다루는 것은 사랑과 범죄 수사물이다. 범죄 수사물은 각종 범죄를 일으킨 범인을 밝혀내는 것이 주류를 이루는데 요즈음은 범인의 지능이 높아져 첨단과학기술을 동원..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3
(69) 한국풀 순장바둑의 고찰 한국 바둑이 불참하면 2류 국제대회 전락 세계 제패의 원동력, 한국류 순장바둑 (1) 언론인 한삼희는 2005년 3월 다음과 같은 글을 썼다. ‘1939년 중국에서 온 오청원(吳淸源)과 일본의 청년 고수 기타니 미노루(木谷實)가 ‘치수(置數) 고치기 10번기’를 벌였다. 10차례 대국하는 동안 4승 차..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3
(68) 나의 사전에 패전은 없다, 연개소문 중국과 전투 '백전백승' 불멸의 장수 나의 사전에 패전은 없다, 연개소문(1) 당나라는 고구려 정벌 실패 여파로 무너진 수나라를 뒤이은 나라로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차지한 대국이었지만 건국 초기부터 고구려와 상대한다는 것은 무리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고구려..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3
(67)전략과 전술의 귀재, 살수대첩의 을지문덕 을지문덕 성장과정 역사적 기록 없어 전략과 전술의 귀재, 살수대첩의 을지문덕(1) <기록이 없는 을지문덕> 을지문덕(乙支文德)은 우리 역사에서 시대와 이념을 초월하여 모든 사람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몇 안 되는 인물 가운데 한 명이다. 김부식은 『삼국사기』 열전에서 ..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3
(66)사상 최강의 고구려, 이유 있다(하) 사상 최강의 고구려, 이유 있다(4) <중국과 다른 철 생산 기술> 개마무사가 강력한 위력을 발휘했다면 중국은 왜 고구려와 같이 개마무사를 도입하지 않았는지 의아하지 않을 수 없다. 전쟁의 역학구조상 상대방이 우수한 장비를 갖고 있다면 그 장비를 재빨리 모방하거나 보다 개선..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3
(65)사상 최강의 고구려, 이유 있다(상) 사상 최강의 고구려, 이유 있다(1) 우리나라 사람들이 고구려에 대해 강한 매력을 갖는 것은 현재 중국의 영토로 되어 있는 광대한 지역을 한민족으로 구성된 강한 군대로 마음껏 뛰어다녔다는 데 있는 것 같다. 특히 현재의 중국의 수도 북경지역까지 고구려가 진출하였다는 사실은 한민..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3
(64)유네스코 등록 '조선왕조실록' 유네스코 등록, 조선왕조실록(1) 태조∼철종 25대 472년간 기록…왕도 열람금지 비밀보장 철저 <세계에 유래가 없는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왕조의 시조인 이태조로부터 철종까지 25대 472년간(1392~1803)의 역사 즉 172,000여 일을 연ㆍ월ㆍ일 순서에 따라 편년체로 기록한 책..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3
(63)유네스코 등록 세계유산, 종묘 유네스코 등록 세계유산, 종묘 종묘는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유교사당으로서 가장 정제되고 장엄한 건축물의 하나이다. 태묘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태조인 이성계의 묘(廟)가 있기 때문이다. 종묘는 인신을 대표하는 왕실의 선조를 제사하는 곳이고..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3
(62)유네스코 등록 세계유산, 창덕궁 유네스코 등록 세계유산, 창덕궁 ① 한국과 중국, 일본을 모두 방문한 외국인들에게 세 나라의 궁궐 중에서 어느 나라 건물들이 가장 아름다우냐고 질문하면 단연코 한국의 궁궐이 가장 아름답다고 대답한다. 기다랗게 늘어져 버선코 마냥 날아갈 듯 오른 추녀선이며 아름다운 색으로 칠..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3
(61)과학이 설명하는 사리 과학이 설명하는 사리 1993년 11월 10일 거행된 조계종 성철 종정 다비식에서 석가모니 이래 가장 많은 사리가 나와 불교계와 일반인의 관심을 모았다. 성철 종정 장례 위원회가 발표한 내용에 의하면 성철 종정의 법골로부터 모두 110과(顆)의 사리가 최종적으로 수습되었는데 사리들은 콩..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3
(60)땀 흘리는 사명대사 표충비 땀 흘리는 사명대사 표충비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무안리에 있는 홍제사(弘濟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양산 통도사의 말사로 이곳에 ‘땀 흘리는 비’로 알려진 표충비가 있다. 표충비는 비 높이 2.76미터, 비두(碑頭)와 기단석까지 포함하면 3.9미터이며 폭 97센티미터, 두..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3
(59)유네스코 등록 세계유산, 불국사 유네스코 등록 세계유산 불국사 ① ‘안개와 구름을 삼키고 토한다’는 토함산 동쪽 정상 못 미친 곳에 석굴암이 있고 불국사는 서쪽 중턱에 자리 잡고 있다. 1995년에 석굴암과 함께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에 등록되어 있는 불국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이다. 불국사(佛國寺..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3
[스크랩] 병점역(1호선) 인근 원룸(통건물) 병점역(1호선) 인근 원룸(통건물) - 매가 : 9.5 억원 1. 위치 : 병점역 인근(화성시) 2. 토지 : 47평 3. 건물 : 지상1~지상4층 100평(2012년 신축) 4. 보증금 195,000,000원 / 월세 5,550,000원 5. 연락처 : 대운부동산공인중개사사무소 대표 오승세(압구정로140) 02-543-6464 담당 이준석 이사 010-3230-6534 (문자로 .. 25건설부동산 2015.08.12
(58)세계기록유산,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과 금속활자 세계기록유산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과 금속활자 ① 1967년 프랑스 파리 국립도서관의 사서로 근무하던 박병선 박사는 도서관 소장품 중에서 불경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이하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을 발견하고 깜짝 놀랐다. 이 책은 원래 고려 말기의 고승 경한(景..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2
(57)팔만대장경과 해인사 장경각 팔만대장경과 해인사 장경각 ① 장경각은 세계문화유산이지만 팔만대장경은 지정 안돼 세계에 자랑할 만한 '팔만대장경'이 해인사에 보존되어 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1251년에 완성되어 지금까지 남아 있는 목판이 8만1258장(문화재청에서 밝힌 공식 숫자)이며 전체의 무..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2
(56)뜨거운 감자, 원자력 뜨거운 감자, 원자력 ① 2004년 온 나라와 국제사회가 원자폭탄, 원자력 그리고 방사능으로 시끌벅적했다. 한국정부가 안전조치협정에 따라 IAEA에 신고해야 할 활동 즉 우라늄 변환과 농축, 플루토늄 분리제조 등을 (과거에) 신고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세계적인 뉴스의 초점이 .. 11과학적인韓國史 2015.08.12